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기술기업의 역량,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
An Empirical Study of the Interrelationship Corporate Capability, Competitive Advantage and Business Performance in IT Enterprise 원문보기

경영정보연구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29 no.4, 2010년, pp.287 - 304  

정동섭 (경성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희귀하고, 또 대체불가능하며 모방이 어려운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 자원이 경쟁전략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자원을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업의 역량(corporate capability)이 있어야 한다. 특히, 정보기술기업들은 자원기반관점에서의 내적인 기업역량(corporate capability)의 확보와 우월한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경쟁자에 비해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를 창출하여야 하며, 이것이 기업성과와 연결 될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기업들은 자원기반관점에서의 내적인 기업역량(corporate capability)의 확보와 우월한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경쟁자에 비해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를 창출하여야 하며, 이것이 기업성과와 연결 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정보기술 기업들의 역량과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를 한국의 정보기술기업 조직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보기술기업들은 기업역량과 경쟁전략의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들을 도출하였는데, 특히 재무역량과 원가우위의 정의 영향관계, 반면에 재무역량과 기술 차별화전략의 부의 영향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업역량의 변수들은 경영성과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다 기업의 핵심역량과 자원기준관점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경쟁전략과 경영성과의 관점에서는 정보기술기업의 경우에도 기술 차별화의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원가우위 전략을 추구함으로서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pite of the variety of business environments around start-up firms, almost all existing studies on business strategy of new IT fir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the corporate capability,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f IT enterprise. There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 기업들의 역량과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를 한국의 정보기술기업 조직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출된 정보기술기업의 역량, 전략 및 성과의 관계를 통해 그것이 갖는 함의를 다루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상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부산지역의 정보기술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역량과 경쟁전략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기업역량이 경쟁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 역량과 경쟁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Porter(1980)에 의하면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는 두 가지의 본원적 기반은 저원가와 차별화 전략이다. 기업이 저원가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내부적인 효율성이 일차적인 목표가 되므로 규모의 경제의 이점을 활용하려고 한다.(Hambrick, 1983).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터넷은 물론이고 음성메일, 모바일, 유비 쿼터스 등 신개념의 정보통신기술이 기업활동에 접목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효과적 활용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이 추구하는 경쟁전략과 경영활동에 내재된 역량의 수준에 따른 성과차이가 무엇인지를 규명함으로써 전략적 효과 달성을 위해 정보기술기업에 대한 전략적 방향성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이상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부산지역의 정보기술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역량과 경쟁전략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기업역량이 경쟁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 역량과 경쟁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실증 분석하기 전에 설문조사에 사용된 여러 항목으로 측정한 변수들에 대하여 구성개념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한 자료가 수집되었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의 영역은 모두 3 개의 영역이며 각 영역별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에 의한 직각회전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아이겐 값은 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보기술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기업역량, 경쟁전략과 성과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우리나라 정보기술기업에 관한 연구들은 정보기술기업의 활성화가 미비한 시기에 이루어진 경우도 많기 때문에 연구 표본이 정보기술기업을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지는 못한다고 판단된다.
  • 그러나 오늘날 정보기술기업들의 역량과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 기업들의 역량과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를 한국의 정보기술기업 조직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출된 정보기술기업의 역량, 전략 및 성과의 관계를 통해 그것이 갖는 함의를 다루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정보기술기업의 기업역량은 경쟁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정보기술기업의 기업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정보기술기업의 경쟁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가설 3과 같은 연구명제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원기준관점에 따르면 역량은 어떤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가? 최근 역량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주류를 차지한 자원기준관점을 주축으로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원기준관점에 따르면 역량은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중 가치가 있고, 모방하기 어려우며, 전략적 대체 자원이 없고 희소한 4가지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들 역량을 보유한 기업일수록 다른 기업에 비해 경쟁우위를 누리게 되고, 기업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Barney(1991)의 자원기반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역량이란 무엇인가? Barney(1991)의 자원기반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역량은 경영관리적 역량, 조직 프로세스 및 체계, 통제 가능한 정보와 지식을 포함하는 유형 및 무형의 자산의 집합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역량은 대체로 재무적 자원, 물리적 자원, 인적 자원, 조직적 자원 등의 범주로 구분되면서 기업의 경쟁력 분석과 성과 평가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조직의 역량이란 어떤 역량인가? 조직의 역량(capability)이란 용어는 조직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Selzick(1957)이 처음으로 사용한 개념이다. 이는 한 조직이 다른 경쟁조직에 비해서 특별하게 잘 수행하는 역량으로 그 동안 많은 연구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Hitt & Ireland, 1984; Meyer,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