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복식
Play Costume from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3, 2010년, pp.10 - 25  

임린 (북경 청화대학 미술학원) ,  이태호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lture of the play of Korean ancient times is well described in the mural painting of Goguryeo. The example is people appearing in the play painting of performance, dance, hunting, and acrobatics out of 20 mural painting of genre. Their costume is broadly classified into performance, dance, hun...

주제어

참고문헌 (63)

  1. 이태호 (1984). 삼국시대의 미술회화. 한국미술사. 서울: 대한민국예술원. 

  2. 이태호, 유홍준 (1995). 고구려고분벽화와 삼국시대 회화. 고구려고분벽화 해설. 서울: 풀빛, pp. 5-16. 

  3. 유홍준, 이태호 (1997)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굴.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p. 228-286. 

  4. 이태호 (2007). 평양지역 8기의 고구려 벽화고분-벽화의 내용과 화풍-. 국립문화재연구소.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북공동 고구려벽화고분 보존질태 보고서. 제1권 조사보고, pp. 86-111. 

  5. 주재걸 (1982). 벽화무덤을 통해 본 고구려의 교예. 력사과학, 2. 

  6. 임재해 (1995). 민속놀이의 주술적 의도와 생산적 구실. 연속학회, 27(1). 

  7. 고승길 (1996).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곡예와 아시아의 곡예. 연극연구, 10. 

  8. 정연학 (1996). 출토문물을 통해 본 중국의 씨름과 手搏, 비교민속학, 13. 

  9. 이애주 (1997). 고구려 춤의 민속학적 연구. 고구려연구, 3. 

  10. 이중구 (1998). 한국전통사회 놀이문화의 변천과정. 관광학연구, 22(2). 

  11. 황옥철, 심재영 (1999). 우리나라 놀이문화의 변천사 연구. 움직임의 철학, 7(1). 

  12. 전경욱 (2004).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놀이문화. 고구려연구, 17. 

  13. 전미선 (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고영미 (2007). 고대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 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J. Huizinga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김윤주 역 (2008). 호모 루덴스. 서울: 도서출판 까치, p. 13. 

  16. 전호태 (2003).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304. 

  17. 유홍준, 이태호 (1997).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굴.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p. 245-246. 

  18. 김윤주 역 (2008). 호모 루덴스. 서울: 도서출판 까치, pp. 13-46. 

  19. R. Caillois (1958). LES JEUX ET LES HOMMES. 이상률 역 (2003). 놀이와 인간. 서울: 문예출판사, pp. 25-34. 

  20. 김윤주 역 (2008). 호모 루덴스. 서울: 도서출판 까치, pp. 66-67, 78-79. 

  21. 전미선 (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22. 유홍준, 이태호 (1997). 고구려 벽화고분의 발굴.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서울: 학고재, pp. 276-279: 기준으로 추정 연대 작성. 

  23. 황옥철, 심재영 (1999). 우리나라 놀이문화의 변천사 연구. 움직임의 철학, 7(1), pp. 129-130. 

  24. 隋書. 卷81, 列傳 第46, 高麗條. 

  25. 舊唐書, 卷29, 志第9, 音樂2. 高麗樂. 舞者四人推?於後以?抹額飾以金?. 二人黃裙?赤黃袴極長基袖鳥皮靴雙雙立而舞. 

  26. 李白集校注 卷6, 高句麗. 

  27. 三國史記. 百濟本紀, 阿莘王條. 

  28. 舊唐書. 卷199上 列傳 第149上, 東夷傳, 高麗條, 好園?投壺之?人能蹴鞠. 

  29. 전경욱 (2004).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놀이문화. 고구려연구, pp. 142-143. 

  30.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윤화재와 문화유적 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20, 51-52, 130. 

  31.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7. 

  32. 정연학 (1996). 출토문물을 통해 본 중국의 씨름과 手搏, 비교민속학, 13, p. 651, 680. 

  33. 전호태 (2003).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54. 

  34.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 204. 

  35. 이애주 (1997). 고구려 춤의 민속학적 연구. 고구려연구, 3, pp. 132-133. 

  36.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241. 

  37. 김은정, 임린 (2009). 역사속의 우리옷 변천사.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p. 29. 

  38.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 4집, p. 516. 

  39. 舊唐書. 卷199 列傳 高麗條. 唯王五綵以白羅爲冠白皮小帶其冠及帶感以金飾, 官之貴者則靑羅爲冠次以緋羅?二鳥羽及金銀爲飾. 

  40. 이경희 (2007). 고구려 책(?)에 관하여. 한국학연구, 17, p. 129. 

  41. 晉書. 卷25, 志 第15, 與服. 武弁, 大冠, 繁冠, 建冠, 籠冠, 惠文官. 

  42. 공석구 (1998). 안악 3호분 주인공의 관모에 대하여. 고구려 연구, 5, pp. 174-178. 

  43.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4. 

  44. 이여성 (1947). 조선복식고. 서울: 백양당, p. 167. 

  45. 三國志, 魏志, 東夷, 高句麗條. 其公會衣服皆金?金銀以自飾 大加主簿頭著?如?而無後 其小如著折風 形如弁. 

  46. 정완진, 이순원 (1994). 고구려 관모 연구. 복식, 23, p. 164 

  47. 박선희 (2003). 한국고대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p. 234 

  48.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9. 

  49. 김진구 (1995). 절풍의 연구. 복식문화연구, 3(1), p. 10. 

  50. 권준희 (2003). 고구려와 신라의 절풍(折風)형 관모. 한복문화, 6(3), p. 77. 

  51. 이경희 (2007). 고구려 책(?)에 관하여. 한국학연구, 17, pp. 134-145. 

  52. 임린, 김은정 (2009). 한국 고대 가계의 기능과 의미. 복식, 59(2), p. 19. 

  53. 윤지원 (2000). 漢代와 고구려의 長袖衣 무용복 비교. 복식, 50(5), pp. 41-42. 

  54. 박경자 (1981). 덕흥리 고분벽화의 복식사적 연구. 복식, 5, p. 47. 

  55.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 4집, p. 503. 

  56. 홍나영, 이미현 (2005). 고구려 복식의 양식 분석-고구려 바지를 중심으로-. 복식, 55(2), p. 84. 

  57.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4. 

  58.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 21. 

  59. 채금석 (2001). 수렵총, 수산리고분벽화에 나타난 복식 연구. 한복문화, 4(3), p. 71. 

  60.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 208. 

  61. 김인숙 (1987). 바지袴(I)-바지 形態에 대한 小考-. 대한가정학회지, 25(2), p. 27. 

  62. 홍나영, 이미현 (2005). 고구려 복식의 양식 분석-고구려 바지를 중심으로-. 복식, 55(2), p. 89. 

  63. 전미선 (2005).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9-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