$\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곽향정기산가미방(藿香正氣散加味方) 투여 및 소장정격(小腸正格) 시술을 이용한 편평사마귀의 치료 효과
Combination Therapy with Gwakhyangjeonggisangamibang and Sojangjeonggyeok for the Treatment of Verruca Plana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3 no.1 = no.41, 2010년, pp.169 - 181  

윤정민 (V스킨한의원) ,  신상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윤화정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고우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with Gwakhyangjeonggisangamibang and Sojangjeonggyeok on patients with verucca plana. Methods : Sixty-five patients(male 19, female 46) with verruca plana were treated with Gwakhyangjeonggisangamibang and So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른 바이러스성 피부질환과 마찬가지로 편평사마귀도 내부 면역체계의 문제로 HPV가 피부에 감염되는 질환이므로, 表證과 裏證을 모두 치료할 수 있는 藿香正氣散12)과 行氣活血通絡, 祛瘀生新의 효과가 있는 小腸正格13)의 병행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저자는 2008년 9월부터 2009년 7월까지 V스킨한의원 사마귀 클리닉에 내원한 편평사마귀 환자들에 대하여 藿香正氣散加味方을 투여하고 小腸正格을 시술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그러나 여러 가지 종류의 사마귀를 모두 포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치료 순응도가 떨어지는 사례도 다수 포함된 조사였기 때문에 단일 종류의 사마귀에 대한 치료효과를 검증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저자는 종류별 분포에 있어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편평사마귀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9월부터 2009년 7월까지 V스킨한의원 사마귀 클리닉에 내원한 편평사마귀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藿香正氣散加味方 투여와 小腸正格 시술로 얻은 결론은? 1. 남자는 19명, 여자는 46명 이었고 평균연령은 30.3세, 평균 유병기간은 64.6개월로 나타났다. 치료기간은 평균 78.4일, 첩약 복용량은 평균 76.7첩이었다. 2. 48명의 환자가 완전소실 되었고(73.8%), 17명은 부분소실 되었으며(26.2%) 무반응인 경우는 없었다. 완치에 이르기까지 평균 63.04일의 기간이 소요되었고 첩약 복용량은 평균 64.58첩으로 나타났다. 3. 완치군은 실패군에 비하여 연령이 적고, 유병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4. 실패군은 완치군에 비하여 평균 치료기간이 길었고, 첩약 복용량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p<0.01) 부분소실에 그치는 결과를 보였다.
편평사마귀의 특징은? 편평사마귀는 주로 Human papillomavirus(HPV) 3, 10, 28, 49형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크기는 1-3㎜ 정도이고1,2), 정상피부보다 약간 융기된 편평한 표면의 피부색 혹은 옅은 갈색, 담홍색 구진이 특징이다3-5). 부분적으로 산재하거나 떼지어 군락을 이루기도 하며 서로 융합되어 불규칙하게 합쳐지는 경우도 많다1,3).
사마귀는 한의학의 역대 문헌에서 무엇이라 불리었는가? 사마귀는 한의학의 역대 문헌에서 千日瘡, 疣, 疣瘡, 疣目, 疣目瘡, 枯筋箭, 扁瘊 등의 이름으로 불리었다5-7). 특히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편평한 구진으로 작은 것은 鍼頭大에서 큰 것은 扁豆大 혹은 黃豆大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편평한 융기와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는 사마귀는 扁瘊라고 하며, 이는 서양의학에서의 편평사마귀에 해당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서울:여문각. 2008:395-7. 

  2. Lowy DR, Androphy EJ. Warts, In: Freedberg IM, Eisen AZ, Wolff K, Austen KF, Goldsmith LA, Katz SI, editor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Mc-Graw-Hill. 2003:2119-31. 

  3. 전국 한의과대학 피부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피부외과학. 부산:선우. 2007:432-4. 

  4. 강원형. 피부질환 아틀라스. 서울:한미의학. 2003:313-4. 

  5. 노석선. 원색피부과학. 서울:아이비씨기획. 2006:247-51, 264-5. 

  6. 巢元方. 諸病源候論. 서울:정담. 1993:844. 

  7. 陳實功. 外科正宗.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64:265. 

  8. 윤정원, 윤소원, 윤화정, 고우신. 扁平?의 治驗 1例 報告.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5):1070-4. 

  9. 정동환, 심상희, 최정화. ?目환자 치험 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1):226-35. 

  10. 윤영희, 최인화. 편평사마귀 환자의 한방 치험 1례. 대한한의학회지. 2008;29(3):161-8. 

  11. 윤정민, 신상호, 윤화정, 고우신. 사마귀 클리닉 내원환자에 대한 통계적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2):192-200. 

  12.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공편저. 方劑學. 서울:영림사. 1999:488-90. 

  13. 김관우. 舍岩鍼法 隨想錄. 대전:초락당. 2006:293, 306, 312-3. 

  14. 허준. 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1018. 

  1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편. 의대생을 위한 피부과학. 서울:고려의학. 2006:142-3. 

  16. Shah KC, Patel RM, Umrigar DD. Dinitrochlorobenzene treatment of verrucae plana. J Dermatol. 1991;18:639-42. 

  17. Schwab RA, Elston DM. Topical imiquimod for recalcitrant facial flat warts. Cutis. 2000;65:160-2. 

  18. 박창욱, 정기양, 정우길. 시메티딘 고용량 투여 용법에 의한 편평사마귀 치료.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4):475-9. 

  19. 이운하, 최정철, 전덕규. 편평 사마귀에 대한 5% Imiquimod 크림의 임상적 치료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1):1-5. 

  20.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5:78-9. 

  21. 李益行. 湯證. 서울:대성문화사. 1994:277-8. 

  22. 김선미, 하광수, 하수연, 김하얀, 송인선, 박선경, 천승철. 藿香正氣散加味方으로 치료한 소아 전염성 연속종 3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6;20(3):11-22. 

  23. 양성완. 수종 한약 처방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SCORAD 및 Cytokine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4.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本草學. 서울:영림사. 2000:142-3, 149-50, 306-7. 

  25. 박종혁, 김성진, 이승철, 원영호, 전인기. 편평 사마귀에 대한 DNCB와 DPCP 면역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1997;35(6):1082-7. 

  26. 정상원, 차승훈, 박석돈. Griseofulvin 내복과 면역요법(DNCB, DPCP)을 병용한 편평 사마귀의 치료. 대한피부과학회지. 1999;37(3):320-4. 

  27. 이미우, 최지호, 성경제, 문기찬, 고재경. Alexandrite 레이저를 이용한 편평사마귀의 치료 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2000;38(7):864-7. 

  28. 김문범, 고현창, 장봉석, 권유옥, 오창근, 장호선, 권경술. 편평 사마귀에 대한 5% Imiquimod 크림의 치료 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5):643-9. 

  29. 진원우, 김명화, 신용우. 편평사마귀에 대한 Itraconazole 경구 투여의 치료 효과. 대한피부과학회지. 2008;46(1):46-9. 

  30. 박하나, 안성구. 강원지역 피부질환의 통계적 고찰(2000-2004).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9):1192-9. 

  31. 최현성, 윤석권, 김한욱, 임철완. 전북지역 피부질환의 통계적 고찰(1979-1980, 1987-2002).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5):606-18. 

  32. 홍성호. 수원 및 경기 남부 지역 피부 질환의 통계적 고찰(1995-2001). 아주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33. 천승철, 지선영, 이상곤. 蜂藥針療法을 병행한 한방치료로 호전된 대상포진 및 대상포진후 신경통환자 2례.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2):120-6. 

  34. 허연식, 박수은, 김창환, 한다님. 黃連解毒湯藥鍼을 병용한 帶狀疱疹 치험 2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2):240-6. 

  35. 박사한, 김태식, 허영진, 권기록. 전염성 연속종을 호소하는 70명의 환자들에 대한 Sweet Bee Venom의 임상증례 보고. 대한약침학회지. 2008;11(2):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