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효과의 지속성
Continuity of BLS Training Effect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1, 2012년, pp.102 - 110  

김혜숙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조선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LS training in nursing students and their retention perio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8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M University in Mokpo.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09 through September 2010. Nursing studen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 자신감을 파악하고,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한 후에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와, 실기수행능력 및 술기정확도를 확인하여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수행 자신감, 실기수행능력 및 술기정확도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집단 시계열설계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분석하고 적합한 복습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심장협회 기본소생술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교육하였고,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접한 간호대학생들의 반복 훈련 및 복습 시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일개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연구기간이 1년으로 짧으므로 향후에는 다양한 대상자와 연구기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평가, 비교하여 본다면 대상자 별로 복습 시기 및 내용 등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를 파악하여 적절한 재교육 시점을 결정하는데 객관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뿐만 아니라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재교육 시행은 다양한 여건뿐만 아니라 시간과 경제적인 비용 충당 등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가 지속되는 기간을 분석하여 적합한 반복 훈련 및 복습 시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한 후, 시간경과에 따라 그들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 자신감, 실기수행능력 및 술기정확도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심장협회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해 무엇을 언급하는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심장협회는 초기 교육을 이수한 후 2년 이내에 재교육을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여러 연구(김수홍, 김상희 & 심정신, 2007; 박요섭 등, 2006; 박종우 등, 2006; 박찬우 등, 2005; 백미례, 2000; 안재윤 등, 2009; 최용철, 이창섭 & 왕순주; 2004; Berden, Willems, Hendricck, Pijls, & Knape, 1993)에서 초기교육 후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이나 수행능력은 이보다 더 조기에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박종우 등(2006)의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 후 8개월까지는 술기능력이 유지되나 그 후 효과가 감소되다가 26개월이 지나면 유의미하게 줄어든다고 하였고, 김수홍 등(2007)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성 연구에서 교육 4개월 후에 교육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심폐소생술 초기교육 후 2-4개월 사이에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기본심폐소생술의 교육의 취지와는 다르게 학교 현장에서는 어떻게 흘러가는가? 또한 향후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의 교육을 실시하고 보급하는 일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중요하며, 학습의 현장인 학교에서 심폐소생술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체계적인 반복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대부분이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는 있지만 대학마다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의무화된 규정이 없으며 국내 대학의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시행되고 있는 심폐소생술 수업은 기본간호학이나 성인간호학 등의 교과목에서 적정 수업시간, 이수 학기, 이론과 실습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등에 대한 합리적인 제안이 없어 각 대학마다 임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이정은, 고봉연, 이인모, 최근명, 박신일, 안홍기, 2003). 또한 학생들의 교육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재교육기간 및 방법에 대해서도 타당한 검토 없이 각 대학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안재윤, 서강석, 박정배, 정제명, 류현욱, 강성원, 최규일, 김윤정, 2009). 그러나 심폐소생술 교육 후 시간이 흐를수록 심폐소생술 교육내용들에 대한 기억이 점차 망각되어 정작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야 하는 응급 상황 시 재대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가 어려우므로 복습 또는 재교육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백미례 & 이인수, 2001).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외국과 비교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 습관의 변화 및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심장마비로 돌연사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과 보급 부족으로 인하여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0.0%에 불과하여 30.0-50.0%를 상회하는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면 개선을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특히 심정지 상황은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고 발생 후 수분 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최초 발견자에 의한 즉각적인 환자사정과 조기심폐소생술 시행여부가 생존율과 예후결정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Holmberg, Holmberg, & Herlitz,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경희 (1998). 현장응급처치자를 위한 기본인명구조술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권말숙 (2010).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222-228. 

  3. 김수홍, 김상희, 심정신 (2007). 간호 대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및 교육효과 지속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8(6), 496-502. 

  4. 김혜숙, 김미선, 박미화 (2009).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6(4), 430-437. 

  5. 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공용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배포. 서울: 사단법인 대한심폐소생협회. 

  6. 박상섭, 박대성 (2009). 일부 대학생 심폐소생술교육에서 노래, 동영상 자가 학습과 동영상 자가합습(VSI) 간의 교육효과 비교.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0(2), 1-13. 

  7. 박요섭, 김영민, 이원재, 김한준, 김용범, 정원중, 김석환, 김윤희 (2006). 임상실습과정 의과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와 강의식 재교육이 그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45-50. 

  8. 박정미 (2006). 자기주도적 학습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및 유지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9. 박정숙, 전현례 (2010). 표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용 비디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301-311. 

  10.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호 (2006).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8-13. 

  11. 박찬우, 옥택근, 조준휘, 천승환, 이승용, 김성은, 최기훈, 배지 훈, 서정열, 안희철, 안무업, 조병렬, 김용훈 (2005). 병원내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6(4), 474-480. 

  12. 백미례 (2000). 최초반응자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 결과의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 논문집, 4(4), 83-93. 

  13. 백미례, 이인수 (2001).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 논문집, 5(5), 63-71. 

  14. 안재윤, 서강석, 박정배, 정제명, 류현욱, 강성원, 최규일, 김윤정 (2009). 임상 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지식 및 술기 수행능력의 6개월 전후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496-504. 

  15. 오수일, 한상숙 (2008).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3), 383-392. 

  16. 이정은, 고봉연, 이인모, 최근명, 박신일, 안홍기 (2003). 대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평가; 간호과와 비간호과를 대상으로. 한국응급구조학회지, 7, 43-54. 

  17. 최용철, 이창섭, 왕순주 (2004). 소방 2급 응급구조사의 성인 심폐소생술에 대한 숙련도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지, 18(1), 13-17. 

  18. 최향옥 (2006). 심폐소생술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Abella, B. S., Edelson, D. P., Kim, S., Retzer, E., Myklebust, H., Barry, A. M., O'Hearn, N., Hoek, T. L. V., & Backer, L. B. (2007). CPR quality improvement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using a real-time audiovisual feedback system. Resuscitation, 73, 54-61. 

  20. Berden, H. J, Willems, F. F., Hendricck, J. M., Pijls, N. H., & Knape, J. T. (1993). How frequency should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be repeated to maintain adequate skill? the British Medical Journal, 306(12), 1576-1577. 

  21. Braslow, A., Brennan, R. T., Newman, M. M., Bircher, N. G., Batcheller, A. M., & Kaye, W. (1997). CPR training without an instruct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video self-instructional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34, 207-220. 

  22. Holmberg, M., Holmberg, S. & Herlitz, J. (2000). Effect of by 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47, 59-70. 

  23. Lynch, B., Einspruch, E. L., Nichol, G., Becker, L. B., Aufderheide, T. P., & Idris, A. (2005). Effectiveness of a 30-min CPR self-instruction program for lay responder: a controlled randomized study. Resuscitation, 67, 31-43. 

  24. Spooner, B. B., Fallaha, J. F., Kocierz, L., Smith, C. M., Smith, S. C. L., & Perkins, G. D. (2007). An evaluation of objective feedback in basic life support(BLS) training. Resuscitation, 73, 417-424. 

  25. Wlk, L., Myklebust, H., Anestad, B. H., & Steen, P. A. (2005). Twelvemonth retention of CPR skills with automatic correcting verbal feedback. Resuscitation, 66, 27-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