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브랜드 쌀 33종의 품종별 식미 관련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roperties Affecting the Palatability of 33 Commercial Brands of Ri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3, 2012년, pp.301 - 309  

김채은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미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경일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미가 우수한 쌀 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경상북도 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브랜드 쌀 33종을 품종별로 분류하여 이화학적 특성, 외관적 품위 특성, 취반 후 물성 및 식미치 분석을 통하여 식미 관련 요인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1. 시판 브랜드 쌀 33종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17.04-17.98% 이었다. 품종별로 보면, 남평벼의 아밀로오스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새추청벼가 가장 많은 아밀로오스를 함유하고 있었다. 33종 브랜드 쌀의 단백질 함량은 6.72-7.55%로, 일품벼, 히토메보레, 추청벼 및 새추청벼의 단백질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남평벼의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다. 33종 브랜드 쌀의 수분 함량은 13.08-14.83%의 범위에 있었으며, 5 품종 중에서 새추청벼, 남평벼의 수분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히토메보레와 추청벼의 수분 함량이 높았다. 2. 시판 브랜드 쌀의 완전미 비율은 추청벼, 새추청벼 및 일품벼가 90% 이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이 중 추청벼가 92.42%로 가장 높아 외관상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밥맛이 좋다고 알려진 일본쌀에 비해서는 수치가 낮아 쌀 재배부터 수확 후 저장까지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3. 시판 브랜드 쌀 33종 중에서 추청벼와 남평벼의 경도가 낮았으며, 히토메보레, 새추청벼 및 일품벼의 경도가 높았다. 부착성은 히토메보레와 남평벼가 낮았으며, 추청벼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4. 시판 브랜드 쌀 33종의 기계적 식미치는 일품벼, 남평벼와 새추청벼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추청벼가 가장높은 식미치를 보였다. 이를 앞서 분석한 이화학적 성분, 취반 물성 특성 및 외관 품질 특성 결과와 종합해보면, 단백질 함량은 높고, 수분 함량은 낮은 새추청벼과 남평벼 품종이 식미치가 낮은 반면, 단백질 함량과 경도가 낮으며, 수분 함량과 부착성 및 완전미 비율이 높았던 추청벼 품종의 식미치가 높게 나타났다. 5. 브랜드 쌀의 이화학적 성분, 외관상 품위, 취반 물성 및 식미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계적 식미치는 조직감, 수분 함량 및 완전미 비율과는 정의관계를, 단백질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쌀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이 낮으며 수분 함량과 완전미의 비율이 높을수록 식미치가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판 브랜드 쌀 33종 중에서는 추청벼 품종이 대표적인 식미 우수품종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operties affecting the palatability of 33 commercial brands of rice. Five rice variet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Chucheongbyeo, Hitomebore, Ilpumbyeo, Nampyeongbyeo, Seachucheongbyeo, were compared in term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exture, he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미가 우수한 쌀 품종 개발을 위한 생화학적 지표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경상북도 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브랜드 쌀 33종을 품종별로 분류하여 이화학적 특성, 취반 후 물성, 외형적 품질 및 식미치를 비교·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식미가 우수한 쌀 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경상북도 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브랜드 쌀 33종을 품종별로 분류하여 이화학적 특성, 외관적 품위 특성, 취반 후 물성 및 식미치 분석을 통하여 식미 관련 요인들을 비교·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2)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DMR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 구성 성분의 화학적인 특성과 식미는 무슨 관계가 있나? 쌀 구성 성분의 화학적인 특성도 식미와 관계가 있다. 쌀 배유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함량의 조성비가 식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취반 시에 밥의 끈기는 작아지고 부피와 경도가 커진다. 배유구성 성분중 단백질은 약 7% 정도이며,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밥의 경도가 증가하여 식미가 저하된다(Lee et al., 1996). 쌀의 지질 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일반적으로 백미에는 1% 정도로 존재한다(Juliano, 1972). 백미의 지질조성을 보면 중성지질이 88% 정도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있다(Lee et al., 1988; Lee et al., 1989). 지질 성분은 열전달 및 풍미를 내는 성분이며, 조직의 물성에 영향을 미쳐 밥의 식감을 결정한다(Pomeranz, 1985). 그 외에 Mg/K의 비율이 높은 쌀이 식미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식미가 좋은 쌀로 알려진 일본 고시히까리 현미의 경우는 Mg/K 비율이 0.42로 다른 쌀보다 높다(Kim, 2003). 반면, Mg/K 비율이 높았으나 밥맛은 낮았다고 보고한 연구도 있다(Oh, 1993).
본 고에서 식미 관련 요인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분석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식미가 우수한 쌀 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경상북도 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브랜드 쌀 33종을 품종별로 분류하여 이화학적 특성, 외관적 품위 특성, 취반 후 물성 및 식미치 분석을 통하여 식미 관련 요인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1.
쌀은 우리나라 농업 총 생산액의 얼마를 차지하는 주식 작물인가? 쌀은 우리나라 농업 총 생산액의 40%를 차지하는 중요한 주식 작물이다(Choi, 2002). 최근 FTA를 비롯한 쌀 시장개방이 예정되고 있어, 이로 인해 우리나라 쌀산업에 대한 우려가 크며 이에 대한 대응책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S. K. 2003. History of rice and palatabil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Symposium. pp. 24-48. 

  2. Kim, S. S. 1997. Palatability assessment of rice. Korea Rice Technical Working Group. 106-137. 

  3.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varieties for high-quality and value -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S) : 15-32. 

  4. Choi, H. C., H. C. Hong, and B. H. Nahm. 1997.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rain associated with palatability in japonica rice. Korean J. Breed. 29(1) : 15-27. 

  5. Choi, Y. H., K. H., Kim, H. C. Choi, H. G., Hwang, Y. G. Kim, K. J. Kim, and Y. T. Lee. 2006. Analysis of grain quality properties in Korea-bred Japonica ric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1(7) : 624-631. 

  6. Chung, N. J., J. H. Park, K. J. Kim, and J. K. Kim. 2005. Effect of head rice ratio on rice palatability. Korean J. Crop Sci. 50(S) : 29-32. 

  7. Hong, H. C., C. Y. Chung, and K. J. Kim. 2004. Palatability assessment. Korean J. Crop Sci. 49(S1) : 284-294. 

  8. Hwang, H. G. 1994. Classification of rice varieties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with grain quality of rice. J. Agri. Sci. 36(1) : 52-64. 

  9. Juliano, B. O. 1972. The rice caryopsis and its composition. pp. 16.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Houston DF(ed). Am. Assoc. Cereal Chem. Publisher. St. Paul, Minnesota. USA. 

  10. Kang, J. R., J. T. Kim, I. Y. Beg, J. I. Kim. 2005.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rat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Korean J. Crop Sci. 50 : 37-40. 

  11. Kim, K. H. and H. K. Joo. 1990.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I). Locational variation of quality-related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Korean J. Crop Sci. 35(1) : 34-43. 

  12. Lee, H. J., H. J. Lee, S. M. Byun, and H. S. Kim. 1988. Studies on the lipid contents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 : 585-593. 

  13. Lee, H. J., H. J. Lee, S. M. Byun, and H. S. Kim. 1989.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2) : 262-268. 

  14. Lee, J. I., K. Kim, J. C. Shin, E. H. Kim, M. H. Lee, and Y. J. Oh. 1996. Effects of ripening temperature on quality appearance and 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J. Agri. Sci. 38(1) : 1-9. 

  15. Oh, S. H., S. S. Lee, P. S. Park, H. G. Jeong, and S. D. Lee. 2003. Measuring consumers' value of the head rice using the CVM. Kor. J. Intl. Agri. 15(2) : 140-147. 

  16. Oh, Y. B. 1993. Varietal and culture-seasonal vari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Korean J. Crop Sci. 38(1) : 72-84. 

  17. Okabe, M. 1979. Texture measurement of cooked ric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eating quality. J. Texture Std. 10 : 131-152. 

  18. Pomeranz, Y. 1985. Lipids. pp. 241. In :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 components. Schweigert BS, Hawthorn J, Stewart FG(ed). Academic Press Inc., Orlando, Florida. USA.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Production method on high-quality rice. p. 14. 

  20. Song, Y. E., S. H. Cho, Y. R. Kwon, and D. C. Choi. 2008. Quality of Jeonbuk-originated brand rice compared with other domestic brands and imported market rice. Korean J. Crop Sci. 53(4) : 347-352. 

  21. Yoon, M. R., H. J. Koh, and M. Y. Kang. 2008. Variation of properties of lipid components in rice endosperm affected on palatabil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3) : 20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