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티트리 (Melaleuca alternifolia)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Effects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102 - 108  

지근호 (부경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티트리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는 terpineol-4, cineol, cymene, sesquiterpenes 등을 함유하여 살균 효과와 피부 보습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여드름 염증 완화, 비듬 치료, 통증 완화, 우울증 해소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티트리를 유기용매 (Methanol,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및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물질을 추출하였으며, 각 추출액에서 나타나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 검증은 9종의 병원성 미생물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parahaemolyticus)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항균 활성 검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isc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 검증을 통하여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과 methanol 분획추출물에서 V. parahemolyticu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던 V. parahaemolyticus를 대상으로 각 분획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10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9.9 % 이상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진균활성의 경우, 균종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진균류에 대한 약 45시간 이상의 보존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티트리 열수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항균제 및 항진균제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leuca alternifolia contains terpineol-4, cineol, sesquiterpenes etc., and has a germicidal effect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lieving acne inflammation, treating dandruff, relieving pain, and relieving depression. In this study, an antimicrobial substance e...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천연물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있다 [7-12]. 우리나라에서는 천연물 중 약용식물이나 허브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천연 허브식물 중 티트리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를 이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효과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티트리 열수추출물의 향균 활성 결과는? 항균 활성 검증은 9종의 병원성 미생물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parahaemolyticus)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항균 활성 검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isc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 검증을 통하여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과 methanol 분획추출물에서 V. parahemolyticu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던 V. parahaemolyticus를 대상으로 각 분획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10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9.9 % 이상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진균활성의 경우, 균종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진균류에 대한 약 45시간 이상의 보존력을 확인하였다.
티트리는 무엇인가? 티트리는 도금양목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써, 선원들의 비타민 C 보충을 위해 처음 섭취되었다. 이후, 티트리 오일이 형태로 증류하여 항균제 및 항진균제로 사용되었고, 함유성분이 밝혀지면서 여드름 염증 완화, 비듬 치료, 통증 완화, 우울증 해소 등에 사용되고 있다.
티트리 오일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티트리는 도금양목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써, 선원들의 비타민 C 보충을 위해 처음 섭취되었다. 이후, 티트리 오일이 형태로 증류하여 항균제 및 항진균제로 사용되었고, 함유성분이 밝혀지면서 여드름 염증 완화, 비듬 치료, 통증 완화, 우울증 해소 등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티트리오일의 경우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제거에 효과가 있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이미 보고되어 있으며[13], 소규모 임상 연구를 통해 여드름 개선 효과 [14], 사면발이증 치료[15], 비듬 증상 완화[16]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Y. An, "Levels of Health and Subjective Life Expectanc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in Korea", J Kor Gerontol Nursing, Vol.20, No.1, pp.22-34, 2018.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8.20.1.22 

  2. J. Y. Yoon, An Analysis of the Market and Demand of Aging-Friendly Medicines. p.1-8, KHIDI, 2015. 

  3. D. J. Kwon, J. H. Park, M. Kwon, J. Y. Yoo, Y. J. Koo, "Optimal Extracting Condition of Growth-inhibitory Component of Wormwood (Artemisia princeps )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 J Kor Soc Agricul Chem Biotechnol, Vol.40, No.4, pp.267-270, 1997. 

  4. J. H. Guk, S. J. Ma, K. H. Park,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 Kor J Food Sci technol, Vol.29, No.2, pp.204-210, 1997. 

  5. C. S. Park,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 J Food Preserv, Vol.5, No.3, pp.286-291, 1998. 

  6. J. H. Bae, "Effect of Extracts from Paeonia japonica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J East Asian Soc Diet Life, Vol.21, No.2, pp.272-276, 2011. 

  7. H. S. Choi, H. S. Song, H. Ukeda, M. Sawamura, "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itrus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Detection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J Agric Food Chem, Vol.48, No.9, pp.4156-416, 2000. DOI: https://doi.org/10.1021/jf000227d 

  8. K. F. Massry, A. H. El-Ghorab, A. Farouk, " Antioxidant Activity and Volatile Components of Egyptian Artemisia judaica L", Food Chem Vol.79, No.3, pp.331-336, 2002. DOI: https://doi.org/10.1016/S0308-8146(02)00164-4 

  9. F. Juteau, V. Masotti, J. M. Bessiere, M. Dherbomez, J. Viano,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es of Artemisia annua Essential Oil", Fitoterapia , Vol.73, No.6, pp.532-535, 2002. DOI: https://doi.org/10.1016/S0367-326X(02)00175-2 

  10. M. J. Lee, G. S. Moon,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 J Food Sci Techno, Vol.35, No.6, pp.1226-1232. 2003. 

  11. E. Y. Kim, I. N. Baik, J. H. Kim, S. R. Kim, M. R. Rhyu,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 Vol.36, No.2, pp.333-338, 2004. 

  12. J. A. Kim, J. M. Lee,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 J Food Cul, Vol.19, No.2, pp.200-208, 2004. 

  13. M.M. Tong, P. M. Altman, R. S. Barnetson, "Tea Tree Oil in the Treatment of Tinea pedis ", Australas J Dermatol, Vol.33, No.3, pp.145-149, 1992. DOI: https://doi.org/10.1111/j.1440-0960.1992.tb00103.x 

  14. S. H. Kim, S. Y. Lee, L. Shunhua, "The Effect of Essential Oils from Tea-tree and Palmarosa on the Acne Skin", Kor J Aesthet Cosmetol, Vol.11, No.6, pp.1083-1090, 2013. 

  15. I. K. Park, H. Koo, Y. S. Chun, "A Case of Phthiriasis Palpebrarum Treated with Tea Tree Oil in a Child", J Kor Ophthalmol Soc, Vol.52, No.10, pp.1222-1226, 2011. DOI: https://doi.org/10.3341/jkos.2011.52.10.1222 

  16. E. H. Park, "A Study on Efficiency of Essential Oil for Dandruff Symptoms Relief-Focused on Tea Tree Oil-", J Kor Soc Fashion Beauty, Vol.3, No.3, pp.31-40, 2005. 

  17.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Approved Standard- 12th Ed, M07-A10. p27-47, Wayne, PA: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5. 

  18. Merghni, Abderrahmen, et al. "Assessment of the antibiofilm and antiquorum sensing activities of Eucalyptus globulus essential oil and its main component 1, 8-cineole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Microb pathog , Vol.118, pp.74-80, 2018. DOI: https://doi.org/10.1016/j.micpath.2018.03.006 

  19. P. S. Kwon, D-J. Kim, H. Park, "Improved Antibacterial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s", Kor J Clin Lab Sci, Vol.49, No.3 pp.256-262, 2017. DOI: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3.256 

  20. de Sa Silva, Claudileide, et al.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essential oil in ground beef", Int J Food Microbiol, Vol.293, pp.79-86, 2019. DOI: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19.01.004 

  21. J. Nguefack, B. B. Budde, M. Jakobsen, "Five Essential Oils from Aromatic Plants of Cameroon: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nd Ability to Permeabilize the Cytoplasmic Membrane of Listeria innocua Examined by Flow Cytometry", Lett App Microbiol, Vol.39, No.5, pp.395-400, 2004. DOI: https://doi.org/10.1111/j.1472-765X.2004.01587.x 

  22. M. J. Kim, T. K. Jung, I. G. Hong, K. S. Yoon, "Comparision of Antimicrobial Oil as Natural Preservativ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 Vol.32, No.2, pp.99-103, 2006. 

  23. Yano, Yutaka, Masataka Satomi, and Hiroshi Oikawa. "Antimicrobial effect of spices and herbs on Vibrio parahaemolyticus ", Int J Food Microbiol, Vol,111, No.1 pp.6-11, 2006. DOI: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6.04.031 

  24. E-H. Kim, Y-A. Jang, S-B. Kim, H-H. Kim, J-T. Lee, "Antimicrobial, antifungal effect and safety verification using BCOP assay of extract from Coptis chinensis ", J Appl Biol Chem, Vol.61, No.3, pp.297-304, 2018. DOI: https://doi.org/10.3839/jabc.2018.0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