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8, 2009년, pp.682 - 690  

최진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이상선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지역 남녀 중학생 1, 2, 3학년 631명을 대상으로 식습관, 간식 및 매식의 섭취빈도, 영양지식, 일반사항을 조사하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는 코너스 평정 척도 청소년용 단축형 [CASS(S)]으로 조사하였다. 진단분할점 기준 이상인 학생을 ADHD로 진단하였고, '정상군'과 'ADHD군'으로 구분하여 식습관과 영양지식과 ADHD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학생들의 ADHD 진단결과 '정상군'은 587명 (93%), 'ADHD군'은 44명(7%)로 나타났다. ADHD 군으로 진단된 학생은 성별에 따라 남학생이 56.8%, 여학생이 43.2%이었고, 학년에 따라 1학년은 29.5%, 2학년은 43.2%, 3학년은 27.3%이었다. 2) 조사대상 학생들의 아침 및 간식의 섭취를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의 횟수를 묻는 문항에서 '주 5회 이상' 아침을 먹는 학생들은 정상군은 64.7%, ADHD군은 45.4%로 정상군에서 아침식사의 횟수가 더 많았다. 간식의 선택기준을 묻는 문항에서 정상군은 '맛', '가격', '영양', ADHD군은 '맛', '가격', '친구들의 영향'순으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를 분석한 결과 ADHD군에서 '라면류'와 '식당에서 매식'의 섭취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조사대상 학생들의 식습관점수를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서 단백질과 해조류의 섭취가 많고, 아침식사를 먹고 편식하지 않는 규칙적인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ADHD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ADHD 군의 식습관 점수는 정상군은 22.02점, ADHD군은 19.57 점으로 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5) 영양지식 문항에 대한 조사대상 학생들의 인식률과 정답률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과 무기질, 체중관리와 관련된 문항의 인식률과 비타민과 무기질에 관한 사항과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한 정답률이 정상군에서 AD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영양지식 점수는 정상군은 7.38점, ADHD군은 5.77점으로 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6) 영양지식, 식습관,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영양지식점수는 식습관 점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점수는 식습관점수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와는 양의 상관 관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군 (ADHD군)에서 정상군보다 아침식사의 섭취횟수가 적고, 간식과 매식의 섭취빈도는 높았다. 또한 식습관과 영양지식 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는 ADHD의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ADHD의 위험성, 식습관과 ADHD와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을 제시하여 스스로 식습관 변화에 대한 의지를 갖도록 하고, 가공식품의 문제점, 아침식사의 중요성, 영양소와 급원식품 등에 대한 영양지식을 증가시키고 정확한 영양지식을 갖출 수 있는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간식과 매식의 올바른 식품선택 방법, 바람직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통신문을 통하여 가족구성원의 지지를 높이고 학교매점에서 가공식품의 판매를 줄이는 등의 환경의 변화로 영양교육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otal study subjects were 631 students, 51.8% was male and 48.2% was female. In the assessment of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ADHD와의 관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ADHD를 예방 할 수 있는 식습관 형성과 ADHD로 진단된 학생들에게 식습관 교정을 할 수 있는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중학생의 식습관·영양지식과 ADHD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8%의 학생이 ADHD군으로 선별되었다. 이 조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학생을 조기에 체계적으로 선별하고 적정치료를 받게 함으로써 학생 정신 건강증진 및 건강한 학습 분위기 조성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선별된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전문가의 상담, 의료비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는 제 2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으며, 심리적으로는 사춘기라는 특수한 감정의 성숙이 이루어지며 가치관이 변화되고 형성되는 시기이다. 또한 식습관이 형성되고 형성된 식습관이 고정되어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기는 영양학적으로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는 제 2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으며, 심리적으로는 사춘기라는 특수한 감정의 성숙이 이루어지며 가치관이 변화되고 형성되는 시기이다. 또한 식습관이 형성되고 형성된 식습관이 고정되어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기 식사행동은 영양 지식, 가치관, 가족관계, 심리적 안정 및 성격 형성 등과 관련이 있으며 학교, 가정,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청소년기 식사행동은 무엇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가? 또한 식습관이 형성되고 형성된 식습관이 고정되어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기 식사행동은 영양 지식, 가치관, 가족관계, 심리적 안정 및 성격 형성 등과 관련이 있으며 학교, 가정,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o DH. The influences of feeding/eating disorders and nutritional patterns on child behavioral development. Kyongbok Junior College J 1996; 15(1): 23-44 

  2. Moon SJ, Yoon J, Lee YM. The study of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eating behavior and nutrients intake in urban adolescents. Yonsei J Euthenics 1989; 3: 47-61 

  3.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HS. Nutrition education In: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HS, editor. Nutrition Education & Counceling. Seoul: Kyomunsa; 2005. p.282 

  4. Kim EJ, Na HJ, Kim YN. Awareness on food additives and purchase of processed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Living Sci Assoc 2007; 16(1): 205-218 

  5. Lee YS, Lim HS, Ahn HS, Jang NS. Nutrition in life cycle. Seoul: Kyomunsa; 2006 

  6. Park SS, Kim NY, Han MJ.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2): 164-173 

  7. Lee YS, Bang YW. Attention-di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dolescents and adults. Korean J Neuropsychiatr Assoc 1998; 37(5): 932-941 

  8. Lee JS, Ock SM.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Korean J Acad Fam Med 2008; 29(1): 1-12 

  9. Lee OH, Shin HO. Theoretical study abou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Sungshin J 2001; 37: 193-218 

  10. Barkley R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1998 

  11. Yearbook of school health,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2008 

  12. Kim KA, Shim YH. Cognitive performance and hyperactivity in terms of eating behavior and physical growth among preschoolers-1. A survey on eating behavior of preschoolers. Korean J Dietary Culture 1995; 10(4): 269-279 

  13. Ohm JA. Relationship of eating behavior with social competenc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of children. Ewha J Educational Research 2003; 34(2): 57-71 

  14. Joo NM, Kim SH, Park HN, Lee SY, Kim MJ, Jung KS. The effect of snack intake of preschoolers on ADHD. Korean J Food Culture 2006; 21(2): 193-201 

  15. Kim H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behavior of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J Human Ecology University of Ulsan 2003; 4(2): 71-84 

  16. Chung HK, Park SS. The effect of sugar intake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f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1995; 28(7): 644-652 

  17. Conners CK. Conners Rating Scales-Revised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Health Systems; 1997 

  18. Bahn GH, Shin MS, Cho SC, Hong K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cale for ADHD in adolesc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CASS(S). J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001; 12(2): 218-224 

  19. Cho SC, Shin M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o SC, Shin MS editor. Diagnostic assessment of children psychopathology. Seoul: Hakjisa; 2006. p.99-101, p.112-113 

  20. Yang SJ, CHeong SS, Hong SD.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ttention hyperactivity disorder: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in Seoul. Korean J Neuropsychiatr Assoc 2006; 45(1): 69-76 

  21. Lee JO, Seo JM, Kim JS, Jun SS. A study on middle school teacher's knowledge, cop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Korean J Soc School Health 2004: 17(2): 35-46 

  22. Jin YH. The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 in the small city. Korean J Dietetic Assoc 2001; 7(4): 320-330 

  23. Jo JI, Kim HK. Food habits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Korean J Nutr 2008; 41(8): 797-808 

  24. Kang HH.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nxiety among school aged children 'dissertation'. Seoul: Chongshin University; 2005 

  25. Woo MK, Hyun TS, Lee SY, Mo SM. A study of ecology in food focused on breakfast of student and adult with professional occupations in the urban areas. Korean J Farm Med 1986; 24(3): 103-118 

  26. Chang NS.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Korean J Dietetic Assoc 1997; 3(2): 216-222 

  27. Oh KH, Jung RW, Lee HG. A study on 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 habits and a health condition of high-school girls. Korean J Human Ecol 1994; 12: 93-113 

  28. Sung SH, Yu OK, Sohn HS, Cha YS. A comparison of dietat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Soc Food Sci Nutr 2007; 36(8): 995-1009 

  29. Park EJ.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30. Jang HS.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2004; 52(1): 453-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