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내원환자의 감염관리에 관한 인식도 조사
About dentistry infection from dentistry medical institution recognition research of patient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0 no.4, 2010년, pp.617 - 625  

이연경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김순덕 (마산대학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research which sees collected information about dentistry infection management recognition of the patients and the infection management which the medical treatment consumer does in necessity is what, grasped and satisfaction and became the fundamental data which makes the hospita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일정한 시점에서 조사한 단면연구이므로 전체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선행논문이 부족하여 연구결과를 고찰함에 있어 어려움이 따랐다. 그러나 본 조사는 치과 의료진들이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때 참고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의 치과감염관리 인식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감염관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치과병(의)원에 진료실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23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그 동안 연구되어온 의료공급자의 치과감염관리인식이 아닌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의 치과 감염관리 인식 즉 일반적으로 환자들이 치과 내원 시 쉽게 접하는 손 씻기와 보호장구의 인식정도 등을 알아보고 의료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감염관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치과병(의)원을 내원 하는 의료소비자의 치과 이미지 상승과 치과환경에 대한 만족과 신뢰할 수 있는 병원을 만드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실시하였다.
  • 그러므로 치과종사자는 감염에 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한 정보가 더 필요하다10). 이에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이 치과감염관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판단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질 높고 신뢰성 있는 치과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 진료실에서는 어떠한 경로로 감염이 가능한가? 치과병․의원에서 이루어지는 발치 등 치과적 조작의 대부분이 출혈성이며 외과 수술실과 같이 감염방지를 위한 의료적 설비가 이루어지지 않은 통상적 진료환경에서 많은 기기를 이용한다는 특성 때문에 혈액매개 전염병의 전파나 감염위험이 크다1). 여러 의료기관의 진료 환경 중 치과 진료실은 광범위한 종류의 병원성미생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2)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타액에 접촉하거나 치과기구나 장비 등에 의한 상처를 통한 감염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여러 가지 분비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될 경우 감염의 매개 장소가 될 수도 있다3).
치과의원 진료 환자의 특성은 무엇인가? 치과의원은 진료의 특성상 거의 모든 환자가 외래환자이며, 이들은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면 쉽게 이동할 가능성이 많은 집단이다8). 그러므로 치과 의료서비스에서 기본이 되는 감염관리는 의료소비자들이 당연히 받아야 할 의료서비스 중의 하나이므로 치과 의료진은 감염관리에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치과감염관리 인식 수집과 소비자가 요구하는 감염관리 파악을 위해 진행한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 결과는? 1. 일반적인 치과치료를 위해 방문하는 곳은 치과의원 53.6%로 치과병원 46.4% 보다 많았으며 치과방문 목적은 동통치료를 목적인 경우 42.9%, 치주 및 스켈링인 경우는 20.2%, 정기검진인 경우 16.0%, 보철 치료 12.0%, 발치인 경우 9.3%순으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의 치과감염에 대한 정보경험은 경험한 적이 있다가 74.7%로 나타났고 경험한 이후 치과내원 시 행동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 ‘기구의 소독상태를 예전보다 유심히 살핀다’가 46.6%로 가장 많았다. 3. 조사대상자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감염관리의 책임 소재 대상이 치과의사여야 한다가 46.4%, 치과위생사 및 조무사가 35.6%로 나타났으며, 치과 의료진의 보호 장구 착용 목적이 치과 의료진과 환자보호가 77.7%, 치과 의료진 보호 12.9%, 환자보호 9.4%순으로 나타났다. 치과 의료진의 진료시작 전 손 씻기 여부 확인에서는 ‘안 한다’가 72.1%, ‘한다’가 27.9%로 나타났다. 4. 조사대상자의 손 씻기에 대한 감염인지는 ‘진찰용 장갑은 매 환자마다 일회용으로 사용해야 한다’가 평점 4.27점으로 가장 높았고, ‘새로운 장갑을 착용할 때마다 매번 손을 씻어야 한다’가 3.9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손 씻기의 전체적인 인지도는 4.11점으로 조사대상자의 손 씻기에 대한 감염인지는 높게 나타났다. 5. 치과의료진의 보호를 위한 보호장구의 인지는 마스크가 82.4%로 가장 높았고 일회용 두건이 10.7%로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였고, 치과 환자의 보호를 위한 보호장구의 인지는 장갑이 43.1%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났으며 보안경이 9.6%로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6. 치과감염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인지도를 살펴보면 성별에서는 여성이 3.88점으로 남성의 3.79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26∼30세가 4.0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1세 이상이 3.6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감염에 대한 인지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이 3.99점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1), 치과방문목적에서는 정기검진목적으로 치과를 내원하는 대상자가 4.04점으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정순. 치과병의원을 통한 전파위험 전염증.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4;32;422-426. 

  2. 김각균. 치과진료진료실에서의 감염방지 선언.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4;32;398-399. 

  3. Hardie J. Handpiece sterilizaton. The Debate Continuous. J Can Dent Assoc 1993;59; 355-362. 

  4. 송경희. 치과 개원가의 멸균정도에 관한 조사연구(대구직할시를 중심으로). 대구보건대학 자연과학 1992;13;1271-1272. 

  5. 최금숙. 대구지역 치과종사자들의 기초 방호법 시행정도와 B형 간염 감염률에 대한 조사.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1-4, 17, 20-21. 

  6. 이영애, 조민정, 배지영, 박현숙. 치과진료실에서의 직종별 감염방지 실천 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7;7(4):263-269. 

  7. MBC PD수첩. 치과의 위험한 비밀. 2006. 

  8. 민혜진. 외래환자의 병원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임현경. 치과감염관리에 관한 환자들의 인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 King Tracy B, Kathleem B Muzzin. A national survey of dental hygienist's infection control attitues practices. 2005;79(2);1-13. 

  11. 김희정. 대구지역 치과위생가의 치과진료 감염방지 기준 이행실태. 경북대학교 보건대학 석사학위논문 2006. 

  12. 황제희.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인식 및 이행실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박영남. 치과종사자의 교차 감염방지와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Kearns H.P.O., F.J.T Burke. Patient attitudes to glove use by oderthodontists. British Journal of Orthodontics. 1998;25;127-129. 

  15. 오세광. 치과진교실에서의 감염방지 실무.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5;33(3);184-187. 

  16. 조윤정, 윤석준, 안형식, 김순덕, 박형근.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 QA학회지 2003;10(2);190-204. 

  17. 이영애, 박현숙, 배지영, 조민정. 치과의료종사자들이 감염방지에 대한인식. 치위생과학회 2007;7(2);263-269. 

  18. 최혜정. 치과의료기관의 치과의료서비스에 관한 환자의 만족 요인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