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하천생태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진단 및 평가
Ecosystem Diagnosis and Evaluations Using Various Stream Ecosystem Models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3, 2007년, pp.370 - 378  

김자현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의행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갑천의 지류인 반석천에서 도시화에 따른 서식지 교란과 수질오염의 영향에 따른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어류를 이용한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모델지수(HAI),생태계 건강도 평가 지수(IBI)및 물리적 서식지 평가 모델(QHEI)을 이용하여 총체적 건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모델의 시간적, 공간적인 분석을 위해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총 6개 지점을 선정하여 3회 조사하였다. 생태계 건강도 평가결과 평균 24(악화${\sim}$보통상태)로 나타났고,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는 평균 116(보통${\sim}$양호상태)으로 나타났다. 생태계 건강도와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의 상관분석 결과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는 생태계 건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특히 서식처의 비율$(M_1)$, 유량/유속의 다양성 $(M_3)$, 여울의 빈도$(M_7)$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결과 대조군은 0(최적상태)으로 나타난 반면, 처리군(T1, T2)은 각각 5 (양호상태), 50 (악화상태)로 나타났으며, 생태계 건강도가 높은 지점에서 개체건강도 역시 최적상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생태계 건강도 평가(IBI), 물리적 서식지 평가(QHEI) 및 해부학적 개체 건강도 평가(HAI)를 통한 평가 기법은 하천 생태계의 총체적 건강도 평가를 위한 좋은 모델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iagnose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 in Bansuk Stream, one of the tributaries of Gap Stream, using the fish assemblage during July 2006${\sim}$April 2006.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six sampling sites and applied some approaches such as the I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표생물(어류)을 이용하여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것으로써 첫째, 해부학적 접근 방법을 이용한 개체수준의 건강성 평가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D를 실시하고, 둘째, 어류 군집을 이용한 생태 계 건강성 평가 모델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을 적용하고, 셋째, 물리적 서식지 모델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을 이용하여 어류서식지 상태를 진단하여, 총체적 생태계 건강도를 진단하는데 있다. 본 연구 자료는 향후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핵심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HAI)는 2차 조사 수질 측정 결과 고농도의 탁수와 S5의 점오염원의 영향에 따른 해부학적 개체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S2에서 유입되는 고농도의 탁수는 S2뿐만 아니라 하류 지점의 탁도에 영향을 주고 있고, S5와 S6에서 비정상 개체 (Abnormality)가 출현하여 S5에 위치한 점오염원의 영향이 예상되는 지점 이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2.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3. 김지현, 서진원, 나영언, 안광국. 2007. 용담댐 건설후 하류부 하천 생태계의 탁수영향 평가, 육수지 40(1): 130-142 

  4. 김정수, 구태희. 2003. 도시하천의 생태공원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6(3): 97-102 

  5.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육수지 39(2): 198-208 

  6.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펑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육수지 38(3): 361-371 

  7. 안광국, 김자현, 배대열, 이재연. 2006. 생태 지표종을 이용한 해부학적 건강성 평가지수(HAl) 적용을 위한 예비실험, 육수지 39(1): 62-72 

  8.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 tegrity) 및 서식지펑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육수지 34(3): 153-165 

  9. 안광국, 이의행. 2006. 어류의 군집 메트릭 모델을 이용한 유구천의 생태 건강도 평가, 육수지 39(3): 310-319 

  10.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육수지 38(3): 341-351 

  11. 환경부. 2005.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 보고서 

  12. 환경부. 2006. 물환경 관리 세부대책 보고서 

  13. 황순진, 김난형, 원두희, 안광국, 이재관, 김창수, 신재기. 2006. 우리나라 생물학적 물환경평가의 현황과 미래,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57-767 

  14. 해양수산부. 2006. 내수면 잠재력 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보고서 

  15. Adams, S.M., A.M. Brown and R.W. Goede. 1993. A quantitative health assessment index for rapid evaluation of fish condition in the field.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22: 63-73 

  16. An, K-G., D-S. Kim, D.S. Kong and S-D. Kim. 2004. Integrative assessments of a temperate stream based on a multimetric determination of biological integrity, physical habitat evaluations, and toxicity tests.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73(3): 471-478 

  17.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18. Horton, R.E. 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hydrophysical approach to quantitative 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56: 275-370 

  19.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20.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U.S.A 

  21.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 EPA. Washington. DC, USA 

  22.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23.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