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을 지닌 유아의 식행동과 식사균형도 조사
A Survey of Dietary Behavior and Meal Balance of Preschool Children with ADHD Dispos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1, 2010년, pp.102 - 113  

김남희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ietary behavior, meal balance, and clinical symptoms related nutritional statu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n preschool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subjects were 3~6 years ol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유아 부모가 자녀의 식습관 문제점으로 가장 많이 지적한 편식의 경우, Her & Jung(2009)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교사가 생각하는 유아의 가장 심각한 영양문제로 나타나, 유아의 부모와 교사 모두 편식이 유아기의 교정해야 할 중요한 식습관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ADHD 성향군에게서 높게 나타난 편식의 경우 어떤 식품을 편식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포함하지 않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어려우나, 편식은 특정 식품 군을 좋아하여 과다하게 섭취하거나, 또는 싫어하여 섭취를 제한하는 것으로 특정 식품군에 포함된 영양소나 일부 성분의 결핍 또는 과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ADHD 성향군에서 한꺼번에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과식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최근에 ADHD와 폭식행동 간에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Davis 등 2006; Strimas 등 200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HD가 7세 이전에 이미 시작된다는 연구 결과(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에 기초하여 ADHD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ADHD 성향에 대한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정상군과 ADHD 성향군을 구분하고 이들의 식사 빈도, 간식빈도 및 메뉴, 식생활 문제점 등의 식행동과 식사균형도, 영양 및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는 임상증상의 발생 정도에 대하여 비교 평가함으로써 유아기 ADHD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는 언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가?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그 원인과 결과를 정확히 규명하기는 어려우나 ADHD 아동의 경우, 정상아동의 식생활과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DHD는 학령기 이전인 영유아기 때부터 나타나기 시작하기 때문에(Collier & Morris 1987), ADHD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된다면, 발생단계에서의 사전적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까지의 우리나라 연구들은 대부분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으며, 유아 대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에 Joo 등(2006)이 4~7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간식의 섭취가 ADHD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보고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경우, 과자류, 패스트푸드류, 탄산음료, 이온음료, 과실음료의 섭취가 많을수록 과잉 행동 유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의 발생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로 어떤 것이 있는가? ADHD의 발생 원인에 대하여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아직 확실히 규명된 바 없다. 유전, 신경생리학적 원인들과 더불어 일부에서 식품첨가물이나 색소, 설탕 등의 섭취량, 식사내용, 아침식사의 섭취여부, 간식 섭취 등의 식생활 요인이 과잉행동과 관련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으며(Kim & Shim 1995; Chung & Park 1995; McCann 등 2007; Choi & Lee 2009), ADHD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경우 인공색소의 섭취가 과잉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chab & Trich 2004). 또한 최근에 McCann 등(2007)은 인공색소와 보존료의 섭취가 3세와 8, 9세 아동에게서 과잉행동을 증가시킨다고 보고 하였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정신박약이나 중추신경계의 뚜렷한 이상 없이 행동장애, 학습장애 등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2~18%의 아동에게서 발생하는 소아․청소년기의 흔한 정신과적 장애 중 하나이다(Rowland 등 2002). 우리나라의 경우, ADHD의 발생률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 으나, 2006년 서울시 ‘소아 청소년 정신보건센터’는 서울 시내 초중고교 학생 2,664명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서 3분의 1 이상이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고, 특히 초등학생 중 한 학급의 약 15% 정도가 ADHD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동아일보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tfas JR. 2002. Prevalence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ong adults in obesity treatment. BMC Psychiatry 2:1-8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IV(4th ed., text revision). pp.8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Barkley RA. 1996.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4. Choi JY, Lee SS. 2009.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Nutr 42:682-690 

  5. Chung HK, Park SS. 1995. The effect of sugar intake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f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8:644-652 

  6. Collier ST, Morris RJ. 1987. Assess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hyperactivity, Handbook of in Childhood Psychopathology 1st ed. by Frame CL. pp.271-321. Plenum Press. New York 

  7. Conners CK. 1969. A teacher rating scale for use in drug studies. Am J Psychiatry 126:884-888 

  8. Davis C, Levitan RD, Smith M, Tweed S, Curtis C. 2006. Associations among overeating, overweight,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Eat Behav 7:266-274 

  9. Feingold BF. 1977. Behavioral disturbances linked to the ingestion of food additives. Del Med J 49:89-94 

  10. Gajre NS, Fernandez S, Balakrishna N, Vazir S. 2008. Breakfast eating habit and its influence on attention-concentration, immediate memory and school achievement. Indian Pediatr 45:824-828 

  11. Goyette CH, Conners CK, Ulich RF. 1978.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J Abnorm Child Psychol 6:221-236 

  12. Her ES, Jung SH. 2009. Analysis of dietary education status and the demand of chid center teachers in Masan. Korean J Food & Nutr 22:166-176 

  13. Holtkamp K, Konrad K, Muller B, Heussen N, Herpertz S, Herpertz-Dahlmann B, Hebebrand J. 2004.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685-689 

  14. Jahns L, Siega-Riz AM, Popkin BM. 2001.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snacking among US children from 1977 to 1996. J Pediatr 138:493-498 

  15. Jang EK. 2006. A validation study of the K-CBCL Preschool in screening of ADHD. MS thesis. pp. 21-24, 68-70.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6. Jin HJ. 2008. Effects of food additive controversy on the security values of confectionery companies. Korean J Agricultural Economics 47:85-112 

  17. Joo NM, Kim SH, Park HN, Lee SY, Kim MJ, Jung KS. 2006. The effect of snack intake of preschoolers on ADHD. Korean J Food Culture 21:193-201 

  18. Kang MH, Kim EY, Choi MK. 2008. Relation between nutrient intake and ADHD in preschool children. Abstract 1-1, Autum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19. Kim KA, Shim YH. 1995. Cognitive performance and hyperactivity in terms of eating behavior and physical growth among preshcoolers-1.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ers. Korean J Dietary Culture 10:269-279 

  20.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215-224 

  21. Lee HO. 2008. A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and food lifestyles between double income families and housewives children. Korean J Food & Nutr 21:106-113 

  22. Lee JM, Park HJ, Park SM. 2003. A survey on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ure 18:151-159 

  23. Mattes JA, Gittelman R. 1981. Effects of artificial food colorings in children with hyperactive symptoms. Acritical review and results of a controlled study. Arch Gen Psychiatry 38:714- 718 

  24. McCann D, Barrett A, Cooper A, Crumpler D, Dalen L, Grimshaw K, Kitchin E, Lok K, Porteous L, Prince E, Sonuga-Barke E, Warner JO, Stevenson J. 2007. Food additives and hyperactive behaviour in 3-year-old and 8/9-year-old children in the community: A randomis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370:1560-1567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e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26. Mo SM, Kwon SJ, Lee KS. 2000. Do you Know Children's Dining. Kyomoonsa. Seoul 

  27. Oh KJ, Lee HR. 1989. Assessment of ADHD with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 Korean J Clinical Psychology 8:135-142 

  28. Oh YM, Kim MH, Sung CJ. 2005.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 on nutritional knowledge and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163-173 

  29. Rampersaud GC, Pereira MA, Girard BL, Adams J, Metzl JD. 2005.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5:743-760 

  30. Ross DM, Ross SM. 1982. Hyperactivity; Current Issues, research and Theory. 2nd ed. Plenum Press. New York 

  31. Rowland AS, Lesesne CA, Abramowitz AJ. 2002. The epidemiolog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 public health view. Ment Retard Dev Disabil Res Rev 8:162-170 

  32. Schab DW, Trinh NH. 2004. Do artificial food colors promote hyperactivity in children with hyperactive syndromes? A meta-analysis of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s. J Dev Behav Pediatr 25:423-34 

  33. Strimas R, Davis C, Patte K, Curtis C, Reid C, McCool C. 2008. Symptom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overeating, and body mass index in men. Eat Behav 9:516-518 

  34. Sung CJ, Sung MK, Choi MK, Kang YL, Kwon SJ, Kim MH, Seo YL, Adachi M, Mo SM. 2001. A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150-1613 

  35. Yearbook of School Health.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2008 

  36. 동아일보. 2006. 4. 10. 초중고생 세 명중 한명 정신건강 문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