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피폭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upational exposure on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0 no.4, 2010년, pp.717 - 725  

장종화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혜남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quality of lif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bles related occupational exposure on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Methods :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iled to dental hygienists from April 4 to May 15,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보건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피폭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치과위생사 회원명부에서 서울시와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에게 이메일과 등기우편을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256명을 최종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일부 지역에 한정되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치과 방사선 피폭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유일한 연구이었으며, 구강보건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구강보건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들의 개인 피폭선량을 실제적으로 계측하여 개인적 특성과 근무환경 및 심리사회적 요인 등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 현재 치과 방사선 피폭 관련 연구로는 방사선안전관리 인식 및 행태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6,13,14)방사선 피폭 정도와 치과위생사의 삶의 질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구강보건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촬영경력, 구내 및 파노라마 촬영횟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자기관리 등의 방사선 피폭과 관련된 요인과 삶의 질에 대한 수준을 조사한 후, 이용된 변수들이 치과위생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건강증진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실제 치과위생사의 직무환경에서 오는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킨다고 하였고20) 나아가 방사선 피폭 위험이 있는 직무환경은 치과위생사에게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촬영경력과 구내 및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횟수 및 방사선 피폭에 대한 자기관리 등의 방사선 피폭 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자는 현재 구강보건의료기관에 근무하면서 방사선 촬영경력이 평균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은 누구에 의해 처음 발견 됐는가? 방사선은 뢴트겐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후 과학과 기술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특히 의료인에게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반면에 방사선 피폭은 직업상 잠재적 위험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1,2).
치과위생사가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것이 중요한 요인인가? 치과위생사가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환경이 중요한 영향 요인이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고 보고되고 있다10).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삶의 질이란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나 가치 체계에서 목표와 희망, 기준 그리고 관심사들과 관련하여 삶에 있어서 그들 자신의 위치에 대한 인지라고 정의하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International Commo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1990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Ann ICRP 1991;21:1-201. 

  2. Mettler FA Jr, Wiest PW, Locken JA, Kelsey CA. CT scanning: patterns of use and dose. J Radiol Prot 2000;0:353-359. 

  3. 강은주, 이경희, 김영임.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조사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5;5(3):105-112. 

  4. 박용덕, 강종오, 김민아 외 5인. 의료관계법규. 8판. 서울:대한나래출판사;2009:253-254. 

  5. 대한치과위생사협회. 공지사항. http://www.kdha.or.kr/smember/notice/read.asp?num703&page6(2010, April. 20). 

  6. 이경희.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천안:단국대학교 정책보건대학원;2004. 

  7. Niklason LT, Marx MV, Chan HP. Interventional radiologists: occupational radiation doses and risks. Radiology 1993;187:729-733. 

  8. Vano E et al. Occupational radiation doses in interventional cardiology: a 15-year follow-up. Br J Radiol 2006;79:383-388. 

  9. Hellawell et al. Radiation exposure and the urologist: what are the risks? J Urol 2005;174:948-952. 

  10. 박지혜, 조미숙. 일부 치과위생사들의 삶의 질과 직업 만족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09;34(1):63-71. 

  11. The WHOQOL Grou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position paper from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 Sic Med 1995;41(10):1403-1409. 

  12. The WHOQOL Grou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Soc Sic Med 1998;46(12):1569-1585. 

  13. 홍수민, 김희경, 안용순.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및 신체화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9;9(3):295-302. 

  14. 강은주, 이경희, 주온주. 치과 방사선 촬영실의 촬영 실태와 방사선 안전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5;5(2):83-88. 

  15. 전성희, 한은옥. 치과위생사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행위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1(3):363-375. 

  16. 오상훈, 최세민, 이미진 외 7인. 응급의학과 의사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인지도 조사. 대한응급의학회지 2008;9(5):541-550. 

  17.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회지 2000;29(3):571-579. 

  18. 최순철. 구내방사선사진 촬용시의 위험도 평가.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4;32(4):265-270. 

  19. Ron E. Cancer risks from medical radiation. Health Phys 2003;85:47-59. 

  20. 한세영. 치과의원에 종사하는 일부 치과위생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만족도 및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대전:충남대보건.바이오산업기술대학원;2008. 

  21. Kim AJ, Nah KS, Doh SH, Kim HJ, Yoo MJ. Skin absorbed does from full mou서 standards intraoral radiography in bisecting angle and paralleling technique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1990;20:315-3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