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거주 일반 성인의 생활양식, 체성분 및 골밀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6, 2010년, pp.644 - 652  

박주영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  오희영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0 adults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check-up program at community health departments in D c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선행된 흡연이나 음주와의 관련성 연구는 그 결과가 뚜렷하지 않고 단순한 체중이나 체질량이 아니라 체성분 중에서 무엇이 골밀도와 관련이 있는가를 파악하는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이에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거주 성인 대상자들의 생활양식, 체성분 및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을 개선시키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시 지역사회 일부 성인 대상자의 생활양식, 체성분 및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대상자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 대상자의 생활양식, 체성분 및 골밀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진 노인이나 폐경기 여성이 아니라 18세 이상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개선 가능한 운동, 식이, 알콜, 흡연과 체성분과 골밀도와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예방적 교육 중재를 위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대상자들의 생활양식, 체성분 및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을 개선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함으로써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충청 지역 D시에 거주하는 성인 14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자의 골밀도 평균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이란 골량의 감소와 골조직의 퇴화 및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며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골밀도는 무기질로 침착되어 있는 골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골다공증질환은 낮은 골밀도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10).
골밀도란? 골다공증이란 골량의 감소와 골조직의 퇴화 및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며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골밀도는 무기질로 침착되어 있는 골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골다공증질환은 낮은 골밀도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10). 골다공증은 수년간 뚜렷한 자각증상이 없이 발생하고,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조기 진단을 내리기 어렵기 때문에 침묵의 질환으로 알려져 왔다.
골다공증의 성별에 따른 진료환자의 수는? 63배 가량 증가하였다. 성별 진료 환자는 2009년 기준으로 남성이 52,487명이고 여성은 687,524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13.1배 많았으나, 남성 환자는 4년간 2배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yeon, Y. S. (2006). Difference of bone density and risk factors related to osteopenia of young women in their twen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 (5), 790-797. 

  2. Chung, J. E., Hwang, S. J., Kim, M. J., Song, J. Y., Cho, H. H., Kwon, D. J., et al. (2010).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6 (1), 29-38. 

  3. Dargent-Molina, P., Poitiers, F., Breart, G., & EPIDOS Group (2000). In elderly women weight is the best predictor of a very low bone mineral density: Evidence from the EPIDOS study. Osteoporosis International, 11 (10), 881-888. 

  4. Joo, N. S., Kong, M. H., Kim, B. T., Park, S. B., Lee, T. Y., & Kim, K. M. (2006). Impact of smoking and alcohol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7 (11), 911-916. 

  5. Kang, H. Y. (2009). Relationship among life styl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BMD)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5 (3), 325-332. 

  6. Kim, M. H., Kim, J. S., & Kim, Y. 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 (4), 532-542 

  7. Kim, M. R., Park, H. J., Yu, H. J., Chae, B. A., Kim, M. J., Jo, H. H., et al. (2006).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13 (2), 149-155. 

  8. Kim, Y. M., & Kim, M. H. (2001). Level of concern about osteoporosis-related factors, life-style and dietary intake of university and college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8 (2), 287-301. 

  9. Kim, C. J., Rhee, E. J., Kim, H. M., Kim, H. S., Lee, E. A., & Kim, Y. S., et al. (2008).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bone disease in Korean male adults.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15 (1), 25-32. 

  10. Kuo, C. W., Chang, T. H., Chi, W. L., & Chu, T. C. (2008).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Taiwanese middle-aged men.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11 (4), 518-524. 

  11. Lee, E. N., & Son, H. M. (2007). Discriminating factors of stages of change in bone mass promoting behaviors after bone mineral densitomet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3), 389-400. 

  12. Lee, H. Y., & Park, W. S. (2009).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3), 303-313. 

  13. Lee, J. H., Song, C. H., Yum, K. S., Kim, K. S., Nam, S. W., Han, J. Y., et al. (2003). Age associated changes in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4 (11), 1010-1016. 

  14. Lima, R. M., Bezerra, L. M., Rabelo, H. T., Silva, M. A., Silva, A. J., Bottaro, M., et al. (2009). Fat-free mass, strength, and sarcopenia are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women.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12 (1), 35-41.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May). Annual increase of osteoporosis patients' clinical visit by 13% in recent 4 years.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Web site: http:// www. mw.go.kr 

  16.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10, January). NOF's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Web site: http:// www.nof.org/professionals/pdfs/NOF_ClinicianGuide20 09_v7.pdf 

  17. Park, E. J. (2006). Relation among nutrition intakes, dietary habits, lifestyle and bone mineral density of elderly woman in the Daegu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8. Park, H. A., Kim, H. J., Kim, T. J., Park, J. J., & Park, J. K. (2009). Weight and bone mineral density-the summary of epidemiological eviden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30 (3), 167-174 

  19. Park, J. S., Jin, W., Park, S. Y., Bae, M. S., Kim, D. Y., Choe, B. K., et al. (2010). Feasibility of peripheral bone densitometry for the assessment of bone density: Comparison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of the axial skeleton.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62, 555-561. 

  20. Pouilles, J. M., Tremollieres, F. A., Martinez, S., Delsol, M., & Ribot, C. (2001). Ability of peripheral DXA measurement of the forearms to predict low axial bone mineral density at menopause. Osteoporosis International, 12, 71-76. 

  21. Riedt, C. S., Cifuentes, M., Stahl, T., Chowdhury, H. A., Schlissel, Y., & Shapes, S. A. (2005). Overweight menopausal women lose bone with moderate weight reduction and 1 g/day calcium intake.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 455-464. 

  22. Riggs, B. L., & Melton, L. J. (1992). The prevention & treatment of osteopor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7 (9), 620-625. 

  23. Shin, A., Choi, J. Y., Chung, H. W., Park, S. K., Shin, C. S., Choi, Y. H., et al. (2004).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istal radius and calcaneus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pulation. Osteoporosis Int, 15, 639-644. 

  24. Tamaki, J., Iki, M., Sato, Y., Kajita, E., Kagamimori, S., Kagawa, Y., et al. (2010). Smoking among pre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low bone status: The JPOS stud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Metabolism, 28 (3), 320-327. 

  25.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00). Osteoporosis. Seoul: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6.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2007, November). Physician's guideline for osteoporosis.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Web site: http://www.ksbmr.org/html/member/sub3/img/down.pdf 

  27. Tucker, K. L., Jugdaohsingh, R., Powell, J. J., Qiao, N., Hannan, M. T., Sripanyakorn, S., et al. (2009). Effects of beer, wine, and liquor intak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and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9 (4), 1188-1196. 

  28. Venkat, K. K., Arora, M. M., Singh, P., Desai, M., & Khatkhatay, I. (2009).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hormonal parameters in physically active male soldiers. Bone, 45 (3), 449-454.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 (9403), 157-163. 

  30. Zhao, L. J., Liu, Y. J., Liu, P. Y., Hamilton, J., Recker, R. R., & Deng, H. W. (2007). Relationship of obesity with osteoporo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2 (5), 1640-164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