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콜레보레이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 효과-
Consumer Responses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Brands -Effects of Collaboration Type and Brand Sensitiv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10, 2012년, pp.1058 - 1073  

김은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고순화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type and brand sensitivity on consumer responses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brands. For this study, six brands of fashion collaboration were selected by collaboration types: collaboration with same industry (Uniqlo-Jill Sander, H&M-Sonia Rykie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자산에 근거하여 소비자 반응과 전략적 마케팅 요소와의 인과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은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하위요인을 밝히고,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을 고려한 전략적 마케팅 요소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 패션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유형에 따라 마케팅 사례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콜레보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마케팅 4P믹스에 근거하여 유형별 전략적 마케팅 특징을 고찰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차이를 이해함으로써 연구자 관점에서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브랜드자산 이론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실무자 관점에서 브랜드 자산의 핵심가치를 파악하고 목표고객에 적합한 패션기업과의 브랜드 제휴 시 결정적 마케팅 요소를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마케팅 성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은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하위요인을 밝히고,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을 고려한 전략적 마케팅 요소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차이를 이해함으로써 연구자 관점에서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브랜드자산 이론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패션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차이와 전략적 마케팅 요소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패션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감성적 가치, 지각된 품질, 상징적 가치, 브랜드 연상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상징적 가치는 패션브랜드와의 콜레보레이션 과정에서 시장지위가 높은 럭셔리 브랜드가 갖는 본질적 가치(Kim & Park, 2012; Vigneron & Johnson, 2004)가 전이되어 부가적으로 얻게 된 브랜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자산에 근거하여 소비자 반응과 전략적 마케팅 요소와의 인과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은 콜레보레이션 맥락에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하위요인을 밝히고,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콜레보레이션이 패션시장에서 브랜드의 경쟁적 이점을 얻는데 매우 성공적인 전략으로 제시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콜레보레이션은 기업 간의 기술력 공유와 더불어 서로 다른 강점을 바탕으로 상호보완적인 역량을 결합하여 시장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Hong & Hwang, 2008; Jeong & Kim, 2008). 특히, 패션 콜레보레이션은 파트너의 선정범위가 넓으며 브랜드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제품차별화뿐 아니라 고객을 서로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한 패션시장에서 브랜드의 경쟁적 이점을 얻는데 매우 성공적인 전략으로 제시되고 있다(Cho et al., 2005; Hong & Hwang, 2008; Jeon & Lee, 2008; Jeong & Kim, 2008; Kim, 2011; Lee & Park, 2011).
콜레보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콜레보레이션(collaboration)”이란 두 개 이상의 기업이 상호대등한 관계로 협업 또는 협력한다는 의미로 브랜드의 부가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파트너와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 결정하는 공동 브랜드 전략이다(Hong & Hwang, 2008; Kim, 2011; Park & Kim, 2009). 콜레보레이션은 기업 간의 기술력 공유와 더불어 서로 다른 강점을 바탕으로 상호보완적인 역량을 결합하여 시장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Hong & Hwang, 2008; Jeong & Kim, 2008).
국내 콜레보레이션 현황은 패션산업 내 동종업체와의 비율이 높고, 패션디자이너 또는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대하여 들 수 있는 예시는 무엇인가? , 2010; Lee & Park, 2011; Park & Kim, 2009). 예를 들면, 리바이스 진과 “장 폴 고티에”와의 콜레보레이션, 유니클로와 “질 샌더”와의 콜레보레이션, H&M과 “소니아 리키엘”과의 콜레보레이션 등이 있으며, 그 예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이종업체 콜레보레이션은 패션기업이 IT산업, 자동차, 전자산업 등의 다른 산업체와 협업하는 경우를 말하며(Kim & Kim, 2010b) 더욱 최근에는 음료, 자동차, 건설업체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어(“From Armani's”, 2009; “Samsung”, 2007) 그 사례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3D glass is going to luxury too...Samsung electronics' alliance with Austrian luxury brand. (2011, January 2). Digital Daily. Retrieved February 23, 2012, from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72857 

  2. Ahn, S. K. (2007). Partner selections for co-marketing alliances between fashion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With viewpoint of consum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Arnett, D. B., Laverie, D. A., & Wilcox, J. B. (2010).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retailer-manufacturer brand alliances: The role of perceived fi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6(1/2), 5-27. 

  4. Beaudoin, P., & Lachance, M. J. (2006). Determinants of adolescents' brand sensitivity to clothing. Family and Consumer Science Research Journal, 34(4), 312-331. 

  5. Cho, H., Myung, H., & Jang, N. (2005). Collaboration strategy in fashion industry-Focused on individual and company collaboration ca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5(1), 19-37. 

  6. Choi, J. W., & Chang, M. S. (2010).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28-641. 

  7. From Armani's mobile phone to Prada's automobile. (2009, November 24). Nexteconomy. Retrieved February 21, 2012, from http://www.nexteconomy.co.kr/news/articlePrint.html?idxno5485 

  8. H&M, launching collaboration collection with luxury brand Marni. (2012, February 21). Kukminilbo. Retrieved February 21, 2012, from http://news.kukinews.com/article/print.asp?arcid13 29822456 

  9. He, H. W., & Balmer, J. M. T. (2006). Alliance brands: Building corporate brands through strategic alliances?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3(4/5), 242-256. 

  10. Hong, W. P., & Hwang, J. S. (2006).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enterprises' collab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7), 1001-1011. 

  11. Hong, W. P., & Hwang, J. S. (2008). The effect of collaboration motive types on collaboration areas, trust/devotion, and performance/satisfaction in fashion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5), 692-703. 

  12. Jeon, J., & Lee, M. (2008). The meanings and values of collaboration-Focused on product desig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9(1), 855-867. 

  13. Jeon, K. H. (2010) The effect of brand alliance on evaluation of extended product.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y, 28(2), 67-75. 

  14. Jeong, H. S., & Kim, Y. I. (2008). Collaboration among design fields with a focus on the fash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6), 110-123. 

  15. Ju, T. W., & Kim, S. Y. (2008). A study on a influence upon the consumer's attitude ensuing the market position of host brand by the ingredient branding. Korea Marketing Review, 23(2), 1-20. 

  16. Keller, K. L. (2001).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 14-19. 

  17. Keller, K. L. (200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18. Keller, K. L., & Sood, S. (2003). Brand equity dilution. MITSLOAN Management Review, 45(1), 12-15. 

  19. Kim, E. Y., & Park, E. J. (2012). Perceived fit and brand value transfer in luxury fashion brand extens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1), 151-163. 

  20. Kim, G. B., & Kim, B. J. (2010a). A case study on the cobranding within the same industry-Focused on the success factors of brand alliance-. The Journal of Industry and Management, 1(18), 55-72. 

  21. Kim, G. B., & Kim, B. J. (2010b). A case study on the global brand alliance between the different industries-Focused on the success factors of brand alliance-.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6(3), 1-20. 

  22. Kim, J. H., & Lee, J. H. (2010). The effect of brand exposure and the brand sensitivity of consumers on the attitude of the private brand products of fashion retail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459-471. 

  23. Kim, J. S. (2006).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 of collaboration strategy according to brand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Kim, M. J., & Park, E. K. (2008). A case study of collaboration with designer and brand as trading 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3), 79-94. 

  25. Kim, S. H. (2011). Collaboration marketing in the fashion industr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2), 46-52. 

  26. Kwon, D. H. (2008). The effects of consumer attitude based on shopping value, fashion brand sensitivity and types of collabo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7. Lee, H. R., & Lee, S. J. (2008). Fashion brand collaboration, with whom and what to collaboration?-Proposing a strategic collaboration model, according to the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467?1477. 

  28. Lee, S. H., Kim, Y. D., & Hong, Y. K. (2010). A study on of George Armani's design trend and collaboration cases.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3(3), 91-98. 

  29. Lee, S. H., & Park, J. L. (2011). Effects of fashion brand's collaboration on customer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0, 233-243. 

  30. Leuthesser, L., Kohli, C., & Suri, R. (2003). 2+25? A framework for using co-branding to leverage a brand.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1(1), 35-47. 

  31. Levin, I. P., & Levin, A. M. (2000). Modeling the role of brand alliances in the assimilation of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9(1), 43-52. 

  32. Martin, I. M., Stewart, D. W., & Matta, S. (2005). Branding strategies, marketing communication, and perceived brand meaning: The transfer of purposive, goal-oriented brand meaning to brand extension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3(3), 275-294. 

  33. Nelson, M. R., & Devanathan, N. (2006). Brand placements Bollywood style.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5(3), 211-221. 

  34. Park, K. A., & Kim, S. K. (2009). Collaboration in fashion and arts across industry discipli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7), 1152-1163. 

  35. Park, K., & Park, K. (2004). Strategic alliances in fashion business: Across textile manufacturers, fashion product manufacturers, retailers, and service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5), 678-689. 

  36. Rao, A. R., Qu, L., & Ruekert, R. W. (1999). Signaling unobservable product quality through a brand all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2), 258-268. 

  37. Raggio, R. D., & Leone, R. P. (2009). Chasing brand value: Fully leveraging brand equity to maximize brand value.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4), 248-263. 

  38. Samsung electronics, strategic alliance with luxury brand Armani. (2007, September 27). dongA.com. Retrieved February 23, 2012, from http://news.donga.com/3//20070927/8493730/1 

  39. Shin, H., & Lee, I. (2009).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through collaboration-Focusing on TV dramas and women wear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7), 50-64. 

  40. Song, S. Y., Kim, B. J., & Kim, G. B. (2010). A study on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alliances with global brands: Focused on the alliance between high-tech brand and highfashion brand.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4(2), 27-49. 

  41. Sung, Y. S., & Lim, S. H. (2005). A study on brand dilution effect in the co-marketing.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6(2), 1-25. 

  42. Uggla, H., & Asberg, P. E. (2010a). Leveraging the luxury partner-brand: Strategic portfolio motives. The IUP Journal of Brand Management, 7(4), 7-19. 

  43. Uggla, H., & Asberg, P. E. (2010b). A psycho-semiotic research agenda for strategic brand alliances. The IUP Journal of Brand Ma- nagement, 7(1/2), 92-104. 

  44. Vigneron, F., & Johnson, L. W. (2004). Measuring perceptions of brand luxur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1(6), 484-506. 

  45. Washburn, J. H., Till, B. D., & Priluck, R. (2004). Brand alliance and customer-based brand-equity effects. Psychology & Marketing, 21(7), 487-508. 

  46. Why does Prada make mobile phone with LG? (2012, February 22). Money Today. Retrieved February 23, 2012, from http://news.mt.co.kr/mtview.php?no201202161527814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