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남자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참여형 개선기법(PAOT) 프로그램을 적용한 3년간의 효과분석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Methods for the Management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anufacture Workers for Three-yea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4, 2016년, pp.384 - 393  

이정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감신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윤성용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ograms in korean manufacture workers with metabolic syndrome for three years. Methods: A total of 890 workers with risks of metabolic syndrome were recruited from one workplac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건강검진 결과 및 건강검진 문진표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을 ‘국가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NCEP-ATP] III)’의 기준에 맞추어 평가하고, 대사증후군 관리대상으로 평가된 근로자들의 다양한 위험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프로그램(Yoon et al., 2014)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대사증후군 관리 프로그램에 적용하였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한 후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참가자 51명이 작성한 개선 계획은 총 128개로 참가자 1명당 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한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을 적용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중재군과 대조군의 프로그램 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비교한다.
  •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프로그램은 건강검진을 통한 대사증후군 관리 대상을 평가하고 대사증후군예방관리를 위한 실천체크리스트 작성, 토의식 면담, 개선계획의 작성, 개선계획의 실천 확인 및 격려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개별적으로 건강관리실을 방문한 참가자들에게 전년도 일반건강검진결과를 바탕으로 시행한 대사증후군 관리대상으로 분류되었음을 알려주고 해당 참가자가 본인의 위험요인에 대해 확인하도록 하였다.
  • 그러나 동일사업장 내에서 동등성 평가후 프로그램을 3년이상 장기적으로 진행한 연구는 없었다.이에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시범사업에 참여한 제조업 사업장 남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여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 2005). 대사증후군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비만과 인슐린저항성으로 알려져 있으며(Reaven, & Chen, 1996), 비만으로 인해 유리지방산이 증가하고 이것이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며 고혈당, 고혈압, 지질 이상을 일으켜 심혈관질환을 유발한다(Blackburn & Bevis, 2003). 40~65세 남성을 대상으로 1979년부터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전향적 뇌심혈관계 질환 연구(Prospective Cardiovascular Munster (PROCAM) study)에서 당뇨병이나 고혈압이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 심근경색이 2.
대사증후군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높은 혈당,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지단백혈증중 3가지 이상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Grundy et al., 2005).
대사증후군 중재 프로그램인 치료적 습관개선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 결과 영양과 운동 중재로 체중과 중성지방, 허리둘레 수치는 감소하였다(Tonstand, Alm, & Sandvik, 2007). 하지만 대부분 단기적인 운영이거나 실행에 대한 정량적 평가 분석이 미흡한 경우가 많아 장기적인 효과분석을 위한 시스템적 개발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매년 대상자를 쉽게 선정할 수 있어야 하고,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건강행동을 실천해야만 예방되고 관리될 수 있다(Giugliano, ceriello, & Esposito,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guilar, M., Bhuket, T., Torres, S., Liu, B., & Wong, R. J. (2015).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United States, 2003-2012.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3(19), 1973-1974. http://dx.doi.org/10.1001/jama.2015.4260 

  2. Ahn, K. A., Yun, J. E., Cho, E. R., Nam, C. M., Jang, Y., & Jee, S. H. (2006). Framingham equation model overestimates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28(2), 162-170. 

  3. Assmann, G., & Schulte, H. (1988). The Prospective Cardiovascular Munster (PROCAM) study.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in persons with hypertension and or diabetes mellitus and the relationship to coronary heart disease. American Heart Journal. 116(6), 1713-1724. 

  4. Blackburn, G. L., & Bevis, L. C. (2003). The obesity epidemi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http://www.medscape.org/viewarticle/441282 

  5. Do, K. A., Jung, H. S., & Choi, E. H. (2015). Association between job-related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and female worker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tud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1), 39-47. http://dx.doi.org/10.5807/kjohn.2015.24.1.39 

  6. Giugliano, D., Ceriello, A., & Esposito, K. (2006). The effects of diet on inflammation: Emphasis on the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 College of Cardiology, 48(4), 677-685. 

  7. Grundy, S. M., Cleeman, J. I., Daniels, S. R., Donato, K. A., Eckel, R. H., Franklin, B. A., et al.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112(17), 2735-2752. 

  8. Kawakami, T., & Kogi, K. (2001). Action-oriented support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ograms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7(4), 421-434. 

  9. Kim, J. S., Woo, K. H., Min, Y. S., Kim, B. K., Choi, K. S., & Park, K. S.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Journal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5(4), 417-427. 

  10. Lee, J. E., Kim, S. L., Jung, H. S., Koo, J. W., Woo, K. H., Kim, M. Y. (2009).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for Hospital Nurses (PAOTHN) Program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1(4), 370-376. 

  11. Malik, S., Wong, N. D., Franklin, S. S., Kamath, T. V,. Pio, J. R,. Williams, G. R., et al. (2004). Impact of the metabolic syndrome on mortality from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on all causes in United states adults. Circulation, 110(10), 1245-1250. 

  12.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001).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13. O'Donnell, M. P. (2002). Employer's financial perspective on workplace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3rd ed.). Albany, NY: Delmar. 

  14. Park, H. S., Kim, S. M., Lee, J. S., Han, J. H., Yoon, D. K., & Balk, S. H., et al. (2007).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8-2001. Diabetes, Obesity & Metabolism, 9(1), 50-58. 

  15. Park, H. S., Sim, S. J., & Park, J. Y. (2004).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obese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9(2), 202-208. 

  16. Pretty, J. N., Guijt, I., Thompson, J,. & Scoones, I. (1995). Trainers GUIDE for participatory learning and action. Nottingham; Russel Press. 

  17. Reaven, G. M., & Chen, Y. I. (1996). Insulin resistance, its consequences, and coronary heart disease must we choose one culprit. Circulation, 93(10), 1780-1783. 

  18. Thurman, J. E., Louzine, A. E., & Kogi, K. (1988). Higher productivity and a better place to work: Action manual.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19. Tonstand, S., Alm, C. S., & Sandvik, E. (2007). Effect of nurse counselling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mild hypertens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6(2), 160-164. 

  20. Yoon, S. Y., Kam, S., Kim, J. S., Jo, S. Y., Kwon, Y. J., Woo, K. H., et al. (2012). The effect of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the workpla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4(2), 133-144. 

  21. Yoon, S. Y., Woo, K. H., Kim, H. S., Kim, Y. B., Kim, J. S., Jo, S. Y., et al. (2014).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rinciple. Korean Journal Health Education & Promotion, 31(5), 81-95. 

  22. Yoon, S. Y., Woo, K. H., Kim, J. S., Yu, J. Y., Choi, T. S., Jo, S. Y., et al. (2005).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to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r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7(3), 249-258. 

  23. Zimmet, P., Alberti, G., & Shaw, J. (2005). A new IDF worldwide defin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rationale and the results. Diabetes Voice, 50(3), 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