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려 복식의 양식 분석 -고구려 바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Style of Kogufo Costume -Trouser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5 no.2 = no.92, 2005년, pp.82 - 91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이미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yle of trousers of Koguryo(高句麗). Trousers of Koguryo were called Go(袴: trousers) and those had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gusset(dang, 糖), width and length of the trousers. Commonly the trousers that had worn by Koguryo people had gausse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여기에서는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바지를 擋의 형태, 길이. 너비, 장식 등을 기준으로 분류해 보았고, 동시에 주변 국가에서 발견된 바지 유물을 통해 다양하게 착용되었던 고구려 당시의 바지 형태를 그 세부적인 특징에 따라 정리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이여성 (1947). 조선복식고. 서울: 범우사, pp. 76-80 

  2. 김동욱 (1973). 朝鮮服節史硏究. 서울: 亞細亞文化社 

  3. 유희경 (2002). 한국 복식사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 백영자 (1973). 우리나라 袴에 關한 小考. 대한가정학회지, 11(3) 

  5. 이경자 (1983) 한국복식사론. 서울: 一志社, p. 102 

  6. 유희경, 김문자 (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敎文社, pp. 12-13 

  7. 王宇淸 (1967). 中國服裝史網. 臺北: 中華大典編, pp. 103-109 

  8. 漢書 列傳 卷97上 外戚傳 第67上 孝昭上官皇后 雖宮人 使令皆爲窮? 多其帶 後宮莫有進者 註: 服虔曰 窮? 有前後當 不得交通也 師古曰 使令 所使之人也 ? 古袴字也 窮?卽今之??袴也 令音力征反 ?音 下昆反 

  9. 김문자 (1994).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서울: 민족문화사 

  10. 이경자 (1983) 한국복식사론. 서울: 一志社, p. 101-107 

  11. 유희경, 김문자 (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敎文社, p. 12 

  12. 유희경, 김문자 (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敎文社, p. 13 

  13. 이경자 (1983) 한국복식사론. 서울: 一志社, p. 102 

  14. 魏書 列傳 卷103 補 第91 ?? : 紫納大口袴褶 -具 

  15. 階書 志, 卷12 第7 禮儀七: 紫衫大口袴褶 

  16. 舊唐書 志 卷45 第25 輿服 衣服 侍臣服: 緋褶大口袴 

  17. 유희경, 김문자 (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敎文社, p. 13에서 재인용 

  18. 김희정 (1994). 裙과 裳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6-88. 김희정은 돈황에서 발견된 〈그림 17>에 보이는 下衣를 근거로 고구려인이 치마를 착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마르칸트 아프랍시아 궁전 벽화에서 볼 수 있듯이 먼 길을 가야하는 사신은 주로 바지를 입었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다른 회화작품에 보이는 사신들의 下衣는 고구려 말기 이전의 細袴였던 바지가 점차로 寬大해져서 大口袴로 변화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19. 王宇淸 (1967), 中國服裝史網. 臺北: 中華大典編, p. 108 

  20. 三國志, 卷23 魏書23 裵?傳 時天大寒 宣前以當受杖 豫脫袴 纏?面縛 及其原 ?腰體 不下 乃趨而去 

  21. 衫本正年 저, 문광희 역 (1995). 동양복장사논고 고대편. 서울: 경춘사, pp. 304-305 

  22. 유송옥 (1982). 韓國의 服節.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p. 47-64 

  23. 王宇淸 (1967), 中國服裝史網. 臺北: 中華大典編, pp. 103-109 

  24. 김인숙 (1987). 바지考. 대한가정학회지, 25(2), p. 3 

  25. 漢書 列傳 卷 57上 司馬相如傳 第27上 師古曰 卽今之松也 形似犢鼻 故以名云 松音之容反 

  26. 史記 三家注 列傳 卷117 司馬相如列博 第五十七 註 集解韋昭曰 今三尺布作形如犢鼻 稱此者 言其無恥也 

  27. 梁書 列傳 卷50 第44 : 後以在省署 夜著犢鼻? 

  28. 南史列傳 卷34第24 : 夏月著犢鼻? 

  29. 北史列傳 卷81第69 : 常閉戶讀書 暑月唯著犢鼻揮?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