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 주민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The Effect of CPR Education in a Rural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6 no.1, 2010년, pp.121 - 128  

이은경 (청암대학) ,  김옥현 (청암대학) ,  김은미 (전남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Bystander CPR has demonstrated improved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PR education in the rural community. Method: One hundred eighty-nine rural laypersons (10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4 in the control group)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이미진 등,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기회가 부족한 농촌지역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심폐소생술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이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폐소생술의 교육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여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심폐소생술 수행 방해 요인,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와 수행 의지,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4월 6일부터 9월 30일까지였고, J도에 소재하고 있는 G군의 주민 중 일반인을 위한 기본인명구조술 교육프로그램을 수료한 105명을 실험군으로, J군에 거주하는 주민 84명을 대조군 하였다.
  •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실험적 조작인 심폐소생술 교육에 약 3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3시간만의 반복측정으로 인한 시험효과(testing effect)가 우려되어 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폐소생술이란? 이러한 질환은 심정지와 같은 예기치 못한 응급상황을 유발하기 때문에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장기의 비가역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인공호흡과 심장 마사지를 통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시키고 환자의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는 치료 기술이다(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과 같은 질환의 적절한 응급조치가 중요한 이유는? 생활습관의 서구화와 과도한 스트레스, 장ㆍ노년층의 인구 증가는 질병 발생의 패턴을 변화시켜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원인의 2, 3위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09). 이러한 질환은 심정지와 같은 예기치 못한 응급상황을 유발하기 때문에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장기의 비가역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인공호흡과 심장 마사지를 통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시키고 환자의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는 치료 기술이다(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심폐소생술과 관련하여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은? 소생의학연구회(Korean Registr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2005년 발표 자료에 의하면 병원 밖 심정지 발생 장소로는 가정, 공공장소, 거리 등의 순이라 하였고, 심정지 발생 시 가족과 일반인이 목격하는 비율이 94% 정도 된다고 하였다. 심폐소생술과 관련하여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은 심정지 목격 후 구조요청까지의 소요시간, 목격자 심폐소생술(Bystander CPR) 시행여부와 심정지 후 심폐소생술 실시까지의 소요시간이다. 특히, 심정지 발생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망률이 증가하는데 목격자에 의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는 경우 생존율을 2-3배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송근정, 오동진,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가법령정보센터 (2008).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서울: 보건 복지가족부. 

  2. 강경희, 임준 (2008). 심폐소생술 수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5(4), 43-54. 

  3. 곡성군 (2008). 곡성 통계연보 2008. 2010. 2. 4 열람. 곡성군 웹 사이트: http://www.gokseong.go.kr/01kr/intro/collect/01/index.jsp 

  4.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태호, 염석란 (2006). 일부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7(6), 545-558. 

  5. 송근정, 오동진 (2007). 심폐소생술의 국내 현황. 대한내과학회지, 73(1), 4-10. 

  6. 송미경, 김신정 (2006). 초등학교 6학년의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웹기반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아동간호학회지, 12(2), 233-243. 

  7. 은영, 김주현, 김증임, 김희자, 오진주, 구미옥, 송미순, 김현숙 (2004). 한국 남녀노인의 건강행위 수행 방해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6(4), 531-544. 

  8. 이문희, 최순희, 박민정 (2007).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4(2), 198-203. 

  9. 이미진, 박규남, 김현, 신중호, 양혁준, 노태호 (2008).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태도와 저해 요인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1), 1-36. 

  10. 이원웅, 조규종, 최석환, 유지영, 유지영, 유기철 (2009).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후 목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 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505-509. 

  11. 이정원, 김혜선, 김호중 (2009). 다중이용장소에서 실시된 일반인의 기본인명구조술 이해도와 시행 결과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20(1), 20-25. 

  12. 장성군 (2008, December). 통계연보. 2010. 2. 4 열람. 장성군 웹사이트 : http://jangseong.go.kr/stat/main/main.htm 

  13. 중앙응급의료센터 (2008).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14. 통계청 (2009). 2008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서울: 통계청. 

  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2005).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HA, 112, IV-18. 

  16. Hamasu, S., Morimoto, T., Kuramoto, N., Horiguchi, M., Iwami, T., Nishiyama, C., Takada, K., Kubota, Y., Seki, S., & Maeda, Y. (2009). Effects of BLS training on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CPR in college students. Resuscitation, 80(3), 359-364. 

  17. Holmberg, M., Holmberg, S., & Herlitz, J. (2000).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47(1), 59-70. 

  18. Johnston, T. C., Clark, M. J., Dingle, G. A., & FitzGerald, G. (2002). Factors influencing Queenslanders' willingness to perform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56(2003), 67-75. 

  19. Lynch, B., Einspruch, E. L., Nichol, G., Becker, L. B., Aufderheide, T. P., & Idris, A. (2005). Effectiveness of a 30-min CPR self-instruction program for lay responders: A controlled randomized study. Resuscitation, 67(1), 31-43. 

  20. Nordberg, P., Hollenberg, J., Herlitz, J., Rosenqvist, M., & Svensson, L. (2009). Aspects on the increase in bystander CPR in Sweden and its association with outcome. Resuscitation, 80(3), 329-333. 

  21. Swor, R., Compton, S., Farr, L., Kokko, S., Vining, F., Pascual, R., & Jackson, R. E. (2003). Perceived selfefficacy in performing and willingness to lear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n elderly population in a suburban community. Am J Crit Care, 12(1), 65-70. 

  22. Stiell, I. G., Wells, G. A., Field, B., Spaite, D. W., Nesbitt, L. P., Maio, V., Nichol, G., Cousineau, D., Blackburn, J., Munkley, D., Luinstra-Toohey, L., Campeau, T., Dagnone, E., & Lyver, M. (2004).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N Engl J Med, 351(7), 647-656. 

  23. Taniguchi, T., Omi, W., & Inaba, H. (2007). Attitude toward the performance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Japan. Resuscitation, 75(1), 82-87. 

  24. Vaillancourt, C., Luia, A., De Maiod, V. J., Wells, G. A., & Stiell, I. G. (2008).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s bystander CPR and survival rates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victims. Resuscitation, 79(3), 417-423. 

  25. White, R. D., Bunch, T. J., & Hankins, D. G. (2005). Evolution of a community-wide early defibrillation programme experience over 13 years using police/fire personnel and paramedics as responders. Resuscitation, 65(3), 279-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