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생의 치아우식증과 구강건강행태와의 관련성 연구: 제9차(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and oral health behavio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Ninth(2013)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1, 2015년, pp.119 - 127  

이종화 (김천대학교 치기공학과) ,  백지민 (서라벌대학교 치위생과) ,  유지영 (수성대학교 보건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web-based survey of the ninth(2013) Korean youth risk behavior. Methods: The subjects were 75,149 students from 400 middle schools and 400 h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시행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결과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대표성과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기존 학교 구강보건 사업에서 치아우식증 관리의 중요성과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부여 할 수 있겠다.
  • 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치아우식유병여부와 구강건강 관련행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인 청소년 구강질환 예방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제9차(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12)를 이용해서 청소년의 치아우식증 유병과의 관련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층화, 집락, 확률추출 방법에 의해 선정된 중학교 400개교, 고등학교 400개교 총 800개교의 75,14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799개교, 72,4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대한 대표성 있는 제9차(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자료12)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치아우식유병여부와 구강건강 관련행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인 청소년 구강질환 예방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요 선진국에서의 청소년 구강질환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주요 선진국에서는 청소년에게 불소도포, 치아 홈 메우기, 치아세정술(스케일링) 및 구강보건교육 등 예방 중심의치과 의료 서비스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구강건강을 유지 및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9). 우리나라 또한 치료중심의 제한된 치과 의료서비스에서 의료 취약계층을 위시로 한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기반을 둔 예방중심 구강질환관리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구강건강은 어떤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가? 평생 사용해야할 치아에 대한 중요성은 일반적으로 이미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구강건강은 인구사회⋅문화⋅경제적 측면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하고 이해되어야할 동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구강건강행태 또한 생물학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문화와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함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영구치우식경험자율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영구치우식경험자율(DMF rate)은 만12세 57.3%, 만15세에서 71.1%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졌고, 만12세 우식경험영구치 지수(DMFT index)는 2003년 3.3개, 2006년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urvey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1-573. 

  2. Broadbent JM, Williams KB, Thomson WM, Williams SM. Dental restorations: a risk factor for periodontal attachment loss?. J Clin Periodontol 2006; 33(11): 803-10. http://dx.doi.org/10.1111/j.1600-051X.2006.00988.x.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ird national health promotion master plan:HP 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1-848.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urvey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1-672. 

  5. Jung JH, Kim KY, Jeong SH, Kim KS, Lee YM. The effect of the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periodontal status in teenagers.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2): 163-71.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2.163. 

  6. Jeong SH, Chung CO, Shim JS, Kim JS, Choi YH, Song KB. Public health dentistry: effect of food intake on dental caries among early adolescence: 1-year follow-up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8; 32(4): 551-62. 

  7. Lee YK, Kwon HJ. Correlations among eating habits, behaviors for dental health and dental caries of juveniles.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3): 419-24. http://dx. doi.org/10.13065/jksdh.2013.13.3.419. 

  8. Park SY, Lee HS. Use and educational needs of auxiliary oral care products in a large enterprise employees.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2): 223-30.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2.223. 

  9. Ha MO, Cho MJ, Kim EM. The effects of incremental dental care(IDC) on kindergarten children.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2): 271-7. 

  10.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life table.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1-20. 

  11. Kim JY. The significant caries(SiC) index of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city. J Dent Hyg Sci 2006; 6(1): 19-22.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i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raw data bas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13. Choi SS, So MS. Dental caries of factors the oral health behaviors and dental health services utilization in the middle-school student's;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J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11; 12(1): 35-44. 

  14. Marshall TA, Levy SM, Broffitt B, Warren JJ, Eichenberger-Gilmore JM, Burns TL, Stumbo PJ. Dental caries and beverage consumption in young children. Pediatrics 2003; 112(3): 184-91. 

  15. Chung SY, Jeong SH, Bin SO, Choi YH, Song KB. Comparison of periodontal condition by residential areas in korean adult population: KNOHS 2000.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0; 34(4); 516-24. 

  16. Sayegh A, Dini EL, Holt RD, Bedi R. Caries in preschool children in amman, jordan and the relationship to sociodemographic factors. International Dental J 2002; 52: 87-93. http://dx.doi.org/10.1111/j.1875-595X.2002.tb00606.x. 

  17. Lee EK, Cho MS, Lim HJ.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ubjective oral health.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 12(12): 5811-8.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2.5811. 

  18. Moon SJ, Park JH, Choi YC, Choi SC. The study of changes in oral health care of preschoolers in taebaek city through oral hygiene education. J Korean Acad of Pediatr Dent 2009; 36(1): 71-7. 

  19. Wei H, Wang YL, Cong XN, Tang WQ, Wei PM. Survey and analysis of dental caries in students at a deaf-mute high school.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2; 33(4): 1279-86. http://dx.doi.org/10.1016/j.ridd.2012.02.025. 

  20. Zaborskis A, Milciuviene S, Narbutaite J, Bendoraitiene E, Kavaliauskiene A. Caries experience and health behaviour among 11-13-year-olds: an ecological study of data from 27 European countries, Israel, Canada and USA. Community Dental Health 2010; 27(2): 102-8. 

  21. Jung Y, Kim SJ, Kim KN, Kang SJ, Doh SJ. Effect of mother's education level on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mong preschool children: analysis of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 26(1): 117-28. 

  22. Shin SC.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J Korean dental association 1998; 36(10): 676-82. 

  23. Kho HS. Halitosis(bad breath)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World Health 2000; 47(10): 16-9. 

  24. Cho ES. The effect of middle schoolers' oral health awareness on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10): 5020-8.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0.5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