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터널 저장 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Stored in an Unused Tunnel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2, 2010년, pp.220 - 228  

문갑순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BK21)) ,  김미정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BK21)) ,  진명희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BK21)) ,  김수연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BK21)) ,  박소영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BK21)) ,  류복미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과(BK2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터널의 양곡저장 창고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경남지역에서 수확한 무농약벼(NP) 혹은 저농약벼(LP) 8종을 폐터널에 8개월 동안(11월~이듬해 7월) 보관하면서 월 2회 샘플링을 실시하여 10분도미로 도정한 후 쌀의 선도 및 품위특성을 평가하였고 $5^{\circ}C$에 저장 유통되는 브랜드 쌀을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폐터널 저장쌀의 선도 평가를 위해 perox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장 후 3~6개월 동안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선도의 감소가 소폭 나타났다. 단, 남해 무농약벼 및 거창 무농약벼의 peroxidase 활성이 가장 높아 무농약 재배 벼의 선도가 저농약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백도(whiteness)는 NP의 저장전기 값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그 외 대부분의 백도값이 40 정도를 획득하였다. 완전미 비율은 LP의 저장 전기의 값이 $92.9{\pm}1.9%$로 대조군의 $96.08{\pm}3.09%$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대조군이 저장전기에 비해 저장후기에 완전미 비율이 크게 감소한 데 비해 폐터널 저장쌀은 완전미 비율의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서 장기간 저장 시 그 장점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였다. 분상질미(chalky rice)는 저장 전기에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장후기에는 NP, LP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파쇄미(broken rice) 비율은 NP와 대조군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LP는 저장 전기 및 후기 모두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손상미(damaged rice)와 변색미(colored rice)비율은 군간의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 NP와 LP의 단백질 함량은 7.1%, 7.3%로 나타났으며 폐터널 저장쌀의 아밀로스 함량은 11.1~17.2로서 벼의 생육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아밀로스 함량이 크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폐터널 저장벼의 평균 수분함량은 $13.94{\pm}0.26%$로 적정 수분 량보다 낮았으며 저장전기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나 저장 후기에는 그다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미치는 저장전기에 NP와 LP에서 각각 $71.3{\pm}2.1$, $71.7{\pm}1.5$로 나타나 대조군의 $74.0{\pm}3.6$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후기의 식미치는 모든 군에서 저장전기에 비해 대폭 감소하였으나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폐터널 저장쌀과 $5^{\circ}C$ 이온쌀로 지은 밥의 외관, 조직감 및 향미에 대해 비교한 결과, 윤기, 밥알의 온전함, 찰기 및 구수한 맛은 대조군의 평균값들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한편, 노란 정도와 경도, 산패취와 군내는 터널쌀로 지은 밥이 대조군에 비해 경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전체적인 선호도는 대조군($5.25{\pm}1.0$)이 터널쌀($4.6{\pm}0.8$) 보다 높았으나 10개의 전 항목에 있어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난 항목은 없었다. 끝으로, 고온다습한 여름을 보내는 한국 실정에 있어서 폐터널이라는 환경은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쌀 저장에 유리하게 유지되는 특성이 있었으며, 본 연구가 장기간 폐터널 보관쌀의 품위특성을 보고하는 첫 사례임을 감안할 때 이후 기관 및 학계의 폭넓은 관심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unused tunnel as a rice storage place.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rice grains were investigated during 8-months of storage in the tunnel located at Kyungnam province, Korea. Two kinds of tunnel stored rices, NP(rice grown with no pest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미분석기에 의한 쌀의 품질평가방법은 쌀의 여러 물리화학적 요인들을 평가하여 식미도를 계산하는 것으로서 상업적인 쌀의 품위판정에 널리 사용 되고 있다(Champagne 등 1996). 본 실험에서는 식미도와 함께 저장 쌀의 백도, 완전미 비율, 균상질미, 파쇄미, 손상미, 변색미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장기간 폐터널 저장이 쌀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폐터널에 저장된 총 8개의 시료 중 무농약벼 4군 및 저농약벼 4군은 각각 NP(rice grown with no pesticides) 와 LP(rice grown with less pesticides)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 폐터널을 식품저장장소로 사용하고자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바 경북 청도 남성현의 감와인저장창고는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고 각 기초단체에서도 폐터널을 농산물 저장창고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폐터널의 양곡저장 창고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폐터널에 벼를 저장하는 방법이 쌀의 품질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디자인되었다.
  • 쌀밥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호도 검사를 행하였다. 패널요원은 식품영양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15인으로 관능검사에 관한 절차 및 쌀밥의 향미와 질감의 평가 점수에 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항목들의 강도에 관해 객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훈련시킨 후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 쌀밥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호도 검사를 행하였다. 패널요원은 식품영양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15인으로 관능검사에 관한 절차 및 쌀밥의 향미와 질감의 평가 점수에 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항목들의 강도에 관해 객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훈련시킨 후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8개월간의 저장 기간 동안 폐터널 저장쌀(NP) 및 5℃ 저장쌀(대조군) 로 밥을 지어 윤기, 색깔, 쌀알의 통통함, 끈적거림, 찰기, 구수한 맛, 구수한 냄새, 산패취, 군내 및 전체적인 선호도 10항목에 대해 7점 척도로써 비교 검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 저장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는? 벼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로는 도정수율 및 흡수율의 저하, 취반시 팽창용적의 증가, 미반립의 경화 및 광택감소 등이 있다. 화학적인 변화로는 지방산과 아밀로오스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분의 용해도 및 팽윤력 감소, 산도변화, 효소활성 저하, 불포화 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한 고미 취의 주성분인 hexanal 등 카르보닐 화합물의 증가,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및 환원당 및 비타민 등의 변화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Villareal RM 등 1976, Yelandur 등 1978) 특히, 저장 중 온도와 습도는 취반, 가공특성, 식미, 영양가 등 상업적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효과적인 쌀 저장조건의 개발은 쌀의 품질 유지의 관건으로 지적되고 있다(Chrastil 1990, Zhout 등 2002, Kwon SJ 등 2006).
곡류 저장 중 저곡 해충에 의한 손실은 어느 정도인가? )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중요 식량 자원으로서, 양질미의 원활한 공급은 식생활의 질과도 높은 상관도를 가지고 있다. 곡류 저장 중 저곡 해충에 의한 손실은 세계적으로 약 20%에 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만 해도 수확 후 건조, 저장, 유통 과정을 통하여 손실되는 양은 상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다수확품종 개발 등의 증산 노력도 중요하지만 수확 후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곡류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간접적인 식량 증산 방안이 될 수 있다.
벼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는? 따라서 다수확품종 개발 등의 증산 노력도 중요하지만 수확 후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곡류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간접적인 식량 증산 방안이 될 수 있다. 벼 저장 중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로는 도정수율 및 흡수율의 저하, 취반시 팽창용적의 증가, 미반립의 경화 및 광택감소 등이 있다. 화학적인 변화로는 지방산과 아밀로오스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분의 용해도 및 팽윤력 감소, 산도변화, 효소활성 저하, 불포화 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한 고미 취의 주성분인 hexanal 등 카르보닐 화합물의 증가, 단백질의 용해도 감소 및 환원당 및 비타민 등의 변화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Villareal RM 등 1976, Yelandur 등 1978) 특히, 저장 중 온도와 습도는 취반, 가공특성, 식미, 영양가 등 상업적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효과적인 쌀 저장조건의 개발은 쌀의 품질 유지의 관건으로 지적되고 있다(Chrastil 1990, Zhout 등 2002, Kwon SJ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농진청. 2006. 쌀품질향상대책추진 및 탑라이스 보도자료 모음집 

  2. 통계청 2008.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3. Barber S. 1972. Milled rice and changes during ageing.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1st ed.(D.F. Houston ed), AACC. St Paul. MN, USA. pp. 215-263 

  4. Champagne ET, Richard OA, Bett KL, Grimm CC, Vinyard BT, Webb BD, McClung AM, Barton FE, Lyon BG, Moldenhauer K, Linscombe S, Mohindra R, Kohlwey D. 1996. Quality evaluation of US medium grain rice using a Japanese taste analyzer. Cereal Chem 73:290-294 

  5. Choi YH, Kim SL, Jeong EG, Song J, Kim JT, Kim JH, Lee CG. 2008. Effects of low-temperature storage of brown rice on rice and cooked rice quality. Korean J Crop Sci 53:179-186 

  6. Chrastil J. 1990.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ri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 Agric Food Chem 11:71-85 

  7. Dhaliwal YS, Sekhon KS, Nagi HPS. 1991, Enzymatic activitie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tored rice. Cereal Chem 68: 18-21 

  8. Hamaker BR and Griffin VK. 1991. Potential influence of a starch granule associated protein on cooked rice stickiness, J Food Sci 56:1327-1329 

  9. Han SW, Cho YC, Lee JH. 2006. Palatability of paddy rice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and temperature. Korean J Crop Sci 51:398-399 

  10. Ihen, H. 1971. New knowledge on grain cooling, Muehle 108: 679-681 

  11. Juliano BO. 1985. Criteria and test for rice grain qualities.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Juliano BO ed.), AACC. St Paul. MN, USA. pp. 443-524 

  12. Kim DC. 2002. Post harvest technology for high quality rice.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1:35-43 

  13. Kim SK, Cho EJ. 1993.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J Korean Agric Chem Soc 36:146-153 

  14. Kwon SJ, Song EJ, Kwon YR, Choi DC, Choi YG, Kwon TO. 2006. The rice qual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ffected by moisture content and drying delay time after harvest in rice. Korean J Crop Sci 51:35-41 

  15. Lee JH, Kim SS, Suh DS, Kim KO. 2001. Effects of storage form and period of refrigerated rice on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 and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and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427-436 

  16. Lehman ZU. 2006. Storage effects on nutritional quality of commonly consumed cereals. Food Chem 95:53-57 

  17. Matsukura U, Kaneko S, Momma M. 2000. Method for measuring the freshness of individual rice grains by means of a color reaction of catalase activity. J Japanese Soc Food Sci Tech 47(7):523-528 

  18. Park HO, Kim KH, Yoon S. 1990.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ectinesterase, polygalacturonase and peroxidase in Kimchi mater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5:443-448 

  19. Perez CM, Juliano BO. 1981. Texture changes and storage of rice. J Texture Studies 12:321-333 

  20. So KH, Kim YS, Hong JS, Jeong JY, Cho CM. 2000. Characteristic of the rice quality with long-term storage of paddy. Korean J Food Nutr 13:21-27 

  21. Villareal RM, Resurreccion AP, Suzuki LB, Juliano BO. 1976.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during storage. Starch 28(3):88-94 

  22. Webb BD. 1980. Rice quality and grades. In 'Rice: Production and utilization', Luh BS(ed), Avi Publication Company, Inc, Westport, Conneticut, USA pp. 343-565 

  23. Yelandur M, Indudhara S, Chakrabhavi MS, Bhattacharya KR. 1978.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with aging. J Sci Food Agric 29(7):627-639 

  24. Zhout Z, Robards K, Helliwell S. Blanchard C. 2002. Aging of stored Rice: Changes in chemical and physical attributes. J Cereal Sci 35:65-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