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염관리에 관한 치과의료소비자들의 인식도
Recognition of Medical Consumer over the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1, 2013년, pp.306 - 312  

김지화 (포항대학교 치위생과) ,  김기욱 (포항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치과감염에 대한 의료소비자들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대구지역 치과병원(3곳)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회수한 213부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감염관리는 '기구소독'이 64.3%로 많았고,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감염관리 책임여부에 대해서는 72.3%가 '치과의사, 직원'의 책임이라고 답하였고 학력에서 유의하였다(P<0.001). 청결위생중요도에서는 70.0%가 '매우중요하다'고 답하였고, 성별(P<0.05)과 연령(P<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치과 감염관리에 관한 정보습득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손 씻기(P<0.001), 타액 흡입기 교체(P<0.001), 양치컵 교체(P<0.01)여부를 더 유심이 관찰하고, 보안경 착용여부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치과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에서 고지하는 감염관리 평가를 잘 인지하고 일반 의료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감염관리를 실천한다면 병원의 신뢰도는 물론 환자만족도까지 높일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recognition of medical consumer over the infection in dental clinic. The study performed the questionnaire by selecting the patients visiting 3 dental clinics of Daegu area as targets and analyzed 213 question papers collecte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지금까지 치과에서 이루어지는 일방적인 감염관리가 아닌 치과를 이용하는 환자들의 시각에서의 치과 내부 환경 및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평가함으로써 감염관리에 대한 치과 의료진의 관심과 실천도를 증대시키며 아울러 치과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여 병원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치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개인 보호용구(마스크, 장갑, 보안경 등)[14]와 치과 내부 환경이나 기구, 장비소독에 관하여 치과를 내원하는 의료소비자들은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인식도를 알아보고 의료기관 위주의 감염관리에서 벗어나 의료소비자들의 기대에 부합하는 감염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 의료기관 평가는 어떠한 기준으로 평가하게 되는가?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2006년 7월 ‘치과진료 감염관리기준’을 발표하여[7], 치과진료기자재 및 장비에 대한 소독 ,멸균, 취급 등을 정하여 이를 실천함으로서 감염관리의 수준향상과 교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하게 된 치과 의료기관 평가는 ‘구조, 과정, 결과’로 나누어 시설, 장비, 인력, 진료과정, 감염 관리, 치료의 결과를 객관적인 잣대를 가지고 평가 하게된다. 최근의 감염관리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높아진 관심으로 미루어 보아 좋은 평가를 받아 감염관리를 잘 시행하는 치과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것은 그 치과의 성실과 정직을 나타내는 지표로 작용하며, 이는 이미지 개선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8].
치과는 왜 감염이 이뤄지기 쉬운 환경인가? 치과는 진료나 진료실 특성상 환자의 혈액과 타액, 날카로운 기구에 노출되어있으며, 치료 시 사용하는 고속핸드피스에서 사출되는 물이 타액과 섞여 여러 곳으로 분사되거나 에어로졸이 발생하여 감염을 일으키기 쉬운 환경에 놓여있다[4-6].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2006년 7월 ‘치과진료 감염관리기준’을 발표하여[7], 치과진료기자재 및 장비에 대한 소독 ,멸균, 취급 등을 정하여 이를 실천함으로서 감염관리의 수준향상과 교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평가도구의 하나로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과거에는 치료를 잘하는 의료기관이 의료소비자의 병원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었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대중매체의 발달로 많은 의료정보들을 쉽게 접하게 되면서 치료뿐만 아니라 진료환경이나 진료실내 감염관리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요즘은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평가도구의 하나로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오향순, 국내종합병원 병원 감염관리 현황 및 평가 지표와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 심하나, 치과진료실 감염관리의 실천도의 분석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이영애, 조민정, 배지영, 박현숙, " 치과진료실에서의 직종별 감염방지 실천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치위생과학회지, Vol.7, No.4, pp.263-269, 2007. 

  4. 주재동, "치과감염 예방 및 대책",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26, No.1, pp.134-140, 1995. 

  5. J. Hardie, "Handpiece sterilization the debate continuous," J Can Dent Association, Vol.59, No.4, pp.355-362, 1993. 

  6. C. D. Bentle, N. W. Burkhart, and J. J. Crawford, "Evaluating spatter and aerosol contamination during dental procedures," J Am Dent Association, Vol.125, No.5, pp.579-584, 1994. 

  7. 보건복지부, 치과진료 감염방지 기준, 서울: 보건복지부, 2006. 

  8. 임현경, 정원균, 유재하, 김남희, "치과의료진의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관한 환자의 인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33, No.3, pp.441-450, 2009. 

  9. 김수경, 치과의료 종사자의 감염방지 실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김은경, 치과의료종사자들의 감염방지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1. 김영미, 병원관리의 구체적 업무전략 제시,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2. 배미란, 전진호, 이정화, "의료소비자들의 특성별 치과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분석", Vol.13, No.3, pp.271-277, 2013. 

  13. W. R. Jarvis, "Benchmarking for prevention: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NNIS)system experience," Infection, Vol.31, Suppl 2, pp.44-48, 2003. 

  14. D. Ellen and B. Raula, Safety Standards and Infection Control for Dental Hygienists, 고문사, 2007. 

  15. 김지현, 김진경,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교육경험에 따른 감염관리 실태"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 No4, pp.547-556, 2011. 

  16. 배성숙, "효과적인 치과병원 감염관리의 구성요소에 대한 고찰",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 No.4, pp.557-569, 2011. 

  17. 배미란, 치과 감염관리에 대한 소비자와 공급자의 인식과 실천, 인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황제희,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식 및 이행실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9. 우승희, 주온주, "치과에서의 감염방지를 위한 개인보호용구 착용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09, No.3, pp.459-464, 2010. 

  20. 우상엽, 치과병의원 내원환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