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형과 신체이미지가 의복유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matotype and Body Image on Apparel Fashion Orienta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2 no.6, 2010년, pp.764 - 773  

정수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추미선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body image and apparel fashion orient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somatotype. And the paths for the apparel fashion orientation affected by these variables were also analyzed.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몸무게와 키로 산출되는 객관적 체형과 본인이 인지하는 주관적 체형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별과 체형에 따른 신체이미지와 의복유행성향의 차이 및 이들 변인들을 의복유행성향과 관련시켜 분석하여 이들 변인들이 의복유행성향에 미치는 영향경로 및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연구문제3 : 성별, 체형 및 신체이미지가 의복유행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 그러나 의복 유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체형인식과 신체이미지를 의복유행과 관련시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녀대학생의 성별과 체형에 따른 신체이미지와 의복유행성향의 차이 및 이들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 성별, 체형, 신체이미지를 의복유행성향과 관련시켜 분석함으로써, 이들 변인 중 어떤 변인이 의복유행성향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어떤 성향이 높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이상에서 볼 때 마른체형과 정상체형은 외모에 관심이 있으며, 비만체형은 외모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유행의견선도력, 유행혁신성, 의복자신감 성향이 높으며, 외모에 만족할수록 유행의견선도력, 의복자신감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대학생이 남자대학생에 비해 유행의견선도력 성향이 높고, 남자대학생은 여자대학생에 비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다소 낮으며, 유행에 무관심한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형을 포함한 신체적 외모는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체형은 외모를 판단하고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비주얼 이미지의 중요성이 부각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체형이 이상적인 체형으로 여겨지길 원하고 있다. 체형을 포함한 신체적 외모는 대인지각 시 매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Burger(이인자 외에서 재인용, 1993)에 의하면 여성을 평가할 때 체형이 전체 이미지의 50%를 좌우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체형은 신체적 매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자 대학생이 체중에 대한 왜곡정도가 심함을 무엇을 통해 알 수 있는가? 1.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자대학생의 경우 객관적 체형이 마른체형임에도 표준체형으로 지각하는 경우와 표준체형인데 비만체형으로 지각하는 경우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실제 체형보다 뚱뚱하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자 대학생의 경우는 객관적 체형이 표준체형인데 비만체형으로 지각하는 경우와 마른체형으로 지각하는 경우가 다소 비슷한 분포를 보여 여자대학생과는 체중 인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여자 대학생이 체중에 대한 왜곡정도가 심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혜원. (1996).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150. 

  2.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358-365. 

  3. 남윤자, 이승희. (2001). 한.미 여대생의 실제체형과 인지체형의 만족도에 관한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4), 736-747. 

  4. 박우미. (2000). 신체에 대한 의식과 만족도에 대한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736-747. 

  5. 박정은, 정수진, 강경자. (2005). 신체만족도, 의복태도에 따른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6) 985-994. 

  6. 배정주. (1989). 유행선도력 척도개발은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보건복지부. (2006).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3기. 서울. 

  8. 송경자. (1998).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경자, 김재숙. (2005).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다중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4), 391-402. 

  10.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334-1345. 

  11. 심정희, 박수진. (2007). 중년여성의 체형에 따른 의복태도. 한국의류학회지, 31(1), 33-43. 

  12. 이연희. (1995). 유행선도력과 의복 신체만족도와의 상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영윤, 강혜원. (1982). 중년기 여성들의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과의 상관관계. 한국의류학회지, 6(2), 17-24. 

  14. 이인자, 이경희, 신효정(2003)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p. 61. 

  15. 이정순, 한경희 (2007) 여대생의 체형인식이 신체이미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11(2), 145-154. 

  16. 이정순. (2007). 여대생들의 지수치에 의한 체형 집단별 실제체형과 신체인식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1(5), 100-109. 

  17. 이정임, 남윤자. (2003). 체형에 대한 자기의 인식과 타이의 인식 비교.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4), 372-378. 

  18. 이정희. (2007). 체형과 스트레스가 신체만족도 및 선호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중년여성과 여대생의 비교 연구-. 복식문화연구, 15(6), 1084-1099. 

  19. 정찬진, 김옥진. (1988). 의복의 유행스타일 수용과 선택기준 및 유행정보원의 활용과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3), 351-361 

  20.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 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227-1238. 

  21. 조윤정, 고애란. (2001).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소비자학연구, 12(3), 171-187. 

  22. 조윤주, 이정란. (2004). 여대생의 체형인식에 따른 만족도와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262-269. 

  23. 홍금희. (2006).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가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류산업학회지, 8(1), 48-54. 

  24. Cash, T. F.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Appendix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ment. New York : Pergamon Press, pp. 125-130. 

  25. Comption, N. H. (1964). Body Image Boundaries in Relation to Clothing Fabric and Design Preference of a Group of Hospitalized Psychotic Women. Journal of Home Economics. 56(1), 40-44. 

  26. Creekmore, A. M. (1974). Clothing Related to Body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er Self, Research Report 239. Michigan: Technical Bulletin, Michigan State Universit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7.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NY: Macmillan. 

  28. Kim, M. J., & Schrank, H. L. (1982). Fashion Leadership: A Two- Cultural Study-Part 1: Fashion Leadership Among Korean College Wome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0(3), 227-234. 

  29. Mable, H. M., Balance. W., & Galgan, R. (1986). Body Image Distorton and Dis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3(2), 907-911. 

  30. Meijboom, A., Jansen, A., Kampan, M., & Schouten, E. (1999). An Experimental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ncern about Body Shape and Weight in Restrained Ea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25(3), 327-334. 

  31. Roach, M. E. & Eicher, J. B. (1992). Dress, Adornment and social Order. N.Y.: John Wiley & Sons(eds). 

  32. Rogers, E. M. (1983).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N.Y.: The Free Press. 

  33. Shim, S., Kotsiopulos, A., & Knoll, D. S. (1991). Body Cathexis, Clothing Attitude, and Their Relations to Clothing and Shopping Behavior Among Male Consume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35-44. 

  34. Youn, S., Bae, K., Lee, J., Kwon, K., & Lee, K. (2009). Influence of Body Image and Clothing Involvement on Fashion Leadership and Experience with Appearance. Proceedings of 2009 Annual Conference of International Textiles and Apparel Association Bellevue, Washington, USA. from http://www.itaaonline.org/downloads/CB-Youn-Influence_of_Body_Image.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