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황, 상륙 및 저령의 독성평가를 위한 성분분석 및 안정성 시험
Analysis and Stability Test of the Extract from Ephedrae Herba, Phytolaccae Radix and Polyporus for Toxicity Study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1 no.2 = no.161, 2010년, pp.141 - 146  

뉴엔티퐁타오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트란만흥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토다오쿵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허정임 (안전성평가연구소) ,  곽승준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연구부) ,  김지명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연구부) ,  강태석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연구부) ,  이제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  우미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최재수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강삼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배기환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민병선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imple and reliable reverse phase HPLC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pharmacologically active marker compounds of Ephedrae Herba, Phytolaccae Radix and Polyporus. The stability test of water-extract of three natural medicines were examined for six month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황, 상륙 및 저령 3종 생약을 대상으로 HPLC-UV를 이용하여 지표성분의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해 생약의 표준화된 추출물을 확보하고 실온과 냉장의 보관조건에서 지표성분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독성시험에 사용하는 생약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두령이란? 규격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생약은 대한약전에 130종과 생약규격집에 385종으로 총 515종의 한약재가 수재되고 관리되고 있으나 이들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1) 특히 마두령 (Aristolochiae Fructus)은 쥐방울과 (Aristolochiaceae)의 쥐방울덩굴(Aristolchia contorta) 과실로 뱀독의 해독제나 진통, 소염제 등으로 사용되었던 생약재이다. 마두령의 주성분은 aristolochic acid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여러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 유전독성 및 신장독성이 확인되었고, 사람에게서도 aristolochic acid가 다량 함유된 다이어트 제재를 장기 복용한 경우 신장독성과 발암성이 보고되면서 생약재의 독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생약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성 평가자료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마황에 함유된 ephedrine, pseudoephedrine, ephedroxane, pseudoephedroxane 성분들은 신체에 어떤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가? 마황의 추출물은 항암작용과6) 간질환보호 작용이7) 알려져 있다. ephedrine에는 adrenaline과 비슷한 교감신경 흥분작용, dopamine양의 중추흥분 작용, 체중감소 작용, 심장박동 조절작용이 있고,8) pseudoephedrine에는 뚜렷한 이뇨작용, ephedrine과 pseudoephedrine에는 같은 정도의 기관지 확장작용이 있고, ephedrine, pseudoephedrine, ephedroxane, pseudoephedroxane에는 항염증작용이 알려져 있다.9) 상륙 (Phytolaccae Radix)은 자리공 (Phytolacca esculentum) 또는 미국자리공 (P.
마두령의 주성분은? 1) 특히 마두령 (Aristolochiae Fructus)은 쥐방울과 (Aristolochiaceae)의 쥐방울덩굴(Aristolchia contorta) 과실로 뱀독의 해독제나 진통, 소염제 등으로 사용되었던 생약재이다. 마두령의 주성분은 aristolochic acid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여러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 유전독성 및 신장독성이 확인되었고, 사람에게서도 aristolochic acid가 다량 함유된 다이어트 제재를 장기 복용한 경우 신장독성과 발암성이 보고되면서 생약재의 독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생약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성 평가자료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im, S. H., Choi, E. J., Kim, D. H., Lee, K. Y., Lee, M., Baek, S. W., Kwak, S. J., Kang, T. S., Kim, Y. C. and Sung, S. H. (2008) Stability test of the extracts of Cimicifugae Rhizoma, Achyranthis Radix, Artemisia Capillaris Herba, Moutan Cortex Radicis and Arecae Semen for toxicity study. Kor. J. Pharmacogn. 39: 241-245. 

  2. Park, C. H. and Kwack, S. J. (2009) The effects of aristolochic acid on reproductive function in female rats. Kor. J. Pharmacogn. 40: 89-98. 

  3. Frei, H., Wurgler, F. E., Juon, H., Hall, C. B. and Graf, U. (1985) Aristolochic acid is mutagenic and recombinogenic in Drosophila genotoxicity tests. Arch. Toxicol. 56: 158-166. 

  4. Mengs, U. (1987) Acute toxicity of aristolochic acid in rodents. Arch. Toxicol. 59: 328-331. 

  5. Arlt, V. M., Annie, P. L., Cosyns, J. P. and Schmeiser, H. H. (2001) Analyses of DNA adducts formed by ochratoxin A and aristolochic acid in patiens with Chinese herbs nephropathy. Mutat. Res. 494: 143-150. 

  6. Nam, N. H., Lee, C. W., Hong, D. H., Kim, H. M., Bae, K. H. and Ahn, B. Z. (2003) Antiinvasive,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y of Ephedra sinica extract. Phytotherapy Research 17: 70-76. 

  7. Yamada, I., Takeucho, S., Oshima, S., Yoneyama, K., Shibuya, T., Kataoka, E., Segawa, D., Sato, W., Dohmen, T., Anezaki, Y., Ishii, H., and Ohnishi, H. (2008) Mao (Ephedra sinica Stapf) protects against D-galactosamine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hepatic failure. Cytokine 41: 293-301. 

  8. Jing, H., Luo, L., Sun, J., Yi, H., Wu, Y., Wang, C. and He, G. (2010) Ephedrine controls heart rhythms by activating cardiac I (ks) currents. J. Cardiovasc. Pharmacol. 55: 145-152. 

  9. Jeong, H. S., Han, J. G., Ha, J. H., Kim, Y., Oh, S. H., Kim, S. S., Jeong, M. H., Choi, G. P., Park, U. Y. and Lee, H. Y.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Angelica gigia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02-108. 

  10. Won, K. H., Im, C. N., Choi, W. R., Lee, S. H., Cho, Y. S., Choi, S. E. and Kang, S. S. (1998) A case of Acute Renal Failure and Other Symptoms Associated with Phytolacca Radix Poisoning. The Korean J. Nephrology 17: 644-648. 

  11. Zhao, Y. Y., Xie, R. M., Zhang, Y., Lin, R. C. and Sun, W. J. (2009) Bioactivity-directed isolation, identification of diurectic compounds from Polyporus umbellatus. J. Ethnopharmacol. 126: 184-187. 

  12. Oh, Y. H., Lee, U. Y., Lee, M. W., Shim, M. J. and Lee, T. S. (2004) Immnu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Sclerotium of Grifolia umbellata.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2: 23-30. 

  13. Sun, Y. and Yasukawa, K. (2008) New anti-inflammatory ergostane-type ecdysteroids from the sclerotium of Polyporus umbellatus. Bioorg. Med. Chem. Lett. 18: 3417-3420. 

  14. Ohsawa, T., Yukawa, M., Takao, C., Murayama, M. and Bando, H. (1992) Studies on constituents of fruit body of Polyporus umbellatus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Chem. Pharm. Bull. 40: 143-147. 

  15. 식의약청고시 2003-17, 안전성유효성심사규정. 

  16. Tesra, M. L., Hajji, C., Zaballos-Garcia, E., Garcia-Segovia, A. B. and Sepulveda-Arques, J. (2001) Asymmetric synthesis of (-)-pseudoephedrine from (2S,3S)-3-phenyloxiran-2- ylmethanol. Stereospecific interchange of amino and alcohol functions. Tetrahedron: Asymmetry 12: 1369-1372. 

  17. Drabowicz, J., Bujnicki, B., Biscarini, P. and Mikolajczyk, M. (1999) Diastereometric sulfinates derived from (L)-N-methylephedrine: synthesis, applications and rearrangements. Tetrahedron: Asymmetry 10: 3177-3187. 

  18. Lee, Y. S., Kang, Y. H., Jung, J. Y., Lee, S., Ohuchi, K., Shin, K. H., Kang, I. J., Yoon-Park, J. H., Shin, H. K. and Lim, S. S. (2008) Protein Glycation Inhibitors from the fruiting body of Phelliuns linteus. Biol. Pharm. Bull. 31: 1968-1972. 

  19. 편집부: 대한약전 (제8개정), 약업신문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