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관리능력(Personal Power of Health Care; PPHC) 도구 개발
Scale Development: The Personal Power of Health Care (PPHC)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6 no.1, 2010년, pp.129 - 139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경숙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소애영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new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personal power and ability for health care and promotion including health determinants. Method: Research phases designed for this study were a literature review, scale development, discussion with experts, pre-test for content validity, and survey fo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타당도는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얼마나 잘 반영하여 측정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측정도구 자체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그룹이나 목적에서의 측정도구의 사용이 타당한지 검정하는 것이다(이은옥 등, 2009).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의 내용이 대표성을 띄고 있느냐의 문제를 거론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내용 타당도에 특히 중점을 두고 몇 단계를 거치면서 내용타당도를 증가시키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개인의 건강관리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개인의 힘(능력)을 평가 할 수 있는 도구(The Scale of Personal Power of Health Care; PPHC)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건강 개념, 건강행위, 건강영향요인 등 건강과 관련된 개념이나 변수들을 측정하는 도구들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 전반적인 건강상태, 건강지각, 감각장애, 영양상태, 자가간호 능력 등을 포함하는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건강통제위 등을 포함하는 심리적 건강, 사회적 지지, 영적 건강, 건강문제, 건강행위, 삶의 질,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들이 있는데, 이것이 개인의 건강관리능력을 측정하고 있지는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리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대상자의 건강관리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간호교육, 간호실무, 간호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관리능력에 따라 건강지각 및 건강관리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PPHC 평균 점수에 따라 PPHC 평균이하 그룹과 PPHC 평균이상 그룹간의 정신건강지각 및 건강관리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PPHC 평균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간에 정신건강지각 및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가 건강지각 및 건강행위를 분별할 수 있는 도구라는 것이 입증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즉, 이와 같은 측면의 건강과 건강관리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는 아직 없으므로 직접 비교할 수가 없으나 본 연구에서 준거로 삼은 도구는 건강지각, 건강통제위,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미 검증된 도구들인데, 이 도구들과의 상관도 높고, 또 분별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 도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PPHC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적 건강관리능력, 정신적 건강관리능력에 대해 설명하시오 • 신체적 건강관리능력: 신체적 건강관리능력은 사람들의 신체적 기능이 최적의 능력을 보유하는 것과 그러한 능력을 갖기 위하여 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를 다루고, 건강증진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것으로 정의한다. 최적의 신체적 기능은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식이 및 영양, 신체적 회복능력, 건강지각, 삶의 질 등의 결과로 이루어진다. • 정신적 건강관리능력: 정신적 건강관리능력은 행복감, 자신감 등 자신만의 가치나 목적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말하며, 직면한 삶의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가에 대한 것으로 정신적 건강관리능력은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고 선택을 하는 방법들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것이다(Baumeister & Bengel, 2007).
1948년 World Health Assembly에서 건강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건강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WHO의 정의를 많이 인용하고 있다. 1948년 World Health Assembly에서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정의는 1986년 건강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에서 WHO는 ‘건강은 삶의 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을 위한 자원이며, 신체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적및 개인적 자원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결국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라고 정의 할 수 있다(Figueras & McKee, 2008).
1986년 건강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에서 WHO는 건강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건강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WHO의 정의를 많이 인용하고 있다. 1948년 World Health Assembly에서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정의는 1986년 건강증진을 위한 오타와 헌장에서 WHO는 ‘건강은 삶의 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을 위한 자원이며, 신체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적및 개인적 자원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결국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라고 정의 할 수 있다(Figueras & McKe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서현미, 하양숙 (2004).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대한간호학회지, 34(7), 1288-1297. 

  2. 오가실, 오경옥, 이숙자, 김정아, 정추자, 김혜령, 전화연, 강정희 (2008). 한국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8(6), 881-890. 

  3. 용진선, 김주후, 한성숙, Puchalski, C. M. (2009, 9월). 한국인 암환자를 위한 영적요구 사정도구 개발 및 검증. 2009 Spiritual Conference: Spiritual care: Promoting Healing Environment 구두발표,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서울. 

  4.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 배정이, 이선미 (2009).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서울: 수문사. 

  5. 이정렬, 박신애, 김봉임, 양경희, 유재순, 정운숙, 정의남, 차남현, 황미혜 (2007). 역학과 건강증진. 서울: 수문사 

  6. 이태화, 강수진 (2008). 한국 노인의 건강문해(Health Literacy) 실태와 영향 요인-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28(4), 847-863. 

  7. 지역보건연구회 (2003). 건강증진; 이론과 실제. 서울: 계축문 화사. 

  8. Abel, T. (2008). Measuring health literacy: moving towards a health-promotion perspective. Int J Public Health, 53, 169-170. 

  9. Andrews, M. M., & Boyle, J. (2008). Transcultural Concepts in Nursing Care.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 Baumeister H., & Bengel J. (2007). Psycho-social correlates of health and health behaviors: challenges and methodological pitfalls. Int J Public Health, 52(1), 6-7. 

  11. Bech, P., Rasmussen, N.-A., Olsen, L. R., Neorholm, V., & Abildgaard, W. (200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ajor Depression Inventory, using the present state examination as the index of diagnostic validity. J Affect Disord, 66, 159-164. 

  12. Figueras, J., McKee, M., Lessof, S., Duran, A., & Menabde, N. (2008). Health systems, health and wealth: assessing the case for investing in health system.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WHO European Ministerial Conference on Health Systems: "Health Systems, Health and Wealth", from http://www.euro.who.int/document/hsm/3_hsc08_eBD3.pdf 

  13. Glanz, K., Rimer, B. K., & Lewis, F. M. (2002). Health Behaviors and Health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Bass A Wiley Imprint. 

  14. Kirch, W. (2008). The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London: Springer. 

  15. Lin V. (2007). Gender and Public health practice. Int J Public Health, 52, 273-274. 

  16. McGibbon, E., Etowa, J., & McPherson, C. (2008). Health-care across as a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anadian Nurses, 104(7), 22-27. 

  17. Polit, D. F., & Beck, C. T. (2008).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Tommey A. M., & Allgood M. R. (2006). Nursing Theorist and their work. St. Louis, Missouri: Mosby. 

  19. Tones K., & Green J. (2004). Health Promotion. London, England: SAGE Publications. 

  20. Walker, S. N., & Hill-Polerecky, D. M.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s Profile II.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from Web site: http://app1.unmc.edu/nursing/conweb/ view_profile.cfm?lev1facstf&lev2fac&lev3facswalker&Pu bStat(none)&webpub 

  21. Wallston, K. A., & Wallston, B. S., & Devellis, R. (1978).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MHLC) scales. Health Educ Monogr, 6(1), 160-170. 

  22. Wallston, K. A. (2005). The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s. J Health Psychol, 10(4). 623-631. from Web site: http://www.vanderbilt.edu/nursing /kwallston/mhlcscales.htm 

  23. Whitehead, D. (2003). Incorporating socio-politic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clinical practice. Clin Nurs Res, 12, 668-6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