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과 관련요인
The percentage of adolescents who brush their teeth after lunch and its related factors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0 no.3, 2010년, pp.441 - 448  

김경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영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adolescents who brush their teeth after lunch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raw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 In order to extract adolescents to be subjected 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표적인 구강보건행태의 지표인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과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2007년도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 연구는 2007년도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인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대표성을 가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점심식후 칫솔질실천율과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을 기획하고, 청소년의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러나 2007년도 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단면연구이므로 연구결과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어려우며, 점심식후 칫솔질 여부만을 분석하여 칫솔질 행태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대표적인 구강질환인 치주질환과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치면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깨끗한 구강위생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3). 치면세균막은 보편적으로 칫솔을 포함한 구강관리용품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한다4).
대한치과의사협회에서는 하루 몇 회의 칫솔질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적절한 칫솔질 평균 횟수가 몇 번인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적어도 하루에 한 번씩은 칫솔질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대한치과의사협회에서는 매일 3회의 칫솔질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 많은 예방치의학자들이 적어도 하루에 두 번씩은 칫솔질을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과 관련요인을 알아본 결과는? 1. 청소년의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은 33.9%였다. 2. 점심 식후 칫솔질 안한 이유는 ‘칫솔과 치약을 가지고 다니기 귀찮음’, ‘시간부족’, ‘혼자만 이닦기 싫음’ 순이었다. 3.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은 남자가 20.4%, 여자가 48.3%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0.001), 12세 이상-14세 이하는 24.6%, 15세 이상-18세 이하는 41.8%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4. 최근 치과이용 시기에 따라, 영구치유식경험에 따라 점심식후 칫솔질 실천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p < 0.05). 5. 점심식후 칫솔질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하루 칫솔질 총 횟수, 연령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이충원. 중소도시에 소개한 일개 공업계 고교생의 건강위험 행동조사. 계명의대논문집 2000;19(1):143-158. 

  2. 문상진, 박재홍, 최영철, 최성철.구강보건교육을 통한 태백시 미취학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리 변화에 대한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09;36(1):71-77. 

  3. Savolainen JJ, Suominen-Taipale AL, Uutela AK, Martelin TP, Niskanen MC, Knuuttila ML. sense of coherence as a determinant of toothbrushing frequency and level of oral hygiene. J Periodontol 2005;76(6):1006-1012. 

  4. Darby M, Walsh MM.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2nd. Missouri: Saunders, 2003. 

  5. 김종배 외 6인. 공중구강보건학개론 3판. 고문사,2004. 

  6. 신선정, 안용순, 정세환. 한국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사회경제적지위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2):223-230. 

  7. Broadbent JM, Thomaon WN, Poulyon R. Oral health beliefs in adolescence and oral health in young adulthood. J Dent Res 2006;85(4):339-343. 

  8. 노희진, 최충호, 손우성.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구강보건교육횟수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2):203-213. 

  9. Daly B, Watt RG, Batchelor P, Treasure ET. Essential Dental Public Health. UK. Oxford, 2005. 

  10.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3기): 총괄. 서울:보건복지부, 2006. 

  11. 신성제,진기남.직장근로자들의 스케일링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사회과학회지 2007;21:97-115. 

  1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I:분야별 세부추진계획. 서울: 보건복지부, 2005. 

  13. 보건복지부. 미래사회 대비 평생 건강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구강보건 사업 강화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06. 

  14. Tada A, Hanada N. Sexual differences in oral health behaviour and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 behaviour on Japanese young adults. J Roy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2004;118(2):104-109. 

  15. 문소정, 정원균, 김남희. 한국 성인의 잇솔질 평균횟수 분석(2000년, 2006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2):183-191. 

  16. Ostberg AL. Adolescents' views of oral health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Acta Odontol Scand 2005;63(5):300-166. 

  17. Watt R, Fuller S, Harnett R, Treasure E, Stillman-Lowe C. Oral health promotion evaluation -time for development.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1;29(3):161-166. 

  18. Brown LF. Research in dental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Edut Q 1994;21(1):83-1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