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건강교육프로그램이 남성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Worksite On-lin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Nutrient Intakes of Male Worker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1, 2010년, pp.57 - 68  

강지연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보건연구원) ,  조상운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보건연구원) ,  이지영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보건연구원) ,  성숙희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보건연구원) ,  박유경 (경희대학교 임상영양연구소) ,  백윤미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보건연구원) ,  최태인 (한국수력원자력(주) 방사선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s have been associated with reductions in health risks but are labor-intensive and costly to implement. Therefore, innovative strategies to provide a cost-effective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국내연구 중에 웹기반 건강증진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온라인 건강교육을 통한 직장 내 건강증진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직장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건강교육이 대사증후군 지표 및 식이섭취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인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업장내 인트라넷의 개인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건강교육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지표 및 식이섭취 변화에 효과적인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 7%로 높게 조사되어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건강교육 시 과잉 소금 섭취로 인한 위험성, 싱겁게 먹는 방법, 싱겁게 조리하는 방법 및 영양표시 보는 법 등을 소개하여 생활습관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나트륨의 섭취는 교육군의 경우 교육 전 2,223.
  • 본 프로그램은 질병관리본부에서 개발한 Dish based FFQ을 보완한 것으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섭취한 식품의 빈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타당성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23) 또한 음식별 1인 분량의 이미지를 삽입하여 실제 섭취한 양이 비교적 정확히 조사되도록 하였으며, 설문 결과로부터 연구 대상자의 1일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이는 웹 기반 온라인 프로그램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면대면 프로그램이나 다차원적 (multi-component) 중재의 한 구성요소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31) 본 연구에서 온라인 건강증진프로그램 적용에도 불구하고 교육 참여자의 신체 계측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우선 근로자들의 참여의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온라인 건강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이러한 지표 개선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받았을 지라도 근로자들의 참여의지에 따라 교육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고혈당, 복부비만, 고지혈증, 고혈압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로 대사증후군이 있는 성인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은 2~4배까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경제성장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생활양식의 서구화는 한국인의 질병양상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현재 우리나라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30세 이상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32.
직장 내 대사증후군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직장 환경은? 9%로 보고된 바 있다.3) 직장은 근로자들이 인생의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근원이 되기도 하지만 과다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잦은 외식, 음주, 운동부족 등을 초래하여 생활습관질환의 경과를 악화시키는 공간이기도 하다.4) 따라서 근로자들의 식행동을 개선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촉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었으며, 직장 내 대사증후군의 위험집단을 조기에 발견하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해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직장 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써 컴퓨터 통신기술을 활용하는 것의 이점은?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누구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건강교육 분야에서도 컴퓨터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식생활 및 건강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5,6) 특히, 직장 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써 컴퓨터 통신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보다 저렴한 비용과 노력으로 잠재적인 질병 위험군 속하는 근로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eigs JB. Epidem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Am J Manag Care 2002; 8(11): 283-292 

  2.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Taskinen MR, Groop 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 24(4): 683-689 

  3. Lim S, Park KS, Lee HK, Cho SI.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over the period 1998-2001 as determined by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iabetes Care 2005; 28(7): 1810-1812 

  4. Kwak HS, Ryu SW, Youn KI.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2008; 33 (1): 105-118 

  5. Song HY, Kim GY, Park SM, Hur H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web-based tailed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and change in knowledge of nutrition and eating habits in elementary students. J Kor Soc Med Informatics 2004; 10(3): 329-338 

  6. Kim JS, Han JS. Effects of a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food intake and serum lipids in hyperlipidemic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8): 1302-1310 

  7. Pelletier KR.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cost-effectiveness studies of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management programs at the worksite: 1995-1998 update (IV). Am J Health Promot 1999; 13(6): 333-345 

  8. Aldana SG. Financial impa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Health Promot 2001; 15(5): 296-320 

  9. Lee SY, Lee KS, Koo JW, Yim HW, Kim HR, Park CY, Choi SK. Effectiveness of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reduc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ubway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 18(1): 15-24 

  10. Park SY, Chae JR, Jang MN. The effect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on health strength and blood of shift workers. J Sport Leisure Studies 2008; 34(2): 1041-1052 

  11. Kwak WS, Won JU, Rhie JB, Lee MS, Kang EJ, Roh JH. A Workplace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its short-term health effect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9; 21(1): 46-52 

  12. Park JW, Kim YS, Kim GY. Effects of a occup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J Korean Acad Nurs 2002; 32(2): 196-205 

  13. Lee MS, Kang HJ, Oh HS, Paek YM, Choue RW, Park YK, Choi TI.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46-61 

  14. Annesi JJ. Effects of computer feedback on adherence to exercise. Percept Mot Skills 1998; 87(2): 723-730 

  15. Sternfeld B, Block C, Quesenberry CP, Block TJ. Huss G, Norris JC, Nelson M, Block G. Improving diet and physical activity with ALIVE: A worksite randomized trial. Am J Prev Med 2009; 36(6): 475-483 

  16. Park JS, Kwon SM. Effect of an on-line health promotion program connected with a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J Korean Acad Nurs 2008; 38(3): 393-402 

  17. Kim JS, Han JS. Effects of a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food intake and serum lipids in hyperlipidemic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8): 1302-1310 

  18. Song HY, Kim GY, Park SM, Hur H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web-based tailed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and change in knowledge of nutrition and eating habits in elementary students. J Kor Soc Med Informatics 2004; 10(3): 329-338 

  19.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001; 285: 2486-2497 

  20. Lee EH, Kim HK, Lee YH, Moon SY, Kwon EJ, Lee SH. Effectiveness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7; 24(3): 1-19 

  21. Jeong IK. Clinical Significa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rapy. Korean Clinical Diabetes 2006; 7(1): 25-31 

  22.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WHO/IASO/IOFT: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d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0 

  23. Ahn Y, Lee JE, Cho NH, Shin C, Park C, Oh BS, Kimm K.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with participants of the 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173-183 

  24. Kim NJ. Relation between employees' life patterns and health condition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7; 24(2): 63-75 

  2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statistical yearbook, Daejeon; 2003 

  26. Muto T, Yamauchi K. Evaluation of a multicomponent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 conducted in Japan for improving employee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Prev Med 2001; 33(6): 571-577 

  27. Shimizu T, Horiguchi I, Kato T, Nagata S.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view-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t Japanese companies. J Occup Health 2004; 46(3): 205-212 

  28. Lustria ML, Cortese J, Noar SM, Glueckauf RL. Computer-tailored health interventions delivered over the Web: review and analysis of key components. Patient Educ Couns 2009; 74(2): 156-173 

  29. van Wier MF, Ariens GA, Dekkers JC, Hendriksen IJ, Smid T, van Mechelen W. Phone and e-mail counselling are effective for weight management in an overweight working popu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2009; 9: 6 

  30. Plotnikoff RC, McCargar LJ, Wilson PM, Loucaides CA. Efficacy of an E-mail intervention for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behavior in the workplace context. Am J Health Promot 2005; 19(6): 422-429 

  31. Rydell SA, French SA, Fulkerson JA, Neumark-Sztainer D, Gerlach AF, Story M, Christopherson KK. Use of a Web-based component of a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al intervention with Girl Scouts. J Am Diet Assoc 2005; 105(9): 1447-1450 

  32. Appel LJ, Sacks FM, Carey VJ, Obarzanek E, Swain JF, Miller ER 3rd, Conlin PR, Erlinger TP, Rosner BA, Laranjo NM, Charleston J, McCarron P, Bishop LM. OmniHeart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Effects of protein, monounsaturated fat, and carbohydrate intake on bloodpressure and serum lipids: results of the OmniHeart randomized trial. JAMA 2005; 294(19): 2455-2464 

  33. Kim J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its dietary risk factor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 University; 2008 

  34.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004; 23(4): 447-456 

  35. Krauss RM, Eckel RH, Howard B, Appel LJ, Daniels SR, Deckelbaum RJ, Erdman JW Jr, Kris-Etherton P, Goldberg IJ, Kotchen TA, Lichtenstein AH, Mitch WE, Mullis R, Robinson K, Wylie-Rosett J, St Jeor S, Suttie J, Tribble DL, Bazzarre TL. AHA Dietary Guidelines: revision 2000: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Nutrition Committee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0; 102(18): 2284-2299 

  3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37.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12 

  38. Ford ES, Mokdad AH, Giles WH, Brown DW. The metabolic syndrome and antioxidant concentration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2003; 52(9): 2346-2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