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 양치식물 지상부와 근경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Aerial Part and Rhizomes of Ferns Native to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1, 2010년, pp.38 - 46  

신소림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탄올을 용매로 12종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근경의 건조시료를 초음파추출하여 페놀성 물질 함량 및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793{\sim}140.014\;mg{\cdot}g^{-1}$, 생시료 1 g에 $0.779{\sim}49.579\;mg{\cdot}g^{-1}$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넉줄고 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559{\sim}34.909\;mg{\cdot}g^{-1}$, 생시료 1g에 $0.714{\sim}11.487\;mg{\cdot}g^{-1}$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 중에는 관중 지상부, 생시료 중에는 더 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서 함량이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나도히초미 근경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시료의 수분함량과 추출수율을 고려하여 $RC_{50}$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생시료의 양을 계산한 결과, 나도히초미 근경보다는 더부살이고사리 지상부가 DPPH와 ABTS radical 소거용 식물소재로 적합하였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특히 ABTS radical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가지고비고사리 추출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가 ascorbic acid 또는 BHT와 유사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scavenging activity on DPPH and ABTS radicals in twelve fern species were studied by analysing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of dried aerial parts and rhizomes using methanol solvent. Total polyphenol content ranged from 2.97 to 140.1 mg per 1 g dried sample and 0.80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약용 양치식물과 이들과 형태적으로 유사하거나 유전적으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근경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하고 각 식물의 수분함량, 추출 효율 등을 고려하여 항산화제 개발에 소요되는 식물의 biomass를 산출하여 경제성을 고려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를 선발하고자 시행하였다.
  • 일반적으로 식물의 항산화효과를 분석할 때에는 건조시료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식물의 항산화효과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을 고려한 식물의 항산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건조물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다음 식물체의 수분함량과 추출수율을 고려하여 생시료의 항산화물질 함량 또는 일정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생시료의 무게를 구하였다. 그 결과, 건시료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관중 지상부에서 가장 높았으나, 생시료에서는 더부살이고사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RC50)은 나도히초미 근경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는 나도히초미 근경보다 소량의 생시료로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 약용식물 중 넉줄고사리의 근경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가지고비고사리의 전초는 산혈련(散血蓮)이라 하며, 거풍제습(祛風除濕),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지통(活血止痛)에 사용한다(Ahn, 2003). 넉줄고사리의 근경은 골쇄보(骨碎補)라 하며, 골절유합, 골다공증, 진통진정, 고지혈증 등에 효과가 있다(Ahn, 2003). 쇠고비의 지하부는 혼계두(昏鷄頭)라 하며, 지혈, 살충, 청열해독, 양혈식풍(凉血熄風), 산어지혈(散瘀止血)의 효과가 있다(Ahn, 2003).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은 무엇인가? 양치식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이며(KFS, 2005), 오랫동안 환경 변화에 적응해오면서 외부 스트레스에 저항하기 위한 2차 대사산물을 다량 축적해왔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수의 양치식물이 예로부터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는데, 국내 자생하는 350여종의 양치식물(KFS, 2005) 중 236종 14변종 1아종 251분류군을 대상으로 문헌에 기록된 이용도를 분석한 결과, 52.
봉의꼬리의 지상부를 뭐라고 부르는가? 나도히초미의 지하부는 대엽금계미파초(大葉金鷄尾巴草)라 하며, 내열복통(內熱腹痛)에 효과적이다(Ahn, 2003). 봉의꼬리의 지상부는 봉미초(鳳尾草)라 하며, 지사(止瀉), 지혈, 항염효과가 있다(Lim,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D.K. 2003.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al herbs. Gyohaksa, Seoul.(in Korean)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3. Cha, J.Y., H.Y. Ahn, K.E. Eom, B.K. Park, B.S. Jun, and Y.S. Cho.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652-658.(in Korean) 

  4. Jeong, J.A., S.H. Kwon, and C.H. Lee. 2007.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ferns. Kor. J. Plant Res. 20:185-192.(in Korean) 

  5. Jung, S.J., J.H. Lee, H.N. Song, N.S. Seong, S.E. Lee, and N.I. Baek.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 Soc. Appl. Biol. Chem. 47:135-140.(in Korean) 

  6. Kawaguchi, K., T. Mizuno, K. Aida, and K. Uchino.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02-104. 

  7. Kim, E.Y., I.H. Baik, J.H. Kim, S.R. Kim, and M.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333-338.(in Korean) 

  8. Korean Fern Society(KFS). 2005. Illustrated fern native to Korea. Geobook, Seoul.(in Korean) 

  9. Lee, S.O., H.J. Lee, M.H. Yu, H.G. Im, and I.S. Lee. 2005a.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 J. Food Sci. Technol. 37:233-240.(in Korean) 

  10. Lee, Y.A., H.Y. Kim, and E.J. Cho. 2005b. Comparaison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on antioxidative effect under In Vitro and cell system. J. Kor. Soc. Food Sci. Nutr. 34:1151-1156.(in Korean) 

  11. Li, H., Y.M. Choi, J.S. Lee, J.S. Park, K.S. Yeon, and C.D. Han. 2007. Dru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grared dryer. J. Kor. Soc. Food Sci. Nutr. 36:250-254.(in Korean) 

  12. Lim, R.J. 1999. Medical herbal of Josun. Korean Culture Publishing Co., Ltd., Seoul.(in Korean) 

  13. Nam, K.H. and Y.M. Lee. 2005. Edible ferns of Korea. J. Kor. Ferns Soc. 9:23-30.(in Korean) 

  14.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15. Oh, S.J., S.S. Hong, Y.H. Kim, and S.C. Koh.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in fern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 J. Plant Res. 21:12-18.(in Korean) 

  16.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1231-1237. 

  17. Shi, J., J. Gong, J. Liu, X. Wu, and Y. Zhang.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extract from edible flowers of Prunus mume in China and its active components. LWT-Food Sci. Thechnol. 42:477-482. 

  18. Shin, J.H., S.J. Lee, J.K. Seo, E.W. Cheon, and N.J. Sung.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Yuza(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J. Life Sci. 18:1745-1751.(in Korean) 

  19. Velioglu, Y.S., G. Mazza, L. Cao, and B.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20. Woo, J.H., H.S. Jeong, J.S. Yu, Y.D. Chang, and C.H. Lee. 2008. Antios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Kor. J. Plant Res. 21:52-59.(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