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제조업체의 브랜드 노출여부와 소비자의 브랜드 민감성이 패션유통 PB상품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Exposure and the Brand Sensitivity of Consumers on the Attitude of the Private Brand Products of Fashion Retaile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4 no.3, 2010년, pp.459 - 471  

김정희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학과) ,  이진화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xposure effects of the brand of fashion manufacturers on the brand attitude of consumers towards the private brand of fashion retailer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exposure effects of the brand of fashion manufacturers on the brand attitude of consumers towards the pri...

주제어

참고문헌 (38)

  1. 권도희. (2008). 쇼핑가치, 패션브랜드 민감성 및 콜레보레이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순기, 고애란, 오세조. (2000). 의류제품의 유통업자 상표선호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의류학회지, 24(5), 628-639. 

  3. 김광수, 최원일, 공희숙. (2004). 소비자 행동특성이 이미테이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17(1), 177-202. 

  4. 맨프레드 크래프트, 무랄리 K. 맨트랄라. (2006). Retailing in the 21st century. 2012 유통트랜드. 추호정, 문희강, 전대근 옮김 (2008). 서울: 한국체인스토어협회. 

  5. 박경도, 박진용, 전승은. (2007). 유통업체와 제조업체 브랜드의 성공적인 제휴: 가격과 품질 민감성의 조절효과. 유통연구, 12(4), 109-125. 

  6. 박성희, 홍병숙. (2001). 백화점 이미지가 여성의류 자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요인. 유통연구, 1, 107-114. 

  7. 박영근, 김창완. (2002). PB제품의 구매선호도 영향요인. 마케팅과학연구, 9, 1-13. 

  8. 박진용. (2001). 유통업자 상표 의류 구매의도 및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 339-352. 

  9. 박진용. (2002).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 간 전략적 연계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9(3), 49-68. 

  10. 박진용, 권순기, 오세조. (1999). 유통업자 상표 의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4(2), 59-74. 

  11.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2008). 전략적 브랜드 관리 (제3 개정판). 서울: 학현사. 

  12. 이동대. (2008). 브랜드 정체 노출여부가 유통업체 브랜드 평가 및 선행변수들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3(4), 1-21. 

  13. 이승희, 최은희. (2006). 대형 할인점의 점포 이미지가 패션PB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문화연구, 14(4), 647-656. 

  14. 정혜영. (2001). 의류점포 브라우저들의 브라우징동기, 쇼핑선도력, 및 선호 점포 속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1), 86-99. 

  15. 조성도, 정강옥, 박진용. (2004).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 제휴에 따른 소비자 반응연구-소재브랜드를 중심으로-. 유통연구, 6(2), 3-22. 

  16. 조철휘. (1996). 고유브랜드(Private Brand)의 발달,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렇게'. 유통저널, 5, p. 87-88. 

  17. 주태욱. (2008). 주된 브랜드의 시장지위에 따른 성분형 브랜드 제휴가 소비자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23(2), 1-20. 

  18. 최미영, 이은영. (2006). 유통업체 의류상표에 대한 소비자 태도 형성. 한국의류학회, 30(8), 1210-1221. 

  19. 황선진, 김희정. (2008). 쇼핑가치와 상표 제휴가 인터넷 쇼핑업체의 PB의류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2(2), 247-258. 

  20. Ailawadi, K. L., Neslin, S. A., & Gedenk, K. (2001). Pursing the value conscious consumer: Private labels versus national brand promotions. Journal of Mark-eting, 65(1), 71-89. 

  21. Beaudoin, P., Lachance, M. J., & Robitaille, J. (2003).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diffusion and brand sensitivit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7(1), 23-30. 

  22. Bellizzi, J. A., Krueckeberg, H. F., Hamilton, J. R., & Martin, W. S. (1981). Consumer perceptions of national, private and generic brands. Journal of Retailing, 57(4), 56-70. 

  23. Bloch, P. H., Ridgway, N. M., & Dawson, S. A. (1994). The shopping mall as consumer habitat. Journal of Retailing, 70(1), 23-42. 

  24. Bloch, P. H., Ridgway, N. M., & Sherrell, D. L. (1989). Extending the concept of shopping: An investigation of browsing activ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1), 13-21. 

  25. Collins-Dodd, C., & Lindley, T. (2003). Store brands retail differentiation: The influence of store image and store brand attitude on store own brand perception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0(6), 345-352. 

  26. Dodds, W. B., Kent, B. M., & Dhruv, G. (1991).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3), 307-319. 

  27. Engel,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3). Consumer behavior (7th ed.). Fort worth: Dryden Press. 

  28. IRI The Latest TImes & Trends Report. (2008). Chicago: information Resources Institute. 

  29. Jarboe, G. R, & McDaniel, C. D. (1987). A profIle of browsers in regional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5(1),46-53. 

  30. Kapferer, J. N., & Laurent, G. (1989). La sensibilities aux marques. In J. N. Kapferer & J. C. Thoening (Eds.), La marque (p. 93-124). Paris: McGraw-Hill. 

  31. Keller. (2002). Strategic brand management. New York: Prentice Hall. 

  32. McCarthy, M. S., & Norris, D. G. (1999). Improving competitive position using branded ingredient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8(4), 267-285. 

  33. McGoldrick, P. J. (1984). Grocery generics-an extension of the private label concept.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1), 5-24. 

  34. PLMA's Market Profile. (2008). New York: The Private Label Manufacturers Association. 

  35. Richardson, P., Jain, A. K., & Dick, A. (1996). The influence of store aesthetics on evaluation of private label brand. The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5(1), 19-27. 

  36. Semeijn, J., Van Riel, A. C. R., & Ambrosini, A. B. (2003). Consumer evaluations of store brands: Effects of store image and product attribut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1(4), 247-258. 

  37. Vaidyanathan, R., & Aggarwal, P. (2000). Strategic brand alliances: Implications of ingredient branding for national and private label brand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9(4),214-228. 

  38. Venkatesh, R, & Mahajan, V. (1997). Products with branded components: An approach for premium pricing and partner selection. Marketing Science, 16, 14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