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확기간별 배추를 이용한 김치의 저장조건에 따른 Total Glucosinolates 함량 및 이화학적 변화
Changes in Total Glucosinolates Level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imchi using Korean Chinese Cabbage of Harvest Time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5, 2009년, pp.612 - 617  

정지인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은영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원 (CJ 제일제당(주) 식품연구소) ,  오지영 (CJ 제일제당(주) 식품연구소) ,  권민수 (CJ 제일제당(주) 식품연구소) ,  이강표 (CJ 제일제당(주) 식품연구소)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김치의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별 total GSL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6~7월, 8~9월, 10~11월, 12~4월 및 5월(2008년) 수확하여 제조한 배추김치를 anion-exchange column을 통과시키고 아세톤 침전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crude myrosinase로 반응시켜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의 경우 8~9월 배추김치가 다른 기간에 제조된 배추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H의 경우 $15^{\circ}C$ 저장 3일, $10^{\circ}C$ 저장 7일, $4^{\circ}C$ 저장 14일에서 모든 김치의 pH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Total GSLs를 분석한 결과 저장온도에 따라 $15^{\circ}C$$10^{\circ}C$의 경우 저장 3일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4^{\circ}C$의 경우 저장 28일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배추김치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8~9월 배추김치의 함량이 다른 기간에 제조된 배추김치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배추김치의 저장에 따른 total GSLs 함량은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chi is a traditional pickled food using Korean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and also containing phytochemicals, glucosinolat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total glucosinolates levels of Kimchi using Korean Chinese cabbage of harvest time(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십자화과 채소인 배추의 재배 및 수확기간 따른 김치 제조 시 형성되는 분해산물의 종류와 함량이 다를 것으로 추정하고 분해산물의 기지물질인 GSLs의 함량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김치는 발효 및 저장식품이므로 다양한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GSLs의 함량변화도 연구하여 김치품질 변화 요인을 찾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십자화과 채소인 배추의 재배 및 수확기간 따른 김치 제조 시 형성되는 분해산물의 종류와 함량이 다를 것으로 추정하고 분해산물의 기지물질인 GSLs의 함량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김치는 발효 및 저장식품이므로 다양한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GSLs의 함량변화도 연구하여 김치품질 변화 요인을 찾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추란 무엇인가? 배추(Korean Chinese cabbage, Brassica pekinensis R.)는 십자화과(Brassica vegetables)에 속하는 채소로 우리나라에서 생산 및 소비가 높은 채소 중에 하나이다. 배추는 쌈채소나 샐러드 등의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채소의 특성상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품질저하가 일어나 장기간 일정하게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김치의 형태로 가공하여 소비되고 있다.
배추는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 )는 십자화과(Brassica vegetables)에 속하는 채소로 우리나라에서 생산 및 소비가 높은 채소 중에 하나이다. 배추는 쌈채소나 샐러드 등의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채소의 특성상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품질저하가 일어나 장기간 일정하게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김치의 형태로 가공하여 소비되고 있다. 배추김치는 소금으로 절인 후 여러 가지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발효식품으로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영양소뿐만 아니라 페놀화합물 등의 생리활성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 고혈압예방, 항산화 등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배추김치 제조과정 중 배추김치 맛 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배추김치 제조과정 중 절임공정, 숙성공정 및 저장과정 조건은 배추김치 맛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특히, 절임공정의 염수 농도 및 절임시간, 숙성 및 저장과정에서의 온도와 시간은 배추김치 맛 형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에 대한 최적의 조건 및 표준화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김치의 발효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저온저장 방법이며(3), 김치의 숙성과정의 경우도 온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4,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eon, Y.S., Kye, I.S. and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2. Lee, K.H., Cho, H.Y. and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a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3.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and Koo, Y.J.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4. Park, W.S., Lee, I.S., Han, Y.S. and Koo, Y.J. (1994)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5. Kang, J.H., Kang, S.H., Ahn, E.S., Yoo, M.J. and Chung, H.J. (2003)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roperties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Cult., 19, 30-42 

  6. Song, L. and Thornalley, P.J. (2007) Effect of storage, processing and cooking on glucosinolate content of Brassica vegetables. Food Chem. Toxicol., 45, 216-224 

  7. Heaney, R.K. and Fenwick, G.R. (1980) The analysis of glucosinolates in Brassica species using gas chromatography. Direct determination of the thiocyanate ion precursors, glucobrassicin and neoglucobrassicin. J. Sci. Food Agric., 31, 593-599 

  8. Mithen, R.F., Lewis, B.G., Heaney, R.K. and Fenwick, G.R. (1987) Glucosinolates of wild and cultivated Brassica species. J. Phytochem., 26, 1969-1973 

  9. Elizabeth, K.L., Tracy, K.S., Rosemary, G.C. and Ian, T.J. (2001) Cell death in the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T29 in response to glucosinolate metabolites. J. Sci. Food Agric., 81, 959-961 

  10. Faukner, K., Mithen, R. and Williamson, G. (1998) Selective increase of the potential anticarcinogen 4-methylsulphinylbutyl glucosinolate in broccoli. J. Carcinogen., 19, 605-609 

  11. Chun, S.S., Choi, O.J., Cho, Y.S., Park, S.K. and Park, J.R. (1995) Changes in pungent components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4, 54-59 

  12. Kim, M.R. and Rhee, H.S. (1992) Changes i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crease of pungency in "Kagdug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61-366 

  13. Fenwick, G.R. and Mullin, W.J. (1983) Glucosinolates and their breakdown products in food and food plants. Food Sci. Nutr., 18, 123-201 

  14. Rosa, E.A., Heaney, R.K., Portas, C.A. and Fenwick, G.R. (1996) Changes in glucosinolate concentrations in Brassica Crops(B oleracea and B napus) throughout growing seaseons. J. Sci. Food Agric., 71, 237-244 

  15. Agerbirk, N., Olsen, C.E. and Nielsen, J.K. (2001) Seasonal variation in leaf glucosinolates and insect resistance in two types of Barbarea vulgaris ssp. arcuata. J. Phytochem., 51, 91-100 

  16. Kim, Y.K. and Kim, G.H. (2003) Changes in 3-butenyl isothiocyanate and total glucosinolates of seeds and young seedlings during growth of Korean Chinese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0, 365-369 

  17. Brzezinski W. and Medelewski P. (1984) Determination of total glucosinolate content in rapeseed meal with thymol reagent. Z. Pflanzenzuchtg., 93, 177-183 

  18. Lee, J.T., Lee, G.J., Park, C.S., Hwang, S.W. and Yeoung, Y.R. (2005) Effect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Sod culture on reducing soil loss and providing nitrogen for Chinese cabbage in highland. Korean J. Soil Sci. Fert., 38, 294-300 

  19. Lee, I.S., Park, W.S., Koo, Y.J. and Kang, K.H. (1994) Comparison of fall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26-230 

  20. Agerbir, N., Olsen, C.E. and Nielsen, J.K. (2001) Seasonal variation in leaf glucosinolates and insect resistance in two types of Barbarea vulgaris ssp. arcuata. J. Phytochem., 58, 91-100 

  21. Yeoung, Y.R., Yon, C.S. and Kim, B.S. (2005) Influence of fungicide diniconazole in Chinese cabbage on leaf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J. Kor. Soc. Hort. Sci., 46, 13-17 

  22. Chen, X.J., Zhu, Z.J., Ni, X.L. and Qian, Q.Q. (2006) Effect of nitrogen and sulfur supply on glucosinolates in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Agric. Sci. China., 5, 603-608 

  23. Kim, M.J. and Kim, S.D.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major spr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43-348 

  24. Shim, K.H., Sung, N.K., Kang, K.S., Ahn, C.W. and Seo, K.I. (1992) Analysis of glucosinolates and the change of content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in cruciferous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21, 4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