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자기관리 측정도구(Partners In Health sca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tners In Health Scale (PIH-K)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2, 2019년, pp.1 - 12  

전미경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안정원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이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Partners In Health scale (PIH-K)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self-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in Korea. Methods : Translation of the 12-item PIH-K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IH-K는 WHO의 도구 번역절차(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에 따라 번역, 전문가 검토를 통한 문화적 개작, 역번역, 예비조사, 통계적 검증 및 최종화 과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전문가 검토에서 간호학, 국문학, 심리학 전공자에게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정확하게 번역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의사, 전문간호사, 간호학 교수에게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한국의 문화적 맥락 안에서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자기관리를 사정하기 위해 호주의 Flinders 대학에서 개발된 PIH (Heijmans etal., 2015; Smith et al., 2017)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한국의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자기관리를 측정하는 PIH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어판 PIH (PIH-K)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복합만성질환자의 자기관리 수준을 측정하는 PIH의 문화적 개작 과정을 거쳐 PIH-K를 개발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PIH-K의 수용 가능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 2017).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PIH의 한국어판인 PIH-K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만성질환자의 자기관리를 측정할 수 있는PIH를 한국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판 PIH (the Partners In Health scale-Korean version, PIH-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사회심리적 측정도구는 무엇인가? 만성질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자기관리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측정도구는 당뇨, 고혈압 등의 특정질환의 자기관리를 묻는 질병특이적 도구(disease-specific scale)를 주로 사용해 왔다.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대상자에게 여러 도구를 사용할 수 없을뿐더러, 여러 질환에서 자기관리는 공통의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도구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자기관리란 무엇인가? 만성질환자에서 치료와 간호의 목표는 완치가 아니라,만성질환의 관리이다(Heijmans, Waverijn, Rademakers,van der Vaart, & Rijken, 2015; Holman & Lorig,2004). 자기관리는 능동적으로 치료의 방향을 설정하고, 일상의 삶을 만성질환 관리에 초점을 두고 변화시켜 결과적으로는 최적의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것이다(Lorig & Holman, 2003). 자기관리는 처방된 약물복용에 그치는 수동적인 환자역할에서 보건의료전문가와 협력하고자 자신의 질병과 치료방법을 알고, 증상관리를 스스로 하며, 자신의 정상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해 자원을 활용하는 적극적 참여를 포함한다(Holman &Lorig, 2004; Lorig & Holman, 2003).
자기관리를 측정하는 일반적 도구로 자기관리역량척도와 자가간호역량척도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자신의 건강행위인 자기관리행동 자체를 측정하기 보다는 개인의 자가 간호수행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자기관리는 잠재적인 역량이 아닌 실제적인 행동이나 의도를 의미하는 것이므로(Bodenheimer, Lorig, Holman, &Grumbach, 2002), 이 두 도구는 근거모델과 개념에서 근본적인 자기관리를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 Battersby, Malcolm, Ask, Alex, M Reece, Marion, J Markwick, Mignon, P Collins, James. The Partners in Health scale: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generic assessment scale for chronic condition self-management. Austral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vol.9, no.2, 41-.

  2. Bodenheimer, Thomas, Lorig, Kate, Holman, Halsted, Grumbach, Kevin. Patient self-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in primary care.. JAMA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8, no.19, 2469-2475.

  3. Chiu, Teresa Mei Lee, Tam, Katharine Tai Wo, Siu, Choi Fong, Chau, Phyllis Wai Ping, Battersby, Malcolm. Validation study of a Chinese version of Partners in Health in Hong Kong (C-PIH HK). Quality of life research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of life aspects of treatment, care and rehabilitation, vol.26, no.1, 199-203.

  4.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Costello 1 2005 

  5. Evers 1989 

  6. Fitzpatrick,, Davey,, Buxton,, Jones,. Evaluating patient-based outcome measures for use in clinical trial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 HTA, vol.2, no.14,

  7. GEDEN, ELIZABETH, TAYLOR, SUSAN. Construct and Empirical Validity Of the Self-As-Carer Inventory :. Nursing research, vol.40, no.1, 47???50-.

  8.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ol.43, no.5, 587-594.

  9. Heijmans, M., Waverijn, G., Rademakers, J., van der Vaart, R., Rijken, M.. Functional,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of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their importance for self-managemen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98, no.1, 41-48.

  10. Holman, Halsted, Lorig, Kate. Patient self-management: a key to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care of chronic disease. Public health reports : PHR, vol.119, no.3, 239-243.

  11. Kim, Sun-Wook, Kim, Kwang-Il. Management of multimorbidity in the ederly. JKMA :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대한의사협회지, vol.57, no.9, 743-.

  12. Lawn, Sharon, Schoo, Adrian. Supporting self-management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Common approach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80, no.2, 205-211.

  13. 이경희, 신수진.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ol.43, no.6, 697-703.

  14. Lorig, Kate R., Holman, Halsted R.. Self-management education: History, definition, outcomes, and mechanism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 a publication of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vol.26, no.1, 1-7.

  15. Miller, Wendy R., Lasiter, Sue, Bartlett Ellis, Rebecca, Buelow, Janice M..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 hybrid concept?analysis. Nursing outlook, vol.63, no.2, 154-161.

  16. Orem 1995 

  17. Park, Taejin, Hong, Sang-Bum, Lim, Chae-Man, Koh, Younsuck. Effect of Admission Time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n Acute Critical Patient Outcomes. 대한중환자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vol.25, no.2, 71-.

  18. 박초롱, 송미순, 조비룡, 임재영, 송욱, 장희경, 박연환. 만성질환 노인에서 임파워먼트 이론에 근거한 다학제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ol.45, no.2, 192-201.

  19. Self-management in chronic conditions: partners in health scale instrument validation Assessing the self-care skills and abilities of people with long-term illness. Nursing management, vol.20, no.10, 32-38.

  20. Petkov, John, Harvey, Peter, Battersby, Malcolm.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partners in health scale: validation of a patient rated chronic condition self-management measure. Quality of life research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of life aspects of treatment, care and rehabilitation, vol.19, no.7, 1079-1085.

  21. Polit 2012 

  22. Smith, David, Harvey, Peter, Lawn, Sharon, Harris, Melanie, Battersby, Malcolm. Measuring chronic condition self-management in an Australian community: factor structure of the revised Partners in Health (PIH) scale. Quality of life research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of life aspects of treatment, care and rehabilitation, vol.26, no.1, 149-159.

  23. Association between multi-morbidity and health care expenditure or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of South Korean adults Sohn 49 2018 

  24. Streiner 2015 

  25. Woo 2012 

  26.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2012 

  27. Translation and initial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partners in health scale Xiaofei 732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