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듬유발균 (Pityrosporum ovale) 에 대한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Ginkgolide 및 Bilobalide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Effect of Bilobalide and Ginkgolide Extracted from Leaves of Ginkgo biloba Against Pityrosporum ovale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2, 2010년, pp.173 - 178  

이인화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팀) ,  김미진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팀) ,  최준호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팀) ,  김치현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BK21 바이오가스기반 수소생산 전문인력양성팀) ,  최승현 ((주)식물나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fungal effect of Ginkgo biloba leaves extracts conducted for Pityrosporum ovale. Antifungal effect verified by diffusion test, optical density test and colony counting test under various concentration. Extract of ginkgo biloba leaves performed with 40% ethanol and 60% water solution at $6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 추출물이 항균효과가 확인된 바 [21], 항진균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고 향후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갖는 세제 첨가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균주로서 대표적인 비듬유발균인 Pityrosporum ovale을 선택하여 은행잎 추출방법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영향을 항균작용이 있는 ginkgolide 및 bilobalide를 중심으로 항진균 효과를 검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은행잎 추출물이 항균효과가 확인된 바 [21], 항진균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고 향후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갖는 세제 첨가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균주로서 대표적인 비듬유발균인 Pityrosporum ovale을 선택하여 은행잎 추출방법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영향을 항균작용이 있는 ginkgolide 및 bilobalide를 중심으로 항진균 효과를 검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듬의 특징은 무엇인가? 비듬은 비듬사상균이 원인이 되는 피부병으로 두피가 건조해지면서 각질이 일어나 가렴움증을 수반하기도 하며[1,2], 특히 모발에 기름이 많고 두피에 피지 분비량이 많은 지루성 비듬은 모발에 먼지가 잘 흡착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정상적인 경우 Malassezia는 정상균총의 몇 퍼센트 정도 차지하는가? 비듬은 이러한 정상적인 세균중 하나인 Malassezia가 남성 호르몬이 분비되는 사춘기 이후에 두피와 같은 지루부위에서 상존하기 시작하면서 생기게 된다. 정상적인 경우 Malassezia는 지루부위에 상존 하여 정상균총의 46% 정도를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기후, 땀, 음식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인 요인에 의해서 Malassezia가 과다하게 증식하게 되면서 정상균총의 74%가 넘을 경우 비듬이 생기기 시작하고 83% 이상 높아질 경우 지루성 피부염으로 발병하게 된다 [4].
두피의 주요 상주 미생물은 무엇이 있는가? 두피에는 한선과 피지선이 널리 분포되어 미생물이 번식 하기 좋은 환경으로 미생물이 상주하고 있다. 주요 상주 미생물 (resident microflora)은 3개 군으로 협기성균, 호기성구균과 진균인 Malassezia가 있다 [3]. 비듬은 이러한 정상적인 세균중 하나인 Malassezia가 남성 호르몬이 분비되는 사춘기 이후에 두피와 같은 지루부위에서 상존하기 시작하면서 생기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eo, S. B., S. R, Jung, and S. H. Oh (1990) Distribution of causative fungi in home environment of parients with tinea capitis caused bu marcrosporum canis. Korean J. Dermatol. 28: 165-173. 

  2. Hang, S. O. (2002) Thnea capitis in a postmenopausal woman. Korean J. Dermatol. 38: 556-558. 

  3. McGinley, K. J., J. J. Leyden, and R. R. Marples (1979) Quantitative microbiology of the scalp in non-dandruff, dandruff and seborrheic dermatitis. J. Invest. Dermatol. 64: 401-405. 

  4. Lee, H. K.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Natural Essential Oil in Dandruff Germ. 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Yongin, Korea. 

  5. Jung, H. J., D. W. Kim, J. B. Jun, and S. L. Chung, (1993) Statistical and mycologic studies on dandruff. Korean J. Dermatol. 31: 164-174. 

  6.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2001) Dematology.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p. 325. Yeomongak Press, Korea. 

  7. Lee, K. J. and J. M. Kwon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zirconium pyrithione complex. Korean J. Pharm. Sci. 18: 107-111. 

  8. Jang, S. Y., S. Y. Ryu, and S. D. Kim (2003)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Pityrosporum ovale and Candida albicans. Kor. J. Pharmacogn. 34: 303-307. 

  9. Nelson, J. D. and G. A. Hyde (1981) Sodium and zinc omadine antimicrobials as cosmetic preservative. Cosmetics Toiletries 96: 87-90. 

  10. Lin, C. C. S. and D. Y. C. Fung (1983) Effect of BHA, BHT, TBHQ and PG on growth and toxigenesis of selected Aspergilli. J. Food Sci. 48: 578-583. 

  11. Mazzanti, G., M. T. Mascellino, L. Battinelli, D. Coluccia, M. Manganaro, and L. Saso (2003) Antimicrobial investigation of semipurified f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J. Ethnopharmacol. 71: 83-88. 

  12. Boonkaew, T. and N. D. Camper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ginkgo extracts. Phytomedicine 12: 318-323. 

  13. Huang, X., W. J. Xie, and Z. Z. Gong (2002) Characteristics and antifungal activity of a chitin binding protein from Ginkgo biloba, FEBS Letters 478: 123-126. 

  14. Jaracz, S., S. Malik, and K. Nakanishi (2004) Isolation of ginkgolides A, B, C, J and bilobalide from G. biloba extracts. Phytochem. 65: 2897-2902. 

  15. Tang, C., X. Wei, and C. Yin (2003) Analysis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in Ginkgo biloba L. extract inject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J. Pharm. Biomed. Anal. 33: 811-817. 

  16. Deng, F. and S. W. Zito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method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aker compounds including bilobalide, ginkgolides and flavonoids in Ginkgo biloba L. extract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 Chromatogr. A. 986: 121-127. 

  17. Cheung, F., Y. L. Siow, and O. Karmin (2001) Inhibition by ginkbolides and bilobalide of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macrophages (THP-1) but not in endothelial cells (HUVEC). Biochem Pharmacol. 61: 503-510. 

  18. Arredondo, M. F., F. Blasina, C. Echeverry, A. Morquio, M. Ferreira, J. A. Abin-Carriquiry, L. Lafon, and F. Dajas (2004) Cytoprotection by achyrocline satureioides (Lam) D.C. and some of its main flavonoids against oxidative stress. J. Ethnophamacology 91: 13-20. 

  19. Kim, S. I., C. Park, M. H. Oh, H. C. Cho, and Y. J. Ahn (2003) Conact and fumigant activities of aromatic plant extracts and essential oils against Lasioderma serricorne (Coleoptera: Anobiidae). J. Stored Prod. Res. 39: 11-19. 

  20. Suzuki, R., H. Sugie, K. Sasaki, T. Yoshimura, K. Wada, and T. Tanaka (2004) Preventive effects of extract of leaves of ginkgo (Ginkgo biloba) and its component bilobalide on azoxymethane-induced colonic aerrant crypt foci in rats. Cancer Lett. 210: 159-169. 

  21. Chen, Y. S., C. J. Liu, C. Y. Cheng, and C. H. Yao (2004) Effect of bilobalide o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Biomaterials 25: 509-514. 

  22. Lee, I. W., S. Yoon, S. H. Choi, J. Y. Park, S. Y. Han, J. Y. Song, and S. J. Yoon (2006) A study i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Ginkgo biloba leaves extracts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ethanol for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312-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