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 및 신생아 상태에 따른 산후우울증 유발 위험인자 분석
Assessment of Maternal and Neonatal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3 no.2, 2010년, pp.106 - 115  

최진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n understanding maternal and neonatal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using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Methods: Among 788 women, who had delivery include cesarean section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OO medical 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모의 관리 및 치료에 있어, 산후 우울증 발병 관련 인자 및 위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출산 후 관리를 위해 한방 치료를 선택한 환자에 있어, 재태 주수가 짧은 경우, 제왕절개술이 시행된 경우, 저체중 출생아인 경우, 조산인 경우, 초기 신생아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경우에는 산후 우울증 발현 위험성이 높으며, 이를 고려하여 鬱證에 대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 001, n=217)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3일째 EPDS를 시행하여 퇴원 후 산후 우울증 가능성에 대한 평가 및 한의학 치료의 개입 필요성의 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일개 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출산한 산모 관련 인자(연령, 자녀수, 분만력, 출산 방법, Hemoglobin 수치) 및 신생아 관련 인자(출생 시 체중, 성별, 재태주수, 1분 후 apgar score, 5분 후 apgar score,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여부)에 따라 EPDS 점수를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 우울증은 언제 진단되나? 산후 우울증(Postpartum disorder)은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주요우울삽화의 산후발생(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ostpartum onset) 항목에서 논하며, 출산 후 4주 이내 산모가 감정적 변화를 겪을 때 진단된다1). 유병률은 산후 우울증(Postpartum disorder)의 경우 10-15%2), 산후우울기분장애(Postpartum blues)는 50-80%에서 나타나며 최근에는 출산 후 직장 복귀, 핵가족 형태의 보편화, 출산 후 병원에서 조기 퇴원 등으로 인해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3).
산후 우울증의 유병률은 어떠한가? 산후 우울증(Postpartum disorder)은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주요우울삽화의 산후발생(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postpartum onset) 항목에서 논하며, 출산 후 4주 이내 산모가 감정적 변화를 겪을 때 진단된다1). 유병률은 산후 우울증(Postpartum disorder)의 경우 10-15%2), 산후우울기분장애(Postpartum blues)는 50-80%에서 나타나며 최근에는 출산 후 직장 복귀, 핵가족 형태의 보편화, 출산 후 병원에서 조기 퇴원 등으로 인해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3).
산후 우울증 평가도구에 대한 한의학계 연구가 있었는가? 산후 우울증 평가 도구로 1987년 Cox JL et al이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를 발표한 이래, 각국의 언어로 번역 및 유효성을 인정받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EPDS 관련 기존 한의학계 연구5-10)는 산모의 상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신생아와 산후 우울증 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Washington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2. O'Hara MW, Swain AM. Rates and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a meta analysis. Int Rev Psychiatry. 1996;8: 37-54. 

  3. 이동규 등. 부인과 외래의 산후우울증에 관한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328-35. 

  4.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하). 서울:정담출판사. 2001:336-7, 420-3. 

  5. 이윤재 등. 유산 후 내원한 환자에 대한 증상조사 및 EPDS 평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206-15. 

  6. 이은희, 김태희. EPDS와 HRV 측정을 통한 산후 초기 우울과 심박변이도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186-98. 

  7. 김태희. 산후우울과 산모의 일반적인특성, 임상증상과의 상관성 및 EPDS 와 STAI-KYZ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 123-32. 

  8. 안점우, 김정연, 김동일. 산후우울과불안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89-98. 

  9. 김수연, 김락형, 권보형. 사회환경적 인자와 관련된 산후 우울의 임상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01;12(2): 27-35. 

  10. 김락형, 김수연, 권보형. 산후우울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00;11(2):123-30. 

  11. Kim YK et al.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EPDS) and predic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J Korean Soc Dep Bip Disord. 2005; 3:42-9. 

  12. Bloch M et al. Risk factors for early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6;28:3-8. 

  13. Stowe ZN, Nemeroff CH. Women at risk for postpartum-onset major depression. Am J Obstet Gynecol 1995;173:639-45. 

  14. Tashakori A, Shanesaz A, Rezapour A. Assessment of some potential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ak J Med Sci. 2009;25(2):261-64. 

  15. Jardi R et al. Predictive validation study of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in the first week after delivery and risk analysis for postnatal depression. J of Affect disord. 2006;93:169-76. 

  16. Xie R et al. Fetal gender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a cohort of Chinese women. Socail Sci Med. 2007;65(4): 680-4. 

  17. Campbell SB, Cohn JF, Meyers T. Depression in first time mothers: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depression chronicity. Dev Psychol. 1995;31(3): 349-57. 

  18. 황의완, 김지혁. 동의정신의학. 서울:현대의학서적사. 1992:608. 

  19.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 Development of Edinburgh postnal depression scale. Br J Psychiatry. 1987;150:782-6. 

  20.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Postnatal depression : A systemic review of published scientific literature to 1999. Australia. 2000:82-3. 

  21. Gibson J et al. A systemic review of studies validat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in antepartum and postpartum women. Acta Psychiatr Scand 2009;199:350-64. 

  22. Kim YK et al. Predic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by sociodemographic obstetric and psychological factors : A prospective study. Psychiatry Clin Neurosci. 2008; 62:331-40. 

  23. Kim JW et al.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Korean J Obstet Gynecol. 2004;47(10):1865-71. 

  24. Park YJ et al.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J korean Acad Nurs 2004;34(5):729-38. 

  25. Henshaw C. Foreman D, Cox J. Postnatal blues : a risk for postnatal depression. J Psycho Obstet Gynaecol. 2004;25: 267-72. 

  26. Coopre P, Murray L. Course and recurrence of postnatal depression : Evidence for the specificity of the diagnostic concept. Br J Psychiatr. 1995;166:191-95. 

  27. Sutter AL et al. Postpartum blues and mild depressive symptomatology at days three to five after delivery: A French cross sectional study. J Affect Disord. 1997;44(1):1-4. 

  28. Teissedre F, Chabrol H. Detecting women at risk for postnatal depression using the EPDS at 2 to 3days postpartum. Can J Psychiatry. 2004;49:51-4. 

  29. Hannah P et al. Links between early postpartum mood and postnatal depression. Br J Psychiatry. 1992;160:777-80. 

  30. Apgar V et al. Evaluation of the newborn infant : second report. JAMA. 1958; 168(15):1985-8. 

  3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fetus and new born,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nd committee on obstetric practice. The Apgar score. Pediatrics. 2006;117:1444-7. 

  32. Paterson JA et al. A study on the effects of low haemoglobin on postnatal women. Midwifery. 1994;10(2):77-86. 

  3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실. 제왕절개분만 평가 추구관리 보고서 - 2007년도 진료분 대상. 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