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라이애슬론의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고찰
Triathlon-Related Overuse Injury and Medical Issu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2 = no.118, 2010년, pp.314 - 320  

박찬호 (부산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  곽이섭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김태운 (부산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트라이애슬론은 수영, 사이클, 달리기로 구성된 스포츠로 단일종목의 스포츠에 참가할 때 보다 잠재적인 의학적 위험요인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과사용은 스트레스의 증가와 뼈, 관절, 근육, 건 또는 신경의 손상을 일으키며, 지금까지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은 목통증, 요통, 근육과 건 부상, 인대부상, 만성적인 통증 등이며, 대부분의 과사용 부상은 달리기 훈련시 가장 많이 발생된다. 또한 트라이애슬론 참가자들은 다양한 자연환경과 경기거리에서 완주해야 하는 만큼 부상 이외의 의학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트라이애슬론과 관련하여 보고되고 있는 의학적 위험요인들은 저체온증, 저나트륨혈증, 일사병, 자외선에 과도한 노출, 면역억압, 심리적인 탈진현상, 용혈증 등을 포함하고 있다. ID 경기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의학적 문제들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은 탈진과 탈수현상이며, 그 다음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은 저나트륨혈증, 열부상, 저혈압, 화상과 물집, 근육경련 등이다. 그러나 SD와 OD 경기 중에는 달리기 속도가 빠르고 더 높은 강도에서 경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일사병의 발생 위험이 더 높고, 경기 시간이 짧은 관계로 저나트륨혈증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 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문헌들을 고찰하여 스포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엘리트 선수 및 동호인 그리고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와 대회를 주최하는 관계자들에게 트라이애슬론과 관련된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미연에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ature of triathlons is competition in three successive sports, triathletes experience elevated levels of stress on the body that are absent in single-sport athletic events, and consequently there are more potential medical problems to prepare for. Triathletes can also experience problem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 및 의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문헌들을 고찰하여 스포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엘리트 선수 및 동호인 그리고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와 대회를 주최하는 관계자들에게 트라이애슬론과 관련된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미연에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트라이애슬론 경기에 참가하는 엘리트 선수 및 동호인들이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인 위험요인에 관한 본 연구는 대회를 주최하는 관계자와 선수 및 코치들에게 과사용 부상과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과 예방책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과사용 부상은 훈련의 습관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국제적인 스포츠 경쟁력 저하 및 선수 생명의 단축 그리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 못된 훈련습관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라이애슬론과 관련하여 보고되고 있는 의학적 위험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선수 이외의 일반 참가자들 또한 다양한 자연환경과 경기거리에서 완주해야 하기 때문에 부상과 의학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현재까지 트라이애슬론과 관련하여 보고되고 있는 의학적 위험요인들은 저체온증[19], 저나트륨혈증(hyponatraemia) [27,41,43], 열사병[16,19], 자외선[23], 면역억압(immunosuppression) [7,28,32,35,42], 용혈증(haemolysis) [19,25]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트라이애슬론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스포츠로 빠르게 성장하였을 뿐 아니라 주말 레저 스포츠 활동으로 즐기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지만, 스포츠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가 부족하여 현장에서의 적용은 미흡하며, 선수 및 동호인, 코치 그리고 대회 운영자들 모두가 숙지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 자료의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트라이애슬론의 종류와 각 종류에서 구체적인 운동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1970년 중반에 시작된 트라이애슬론(Triathlon)은 수영, 사이클, 달리기를 한 선수가 연이어 실시하는 스포츠로 다양한 경기거리로 구성되어 있다. 수영 750 m, 사이클 20 km, 달리기 5 km의 거리로 구성된 단거리(Sprint Distance: SD)와 수영 1.5 km, 사이클 40 km, 달리기 10 km의 거리로 구성된 올림픽거리(Olympic Distance: OD) 그리고 4시간 이상 지속되는 울트라 지구력 스포츠에 속하는 수영 2 km, 사이클 80 km, 달리기 20 km의 거리로 구성된 장거리(Long Distance: LD)와 수영 3.8 km, 사이클 180.2 km, 달리기 42.2 km의 거리로 구성된 철인거리(Ironman Distance: ID) 등이 있다. 트라이애슬론 경기는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정식종목으로 국제적인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다른 스포츠 종목과 같이 국제적인 수준의 경기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수들이 실시하는 과도한 훈련 뿐 아니라 극한에 도전하는 스포츠로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부상 발생률과 의학적 문제점도 그 만큼 증가 할 수 있다[3,6,8,22].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에는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그러나 엘리트 선수 및 동호인들은 단일 스포츠 종목의 선수들 보다 주당 훈련시간이 더 많았고, 부상 발생률 또한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3,6]. 과사용은 스트레스의 증가와 뼈, 관절, 근육, 건 또는 신경의 손상을 일으키며, 지금까지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은 목통증(neck pain) [49,50], 요통(low-back pain) [18,26,49], 근육과 건 부상, 인대부상, 만성적인 통증(chronic complaints) [6] 등이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과사용 부상은 달리기 훈련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사이클 훈련, 그리고 수영 훈련 시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21,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1998.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Med. Sci. Sports Exerc. 30, 992-1008. 

  2. Asplund, C., C. Webb, and T. Barkdull. 2005. Neck and back pain in bicycling. Curr. Sports Med. Rep. 4, 271-274. 

  3. Burns, J., A. M. Keenan, and A. C. Redmond. 2003. Factors associated with triathlon-related overuse injuries. J. Orthop. Sports Phys. Ther. 33, 177-184. 

  4. Collins, K., M. Wagner, K. Peterson, and M. Storey. 1989. Overuse injuries in triathletes. A study of the 1986 Seafair Triathlon. Am. J. Sports Med. 17, 675-680. 

  5. Dallam, G. M., S. Jonas, and T. K. Miller. 2005. Medical considerations in triathlon competition. Sports Med. 35, 143-161. 

  6. Egermann, M., D. Brocai, C. A. Lill, and H. Schmitt. 2003. Analysis of injuries in long-distance triathletes. Int. J. Sports Med. 24, 271-276. 

  7. Gleeson, M., W. A. McDonald, D. B. Pyne, A. W. Cripps, J. L. Francis, P. A. Fricker, and R. L. Clancy. 1999. Salivary IgA levels and infection risk in elite swimmers. Med. Sci. Sports Exerc. 31, 67-73. 

  8. Gosling, C. M., B. J. Gabbe, and A. B. Forbes. 2008. Triathlon related musculoskeletal injuries: the status of injury prevention knowledge. J. Sci. Med. Sport 11, 396-406. 

  9. Gosling, C. M., B. J. Gabbe, J. McGivern, and A. B. Forbes. 2008. The incidence of heat casualties in sprint triathlon. J. Sci. Med. Sport 11, 52-57. 

  10. Gulbin, J. P. and P. T. Gaffney. 1999. Ultraendurance triathlon participation: typical race preparation of lower level triathletes. J. Sports Med. Phys. Fitness 39, 12-15. 

  11. Hiller, W., M. O'Toole, and E. E. Fortess. 1987. Medical and physiological considerations in triathlons. Am. J. Sports. Med. 15, 164-167. 

  12. Inoue, Y., M. Nakao, T. Araki, and H. Ueda. 1992. Thermoregulatory responses of young and older men to cold exposure.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65, 492-498. 

  13. Kerr, C. G., T. A. Trappe, R. D. Starling, and S. W. Trappe. 1998. Hyperthermia during Olympic triathlon: influence of body heat storage during the swimming stage. Med. Sci. Sports Exerc. 30, 99-104. 

  14. Korkia, P., D. Tunstall-Pedoe, and N. Mafulli. 1994.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training and injury patterns in British triathletes. Br. J. Sports Med. 28, 191-196. 

  15. Kreider, R. B., T. Boone, W. R. Thompson, S. Burkes, and C. W. Cortes. 1988. Cardiovascular and thermal responses of triathlon performance. Med. Sci. Sports Exerc. 20, 385-390. 

  16. Laird, R. H. 1989. Medical care at ultraendurance triathlons. Med. Sci. Sports Exerc. 1989 21, S222-225. 

  17. Latzka, W. A. and S. J. Montain. 1999. Water and electrolyte requirements for exercise. Clin. Sports Med. 18, 513-524. 

  18. Manninen, J. S. and M. Kallinen. 1996. Low back pain and other overuse injuries in a group of Japanese triathletes. Br. J. Sports Med. 30, 134-139. 

  19. Mayers, L. B. and T. Noakes. 2000. A guide to treating Ironman triathletes at the finishing line. Phys. Sports Med. 28, 35-50. 

  20. McMurray, R. G. and S. M. Horvath. 1979. Thermoregulation in swimmers and runners. J. Appl. Physiol. 46, 1086-1092. 

  21. Migliorini, S. 1991. An epidemiological study of overuse injuries in Italian national triathletes in the period. 1987-1990. J. Sports Traumatol. Rel. Res. 13, 197-206. 

  22. Migiliorini, S. 2000. The triathlon: acute and overuse injuries. J. Sports Traumatol Relat. Res. 22, 186-195. 

  23. Moehrle, M. 2001. Ultraviolet exposure in Ironman triathlon. Med. Sci. Sports Exerc. 33. 1385-1386. 

  24. Nieman, D. C. 1994. Exercise, infection, and i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5, S131-S141. 

  25. O'Toole, M. L., W. D. Hiller, M. S. Roalstad, and P. S. Douglas. 1988. Hemolysis during triathlon races: its relation to race distance. Med. Sci. Sports Exerc. 20, 272-275. 

  26. O'Toole, M. L., W. D. Hiller, R. A. Smith, and T. D. Sisk. 1989. Overuse injuries in ultraendurance triathletes. Am. J. Sports Med. 17, 514-518. 

  27. Park, C. H. and T. U. Kim. 2009. The effect of different triathlon on weight, sodium and hematological changes. Journal of Life Science 19, 46-51. 

  28. Park, C. H., T. G. Park, T. U. Kim, and Y. S Kwak. 2008. Changes of immunlogical markers in elite and amateur triathletes. International Sport Med. Journal 9, 116-130. 

  29. Pedersen, B. K. and L. Hoffman-Goetz. 2000. Exercise and the immune system: regulation, integration, and adaptation. Physiological Reviews 80, 1055-1081. 

  30. Pedersen, B. K. and H. Ullum. 1994. NK cell response to physical activity: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6, 140-146. 

  31. Rehrer, N. J. 2001.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in ultra-endurance sport. Sports Med. 31, 701-715. 

  32. Rohde, T., D. A. MacLean, A. Hartkopp, and B. K. Pedersen. 1996. The immune system and serum glutamine during a triathlon.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74, 428-434. 

  33. Saiful Bachri, M., M. H. Woo, H. W. Lee, J. W. Choi, and H. S. Kim. 2009. Effects of herbal sports drinks with Omija, Maesil and Molasses on the endurance and energy metabolites of experimental animals. Journal of Life Science 19, 219-227. 

  34. Shaw, T., P. Howat, M. Trainor, and B. Maycock. 2004. Training patterns and sports injuries in triathletes. J. Sci. Med. Sport 7, 446-450. 

  35. Shinkai, S, Y. Kurokawa, S. Hino, M. Hirose, J. Torii, S. Watanabe, S. Shiraishi, K. Oka, and T. Watanabe. 1993. Triathlon competition induced a transient immunosuppressive change in the peripheral blood of athletes. J. Sports Med. Phys. Fitness 33, 70-78. 

  36. Simpson, G, D. Roomes, and M. D. Humphrey. 2001. Anaphylactoid reactions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affecting two sisters. Med. J. Aust. 175, 415-417. 

  37. Sleivert, G. G. and D. S. Rowlands. 1996. Physical and physi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in the triathlon. Sports Med. 22, 8-18. 

  38. Smith, J. W. and M. J. Weidermann. 1990. The exercise and immunity paradox: A neuroendocrine/cytokine hypothesis. Medical Science Research 18, 749-753. 

  39. Speedy, D. B., J. G. Faris, M. Hamlin, P. G. Gallagher, and R. G. Campbell. 1997. Hyponatremia and weight changes in an ultradistance triathlon.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7, 180-184. 

  40. Speedy, D. B., T. D. Noakes, I. R. Rogers, I. Hellemans, N. E. Kimber, D. R. Boswell, R. Campbell, and J. A. Kuttner. 2000. A prospective study of exercise-associated hyponatremia in two ultradistance triathletes.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10, 136-141. 

  41. Speedy, D. B., I .R. Rogers, T. D. Noakes, S. Wright, J. M. D. Thompson, R. Campbell, I. Hellemans, N. E. Kimber, D. R. Boswell, J. A. Kuttner, and S. Safih. 2000. Exercise-induce hyponatremia in ultradistance triahletes is caused by inappropriate fluid retention.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10, 272-278. 

  42. Steerenberg, P. A., I. A. van Asperen, A. van Nieuw Amerongen, A. Biewenga, D. Mol, and G. J. Medema.. 1997. Salivary levels of immunoglobulin A in triathletes. Eur. J. Oral. Sci. 105, 305-309. 

  43. Sulzer, N. U., M. P. Schwellnus, and T. D. Noakes. 2005. Serum electrolytes in Ironman triathletes with exerciseassociated muscle cramping. Med. Sci. Sports Exerc. 37, 1081-1085. 

  44. Trappe, T. A., R. D. Starling, A. C. Jozsi, B. H. Goodpaster, S. W. Trappe, T. Nomura, S. Obara, and D. L. Costill. 1995. Thermal responses to swimming in three water temperatures: influence of a wet suit. Med. Sci. Sports Exerc. 27, 1014-1021. 

  45. van Beaumont, W., S. Underkofler, and S. van Beaumont. 1981. Erythrocyte volume, plasma volume, and acid-base changes in exercise and heat dehydration. J. Appl. Physiol. 50, 1255-1262. 

  46. van Mechelen, W. 1992. Running injuries.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Sports Med. 14, 320-335. 

  47. van Mechelen, W., H. Hlobil, and H. C. Kemper. 1992. Incidence, severity, aetiology and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A review of concepts. Sports Med. 14, 82-99. 

  48. van Mechelen, W., H. Hlobil, H. C. Kemper, W. J. Voorn, and H. R. de Jongh. 1993. Prevention of running injuries by warm-up, cool-down, and stretching exercises. Am. J. Sports Med. 21, 711-719. 

  49. Villavicencio, A. T., S. Burneikiene, T. D. Hernandez, and J. Thramann. 2006. Back and neck pain in triathletes. Neurosurg. Focus 21, E7. 

  50. Villavicencio, A. T., T. D. Hernandez, S. Burneikiene, and J. Thramann. 2007. Neck pain in multisport athletes. J. Neurosurg. Spine 7, 408-413. 

  51. Vleck, V. E. and G. Garbutt. 1998. Injury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male Elite, Development Squad, and Club triathletes. Int. J. Sports Med. 19, 38-42. 

  52. Weight, L. M., M. J. Byrne, and P. Jacobs. 1991. Haemolytic effects of exercise. Clin. Sci. 81, 147-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