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복합추출물과 점토 광물질 혼합제의 Escherichio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Herbal Complex Extract and Clay Mineral Mixtur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5 no.1, 2010년, pp.1 - 5  

이연욱 (주식회사 세농) ,  정원철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생명과학연구소) ,  차춘남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부 공학연구원) ,  김곤섭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생명과학연구소) ,  이여은 (경상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석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생명과학연구소) ,  이후장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황련, 금은화, 그리고 백작약 등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와, 한약재 복합추출물과 dioctahedral smectite의 합제의 E. coli O157:H7 감염 마우스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약재 복합추출물, CLP1000을 이용하여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험을 수행한 결과, CLP1000 10%와 20%를 첨가한 배지에서 E. coli O157:H7의 성장을 각각 30%와 47%를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을 김염시킨 마우스에 CLP1000, dioctahedral smectite (DHS), 그리고 CLP1000와 DHS 합제 (CLPS1000)를 각각 7 일 동안 경시별로 마우스 분변 중의 E. coli O157:H7 균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투여 3일째에, 10% CLPS1000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 < 0.05), 투여 7일째에는 10% CLP1000 (p < 0.05)과 10% CLPS1000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CLPS1000을 E.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투여할 경우 감염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evalu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Coptidis rhizoma, Lonicerae Flos, and Paeonia japonica (1:1:1) extracts (CLP1000). Also, the effectiveness of CLP1000, dioctahedral smectite (DHS), and the combination of CLP1000 and DHS (CLPS1000) against E. coli O157:H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 대하여, E. coli O*7:H7 을 1 X "CFU/ml로 함유하도록 PBS에 현탁시켜 이 용액 0.5 ml 를 경구 투여하여 공격 접종을 한 후, 대조군은 PBS만을투여하였고, 실험군은 CLP 1000, DHS, CLPS1000을 증류수에 녹이거나 현탁시켜 10% 용액을 만들어 각각 개체당 0.1 ml씩을 catheter (Zonde, 18G)를 이용하여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 coli O157:H7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25 ml 삼각 플라스크에, 30ml TSB, E. coli O157:H7 희석하여 106CFU/ml 농도로 한 배양액 0.1 ml, 그리고 CLP 1000의 최종농도가 5, 10 그리고 20%가 되도록 가하여 3TC에서 30시간동안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CLP1000의 농도는 김 등끼의실험에서 사용한 농도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 E. coli O157:H7을 접종한 마우스에 대하여 각 군별로증류수(대조군), 10% CLP 1000, 10% DHS, 그리고 10% CLPS1000을 투여하면서, 투약 1, 3, 5, 그리고 7일에 각군의 마우스로부터 분변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마우스의분변을 0.
  • 마우스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10마리씩을 임의로 선택하여 케이지에 분리하여, 1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SPF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음수, 사료, 깔짚 등은 모두 고압멸균 후 사용하였으며, 사육온도와 습도는 각각 22±1.0℃과 50±10%로 하였으며, 12시간 간격으로 조명을 조절하였으며, 환기는 자동으로조절되는 실험동물 사육장치 ((주)쓰리샤인, 대전)에서 사육하였다.
  •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 2 um syringe filter (Coming Costar, USA)로 여과한 다음, 필요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 접종시험에서는 한약재 추출물(CLP1000) 과, CLP 1000과 DHS의 합제(1:1, CLPS1000)를 각각 증류수에 용해 혹은 현탁시켜 , 마우스 각 개체 당 0.5 ml씩 투여하였다.
  • 한약재 추출은 김 등꾀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분말화한 황련, 금은화, 그리고 백작약을 일정비율(1:1:1)로 혼합한 100g 에 증류수 1, 000 ml를 가하여 열탕추출기에서 120(2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3, 000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Advantec filter paper No. 2(Japan)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200 ml로만든 후, 동결 건조하였다.
  • CLP1000의 농도는 김 등끼의실험에서 사용한 농도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배양액 시료를 채취하여 spectrophotometer (Spectronic 20 Genesis, USA)를 이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coli O157:H7을 접종한 마우스에 대하여 각 군별로증류수(대조군), 10% CLP 1000, 10% DHS, 그리고 10% CLPS1000을 투여하면서, 투약 1, 3, 5, 그리고 7일에 각군의 마우스로부터 분변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마우스의분변을 0.85% 생리식염수에 십진 희석하고, xylose lysine desoxycholate agar (XLD, Difco BRL, USA)를 사용하여 37<2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여, 분변 중의 E. coli O157:H7의 숫자를 CFU/g으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 0 X 106CFU/mlS. 하여 마우스 개체(체중평균, 18.3 ± 1.5) 당 catheter (Zonde, 18G)를 이용하여 0.5 ml씩 경구로 접종하였다.
  • 건조한 후, 세절하여 분말화하였다. 한약재 추출은 김 등꾀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분말화한 황련, 금은화, 그리고 백작약을 일정비율(1:1:1)로 혼합한 100g 에 증류수 1, 000 ml를 가하여 열탕추출기에서 120(2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3, 000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Advantec filter paper No.
  • 한천배지를 이용한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항균력 검색에서 CLP1000 시료에 대하여 dilution test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E. coli O157:H7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25 ml 삼각 플라스크에, 30ml TSB, E.

대상 데이터

  • 5주령, 평균체중 18± 1.7g의 Specific Pathogen Free (SPF) ICR 마우스 암컷 40마리를 구입하여 ((주)양성, 용인), SPF 마우스임을 확인하기 위한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특정 병원체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10마리씩을 임의로 선택하여 케이지에 분리하여, 1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 coli 0157:117 (ATCC 933) 을 국립 수의 과학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E. coli O/57:H7 blood agar (Komed, Korea)에서 배양하여 증식여부를 확인한 후, Tryptic Soy Broth (TSB, Difco BRL, USA)에 접종하여 37(2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7g의 Specific Pathogen Free (SPF) ICR 마우스 암컷 40마리를 구입하여 ((주)양성, 용인), SPF 마우스임을 확인하기 위한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특정 병원체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10마리씩을 임의로 선택하여 케이지에 분리하여, 1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SPF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음수, 사료, 깔짚 등은 모두 고압멸균 후 사용하였으며, 사육온도와 습도는 각각 22±1.
  •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E. coli 0157:117 (ATCC 933) 을 국립 수의 과학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E.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황련, 금은화, 그리고 백작약 등은경상대학교 동물생리활성자원은행 (진주)으로부터 구입하여 , 세척하여 건조한 후, 세절하여 분말화하였다. 한약재 추출은 김 등꾀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결과에 대한 통계적 처리는 Sigma plot (Systat Software Inc., USA)을 이용하여 student's t-test로 실시하였으며, p<0.05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론/모형

  • 1 ml, 그리고 CLP 1000의 최종농도가 5, 10 그리고 20%가 되도록 가하여 3TC에서 30시간동안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CLP1000의 농도는 김 등끼의실험에서 사용한 농도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배양액 시료를 채취하여 spectrophotometer (Spectronic 20 Genesis, USA)를 이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ah, M.W. and Memish, Z.A. Antibiotic resistance. An impending crisis. Saudi Med. J. 21, 1125-1129 (2000). 

  2. Prescott, J.F. Antimicrobial use in food and companion animals. Anim. Health Res. Rev. 9, 127-133 (2008). 

  3. Gould, I.M. The epidemiology of antibiotic resistance. Int. J. Antimicrob. Agents 32(Suppl. 1), S2-9 (2008). 

  4. Ruiz, J., Capitano, L., Nunez, L., Castro, D., Sierra, J.M., Hatha, M., Borrego, J.J. and Vila, J.: Mechanisms of resistance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and quinolones in multiresistant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isolated. J. Antimicrob. Chemother. 43, 699-702 (1999). 

  5. 참여연대: 축.수산 동물약품 (항생제) 실태 보고서 I, 참여연대, 서울, pp. 11-21 (2005). 

  6. Kim, G.S., Kim, D.H., Lim, J.J., Lee, J.J., Han, D.Y., Lee, W.M., Jung, W.C., Min, W.G., Won, C.G., Rhee, M.H., Lee, H.J. and Kim, S. B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natural herb Houttuynia cordata water extract against the intracellular bacterial pathogen salmonella within the RAW 264.7 macrophage. Biol. Pharm. Bull. 31, 2012-2017 (2008). 

  7. Kong, B., Wang, J. and Xiong, Y.L. Antimicrobial activity of several herb and spice extracts in culture medium and in vacuum- packaged pork. J. Food Prot. 70, 641-647 (2007). 

  8. Abo, K.A., Ogunleye, V.O. and Ashidi, J.S. Antimicrobial potential of Spondias mombin, Croton zambesicus and Zygotritonia crocea. Phytother. Res. 13, 494-497 (1999). 

  9. Chattopadhyay, D., Maiti, K., Kundu, A.P., Chakraborty, M.S., Bhdra, R., Mandal, S.C. and Mandal, A.B. Antimicrobial activity of Alstonia macrophylla: a folklore of bay islands. J. Ethnopharmacol. 77, 49-55 (2001). 

  10. Cutter, C.N. Antimicrobial effect of herb extract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l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associated with beef. J. Food Prot. 63, 601-607 (2000). 

  11. Bravo, M.V., Bunout, D., Leiva, L., de la Maza, M.P., Barrera, G., de la Maza, J. and Hirsch, S. Effect of probiotic Saccharomyces boulardii on prevention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in adult outpatients with amoxicillin treatment. Rev. Med. Chil. 136, 981-988 (2008). 

  12. Collado, M.C., Isolauri, E., Salminen, S. and Sanz, Y. The impact of probiotic on gut health. Curr. Drug Metab. 10, 68-78 (2009). 

  13. Guarner, F. and Schaafsma, G.J. Probiotics. Int. J. Food Micorbiol. 39, 237-238 (1998). 

  14. 권남훈, 김소현, 배원기, 김지연, 임지연, 노경민, 김준만, 안동삼, 허진, 박용호. Lactobacillus reuteri의 주요 식품 위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264-273 (2001). 

  15. Scazzocchio, F., D'Auria, F.D., Alessandrini, D. and Pantanella, F. Multifactorial asp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Microbiol. Res. 161, 327-333 (2006). 

  16. Mani, F., Damasceno, H.C., Novelli, E.L., Martins, E.A. and Sforcin, J.M. Propolis: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extracts and intake period on seric biochemical variables. J. Ethnopharmacol. 105, 95-98 (2006). 

  17. Mirzoeva, O.K., Grishanin, R.N. and Calder, P.C. Antimicrobial action of propolis and some of its components: the effects on growth, membrane potential and motility of bacteria. Microbiol. Res. 152, 239-246 (1997). 

  18. Son, D.H., Lee, S.I., Chung, Y.G.: Antioxidative of medicinal plants on pathogenic bacteria. J. Korean Soc. Hygiene Sci. 7, 103-108 (2001). 

  19. Kwon, H.A., Kwon, Y.J., Kwon, D.Y., Lee, J.H.: Evaluation of antibacterial effects of a combination of Coptidis Rhizoma, Mume Fructus, and Schizandrae Fructus against Salmonella. Int. J. Food Microbiol. 127, 180-183 (2008). 

  20. 배지현.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황련 추출물의 효과. 한국식품 영양학회, 18, 81-87 (2005). 

  21. Yun, Y.G., Kim, G.M., Lee, S.J., Ryu, S.H., Jang, S.I.:Inhibi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Lonicera japonica flower on LP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macrophages. Kor. J. Herbology 22, 117-125 (2007). 

  22. Park, U.Y., Chang, D.S., Cho, H.R.: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1992). 

  23. 배지현, 김미순, 강은혜.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7, 642-647 (2005). 

  24. 최원균, 김용성, 조규성, 성창근. 국내산 식물의 항균활성 검색. 한국식품 영양학회지, 15, 300-306 (2002). 

  25. Jeong, I.Y., Lee, J.S., Oh, H., Jung, U.H., Park, H.R., Jo, S.K.: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9-744 (2003). 

  26. Bang, M.H., Song, J.C., Lee, S.Y., Park, N.K., Baek, N.I.: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70-175 (1991). 

  27. Kim, J., Kim, H.S.: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Paeonia Japonica extracts in mice. Nutr. Sci. 5, 60-67 (2002). 

  28. Jeong, I.Y., Lee, J.S., Oh, H., Jung, U.H., Park, H.R., Jo, S.K.: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9-744 (2003). 

  29. Muragami, N., Saka, M., Shimada, H., Matsuda, H., Yamahara, J., Yoshikawa, M.: New bioactive monoterpene glycosides from Paeoniae radix. Chem. Pharm. Bull. 44, 1279-1281 (1996). 

  30. Madkour, A.A., Madina, E.M., El-Azouni, O.E., Amer, M.A., El-Walili, T.M. and Abbass, T. Smectite in acute diarrhea in children: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 Paediatr. Gastroenterol. Nutr. 17, 176-181 (1993). 

  31. Weese, J.S., Cote, N.M. and deGannes, R.V. Evaluation of in vitro properties of di-tri-octahedral smectite on clostridial toxins and growth. Equine Vet. J. 35, 638-641 (2003). 

  32. 김종덕. 유해세균 E. coli KCTC 1039의 성장 억제를 위한 항산화 천연산물의 조합구성. 한국생물공학회지, 17, 490-496 (2002). 

  33. 손동화, 이석일, 정영건. 한약재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7, 103-108 (2001). 

  34. Stevens, D.L. The pathogenesis of clostridial myonecrosis. Int. J. Med. Microbiol. 290, 497-502 (2000). 

  35. Sikes, A. and Ehioba, R. Feasibility of using food-grade additives to control the growth of Clostridium perfringens. Int. J. Food. Microbiol. 46, 179-185 (1999). 

  36. Labbe, R.G. and Duncan, C.L. Influence of carbohydrates on growth and sporula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Appl. Microbiol. 29, 345-351 (1975). 

  37. Yuan, C. and Johnston, L.J. Distribution of ganglioside GM1 in L-alpha-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cholesterol monolayers: a model for lipid rafts. Biophys. J. 79, 2768-2781 (2000). 

  38. Chung, I.M. and Paik, S.B. Separation and activity test of antifungal substance. Anal. Sci. Tech. 10, 153-159 (1997). 

  39. 김동걸, 이상인. 적, 백작약의 효능에 관한 연구(Paeoniflorin을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지, 1, 1-7 (1986). 

  40. Brouillard, M.Y. and Rateau, J.G. Adsorption potency of 2 clays, smectite and kaolin on bacterial enterotoxins. In vitro study in cell culture and in the intestine of newborn mice. Gastroenterol Clin. Biol. 13, 18-24 (1989). 

  41. Chang, F.Y., Lu, C.L., Chen, C.Y., Luo, J.C.: Efficacy of dioctahedral smectite in treating patients of diarrh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J. Gastroenterol. Hepatol. 22, 2266-227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