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실태 및 피폭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dental hygienist and anxiety of radiation expos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432 - 439  

이혜경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관리 행위, 방사선 피폭 불안감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방사선 안전 관리 수준을 향상하고 방사선 취급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과 불안감을 줄이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9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80명을 대상으로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사선 질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의 평균은 8.07 였고, 정답률은 75.3% 였다. 태도 정도는 96.1%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는 촬영자는 4.11 였고, '방사선 촬영 시 항상 TLD(개인선량계)를 착용한다'는 4.58 로 가장 높았다. 환자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는 3.86 였고, '방사선촬영 전 가임기 여성의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는 4.69 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 피복 뷸안감은 3.86 였고, '임신 중 일 때 태아의 건강 문제로 염려된다'는 4.13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 피폭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가 낮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방사선 촬영경력이 낮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월 소득이 많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는 방사선 질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관리 행위는 높았으나, 방사선 피폭 불안감은 높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어 방사선 안전 관리 수준을 향상시켜 방사선 피폭 불안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nowledge, attitudes, safety management behavior, and radiation anxiety of dental hygienists and to analyze affecting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reduce anxiety. The study period consisted of 280 dental hygi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지역 치과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방사선 피폭 불안감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되는 요인을 비교해봄으로써, 향후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이 안전 관리에 관한 많은 부분이 간과되는 이유는? 치과위생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조 제1항 제6호에서 안전관리기준에 맞게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를 설치한 보건기관 또는 의료기관에서 구내 진단용 방사선 촬영 업무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4], 구강진료기관에서 방사선 촬영 업무를 치과위생사가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5]. 흔히 치과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은 저선량 방사선으로 X선 양이 적어 피해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안전 관리에 관한 많은 부분이 간과되었다. 그러나, 아무리 적은 양의 방사선이라도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이에 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피부손상, 탈모, 백내장,불임, 태아에의 영향, 조혈작용의 억제 또는 항진, 백혈병, 암 및 유전적인 영향이 초래될 수 있다[6].
방사선 피폭 위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는 직업 방사선 피폭을 연간 50mSv, 5년간 100mSv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간 최대 20mSv로 선량한도를 권고하고 있다. 또한,의료기관은 방사선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방어 교육, 작업 절차의 확립, 적절한 보호 장구의 확보 및 사용, 효과적인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한 방사선 피폭의 합리적 최소화 방안(As Low As Reasonable Achievable,ALARA)을 권장하며, 이를 잘 준수한다면 방사선 피폭 위험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7,8]. 또한, 방사선 이용의 적정화를 기하고, 술자와 환자의 방사선 노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치과방사선 장비 및 용구에 관한 효율적인 질관리가 실현된다면 촬영 및 현상 등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 불필요한 재촬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 촬영에 의한 환자의 방사선 노출량이 감소되며, 환자와 술자의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없애게 되어 노력과 경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임산부의 의료피폭을 방지하기 위한 예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는 ICRP[18]에서 임산부의 의료피폭에 대해서는 더 엄격한 기준치를 제시하고, 비임신 여성의 피폭 규제 원칙은 남성과 동일하지만, 임신했거나 임신가능성이 있는 경우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예로, 수술실의 실무현장에서는 수술실 간호사가 임신한 경우 방사선 피폭이 우려되는 수술에 참여하지 않도록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평소에 방사선 방어행위를 상시로 하지 않으면, 자각증상이 없는 임신초기에 피폭될 위험이 있으므로 환자 및 방사선 종사자의 각별한 주의와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eron JL. Padovanib R. Smith I, Czarwinski R. "Radiation protection of medical staff",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vol. 76, pp. 20-323, 2010. DOI: https://doi.org/10.1016/jejrad.2010.06.034 

  2. W. Lee. "Current status of medical radiation exposure and regulation effort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4, no. 12, pp. 1248-1252, 2011. 

  3. J. H. Jang, S.L. Hwang, H. R.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of radiographic safety control and job stress in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vol. 10, pp. 265-271, 2010. 

  4. E. J. Kang, B. G. Yoo, "The study on the protection and actual condition of using the dental x-ray unit", J Korean Soc Radiol Tec, vol. 23, pp. 43-54, 2000. 

  5. K. H. Lee, "A study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y dental hygien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m 2004. 

  6. J. A. Chaffons, "Radiation protection and procedures in the OR", Radiologic Technology, vol. 79, no. 5, pp. 415-428, 2008. 

  7.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AORN] Recommended Practices Committee. Recommended practices for reducing radiological exposure in the perioperative practice setting, AORN Journal, vol. 85, no. 5, pp. 989-1002, 2007. DOI: https://doi.org/10.1016/j.aorn.2007.04.016 

  8.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radiological protection for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ICRP Publication 113, Annals of the ICRP, vol. 39, no. 5, 2009. 

  9.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radiological protection for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ICRP Publication 113, Annals of the ICRP, vol. 30, no. 3, pp. 135-147, 2008. 

  10. E. J. Kang, K. H. Lee, Y. I. Kim. A study i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y dental hygienist, J Korean Soc Dent Hyg, no. 3, pp. 105-112, 2005 

  11. H. K. Kim, H. Y. Kim, J. I. Park, H. J. Lim, S. M. Hong. knowledge, attitude, and activity of dental hygienist about radiographic quality assurance,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4, no. 2, pp. 273-281, 2010. 

  12. J. A. Yoon, Y. S. Yoon, A survey about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operating room nurse and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vol. 14, no. 2, pp. 230-239, 2014. 

  13. E. O. Han, A protective behavior model against the harmful effect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medical centers(dissertation). Seoul:Ewha Womans University; p 1-145, 2009. 

  14. S. H. Jun, E. O. Han., Analysis of the behavior on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for dental hygienists,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 32, no. 3, pp. 363-375, 2008. 

  15. B. S. Jung.,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havior in dental hygienis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2013. 

  16. J. Kim, J. S. Kim, H. T. Kim., Factors affecting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Korean J Adult Nurs, vol. 28, no. 6, pp. 680-690, 2016. DOI: https://doi.org/10.7475/jkjan..2016.28.6.680 

  17. M. K. Park, H. Y. Choi. Analysis of organizational linkage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to dental hygienist, AJMAHS, vol. 7, no. 2, pp. 555-563, 2017. DOI: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2.72 

  18.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regnancy and medical radiation, ICRP Publication 84. Annals of the ICRP, vol. 30, no. 1, pp. 1-43, 2000. 

  19. K. W. Kim. A study on anxiety of dental hygienists about being exposed to radi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vol. 14, no. 1, pp. 1-9, 2012.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1.1 

  20. E. J. Kang, J. H. Hyeong. A study on radiation management status and exposure anxiety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vol. 15, no. 2, pp. 172-181, 2015. DOI: https://doi.org/10.17135/jdhs..2015.15.2.172 

  21. K. H. Lee, S. R. Kim, C. J. Kim, E. J. Ki, H. L. Pa가, E. Y. Jung. Interest levels of adults in dental radiology education and factors affecting dental radiography in adults, J Dent Hyg Sci, vol. 17, no. 6, pp. 1095-1107, 2017.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6.1095 

  22. J. M. Ryu, B. S. Kang, S. H. Kim., A study on radiation safety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 in using portable intraoral X-ray equipment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vol. 17, no. 6, pp. 1053-1065, 2017.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6.10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