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We report the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Verruca Plana. Methods : We used herbal treatment, 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is treatment, we observed the patient's condition and photographed. Results : After Korean medical treatment, the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藥鍼治療로는 蒲公英, 金銀花, 生地黃, 蓮翹, 黃連, 黃芩, 黃柏, 梔子로 구성되어 淸熱解毒, 瀉火燥濕, 凉血消腫의 효과가 있는 消炎藥鍼22)을 肩部의 대표 혈로서 膽經, 三焦經, 胃經, 陽維脈과 交會穴인 肩井 穴과 淸熱祛風의 작용이 있는 曲池穴 23) 과 병변 국소 부위에 刺入하여 祛風淸熱의 목적으로 시술하였다.
  • 본 연구는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 및 방법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을 하고 사진 사용을 포함한 동의를 얻은 후 진행되었다.
  • 이에 비해 한의학계에서는 윤 등4)은 濕熱型 편평사마귀 환자 치험 1례, 정 등5)은 脾陽虛로 인한 사마귀 환자에 加味理中湯과 消毒飮加減을 사용한 치험례, 윤 등6)은 편평사마귀 환자에 한약, 침, 외용제의 한방 복합치료를 사용한 치험례, 윤 등7,8)은 사마귀 클리닉 내원환자에 대해 통계적 고찰, 藿香正氣散加味 方 투여 및 小腸正格 시술을 이용한 편평사마귀의 치료 효과를 보고하여 환자의 체질 상태와 사마귀의 병인을 고려한 한방치료가 편평사마귀의 근본적인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음을 밝혀왔다. 이에 저자 또한 風濕熱型의 편평사마귀 환자를 韓藥治療, 鍼治療, 藥鍼治療를 시행하여 3주라는 짧은 기간에 증상의 현저한 호전도가 있었고, 높은 환자 만족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은 사마귀 클리닉 내원환자에 대한 통계적 고찰, 藿香正氣散加味 方 투여 및 小腸正格 시술을 이용한 편평사마귀의 치료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아직까지도 편평사마귀의 한방적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제 저자는 편평사마귀 환자 1례를 漢藥治療, 鍼治 療, 藥鍼治療를 시행하여 유의한 치료효과가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 치법 으로 風熱濕型, 血瘀型, 脾虛型, 腎氣不足型으로 辨 證하여 祛風淸熱解毒 平肝散結 化濕解毒, 行氣活血 化瘀, 健脾益氣化濕 宣揚氣 淡滲利濕, 滋補腎水 平 肝散疣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辨證에 따라 後代에 晋濟消毒飮, 桃紅四物湯, 當芍六味地黃丸加味方, 消疣湯, 益胃升陽湯, 三子養親湯 등을 사용하였으며, 신체 전반적인 증상에 따라 약제를 가감하여 사용한다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에서 皮損의 形態로 어떻게 분류하는가? 피부 淺層에 발생하는 贅生物을 疣 또는 疣目이라 칭하며 이는 현대의학의 papilloma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양성종양으로 흔히 사마귀를 말한다. 임상에서 皮損의 形態로 尋常疣, 扁平疣, 傳染性軟疣 등으로 분류된다1).
扁平疣의 개수는 어느 정도 되는가? 扁平疣는 기본적으로 표면이 광활한 扁平丘疹으로 鍼頭, 쌀 혹은 黃豆 크기로 淡紅, 褐色 혹은 정상피 부색을 띠며 부분적으로 산재하거나 떼지어 군락을 이루고 혹은 서로 융합하여 어떤 것은 搔抓하며, 표피의 剝脫面의 邊緣에 따라 새로운 손상에 발생하여 하나로 연결된다. 적으면 수십 개, 많으면 백 개 이상일 수 있다. 發生部位는 面部와 手背部에 호발하며, 自覺症狀으로 떼를 지어 생길 때는 약간의 소양감이 있으나 만약 소양감이 가중되면 돌연히 수가 많아지는 경우가 있으며, 홍색으로 불룩하고 오래가지 않아 탈락된다.
疣目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피부 淺層에 발생하는 贅生物을 疣 또는 疣目이라 칭하며 이는 현대의학의 papilloma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양성종양으로 흔히 사마귀를 말한다. 임상에서 皮損의 形態로 尋常疣, 扁平疣, 傳染性軟疣 등으로 분류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ational University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2007:432-8. 

  2.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Dermatology. Seoul:Yeomoonkak. 2008:394-7. 

  3. Kang Won Hyung. Atlas of Skin Disease. Seoul:Hanmi. 2002:313-8 

  4. Yoon Jung Won, Yoon So Won, Yoon Hwa Jung, Ko Woo Shin. A Case Report of Plane Wart.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2;16(5):226-35. 

  5. Jeong Dong hwan, Sim Sang hee, Choi Jung hwa. A Case of Treatment of Flat Wart.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Ophtha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3;16(1):226-35. 

  6. Yun Young Hee, Choi In Hwa. A Case report of Verruca Plana. J Korean Oriental Med. 2008;29(3):161-8. 

  7. Yun Jeong Min, Shin Sang Ho, Yoon Hwa Jung, Ko Woo Shin. A Statistical Analysis of clinic patients of wart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Ophtha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9;22(2):192-200. 

  8. Yun Jeong Min, Shin Sang Ho, Yoon Hwa Jung, Ko Woo Shin. Combination Therapy with Gwakhyangjeonggisangamibang and Sojangjeonggyeok for the treatment of Verruca Plana.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Ophtha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0;23(1):169-81. 

  9. Cobb MW. Human papillmomavirus infection. J Am Acad Dermatol. 1990;22:547-66. 

  10. Kyriakis K. Lifetime prevalence fluctuations of common and plane viral wart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7;21(2):260-2. 

  11. Jung Sang Won, Cha Seung Hun, Park Seok Don. The Treatment of Flat Wart with Griseofulvin and Immunotherapy(DNCB, DPCP). Korean J dermatol. 1999;37(3):320-4. 

  12. Ma Soyo. Practical TCM dermatology. Shanghai:Shanghai TCM University publisher. 1993:86. 

  13. Bae Seungcheol. Geumseok Hwang Jenaegyeong Yeong Chu. Seoul:Seongbosa. 1994:155. 

  14. So Wonbang. Jebyeongwonhurongyoseok. Seoul:Jeongdam Publicher. 1993:844. 

  15. Chin Silgong. Oegwajeongjong.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265. 

  16. Ko Geumjeong. Yanggwasimdeukjip. Jiangsu:Jiangsu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r. 1983:3. 

  17. Chang Jiye. The combination of Midwest Dermatology.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0:91-2. 

  18. Seo Uihu. TCM treatment of skin diseases.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97:141. 

  19. Son Buyng Gwon. Oriental Medicine. Seoul:Yeogang Publisher. 1992:380. 

  20. Yi Cheon. Uihakibmun. Seoul:Nansandang. 1985:1838-9. 

  21. Kim Young Hun. Cheongkanguegam. Seoul:Korea Bio Medical Institute. 1984:364. 

  22.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Herbal Acupuncture Therapy treatment guidelines. Seoul:Hanseong. 1999:13-4. 

  23. Choi Young Tae.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Jibmundang. 1998:330-2, 387, 407, 543, 7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