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압박의류 착용에 의한 신체변화 연구
Effect of Wearing Compression Clothing on Body Shape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2 no.2, 2010년, pp.233 - 239  

김태규 (대구예술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송민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pression clothing on the body shape of the human subjects. Thirty seven healthy females being overweighted with local adiposity on the buttocks and legs between the ages of 20's to 50's were used as the human subjects for the study. The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압박 기능성의류 착용에 대한 비만여성의 피하지방 및 기타 신체치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53세의 건강한 성인여성 37명을 대상으로 고압박 기능성 의류를 60일간 1일 8시간 이상 착용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압박의류의 착용이 여성의 체지방 및 국소적인 신체 변화에 대한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고기능성 의류의 개발을 위해 활용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 웨어에 의한 가압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특히 고신장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의 개발은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각종 의복의 스트레치 특성을 크게 변화시켰다. 최근 스포츠웨어에서는, 전신을 균질한 질감의 스트레치 소재로 감싸거나, 혹은 인체 부위별로 강약이 다른 스트레치성을 부여함으로써 운동시의 근력 증강, 생리 부담의 경감 등의 기능성을 극대화한 제품의 설계도 이루어지고 있으며(諸岡 외, 2002), 스포츠 웨어에 의한 인체 가압이, 근력, 혈류 등의 생리 반응뿐만 아니라, 사람의 자율 신경 활동 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시사되고 있다. 이러한 스포츠 웨어가 인체에 압박을 가할 때 신체의 근력, 혈류 등의 생리 반응 뿐만 아니라, 신체의 신경 활동 레벨에도 영양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田村照子, 岡本法子, 2006).
운동현장에서 압박 운동복을 착용한 후 일반 운동복을 이중으로 착용하고 운동에 참여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러한 압박기능의 의류는 소재의 신축성과 의복압의 강도에 따라 근육이나 관절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신체조성 및 체력요소도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보고(선상규 외, 2008; Agu et al., 2004)와 운동 경기력 및 운동 후의 피로회복(Duffield & Portus, 2007)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알려지게 되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어, 운동현장에서는 압박 운동복을 착용한 후 일반 운동복을 이중으로 착용하고 운동에 참여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보정성 파운데이션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다뤄지는 내용과 다뤄지지 않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최근 균형 잡힌 체형과 아름다운 라인을 요구하는 일반여성용 의류인 보정성 파운데이션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최혜선, 손부현, 1996; 이준옥, 2001)도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연구는 재질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압력정도에 따른 심박변화, 혈류량 변화 등의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류숙희, 이순원, 1991; 이종민, 2000)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압박기능이 있는 의류에 대한 장기간 착용에 의한 체지방 및 신체변화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미영, 조경동, 백옥희, 이복희. (2008) 체성분, 영양소 섭취상태 및 생화학적 지표가 민감성 피부여대생의 피부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2), 258-267. 

  2. 노현경. (2004). 인체의 균형미에 영향을 미치는 셀룰라이트의 효과적 관리방법. 한국생활과학회지, 13(2), 283-290. 

  3. 류숙희, 이순원. (1991). 시판 에어로빅복의 재료 특성에 따른 쾌적 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1), 61-69. 

  4. 백윤정, 최정화, 이경숙. (2007). 브래지어와 허리거들에 있어서 의복 압 측정부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3), 445-453. 

  5. 선상규, 정동춘, 이강구, 이호진, 기선경. (2008). 압박의류 착용이 비만여성의 혈중지질, 신체구성, 체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9(3), 39-50. 

  6. 이종민. (2000). 서늘한 환경 노출시 고탄력 팬티 스타킹 착용의 온열 생리적 변화. 한국의류학회지, 24(5), 696-701. 

  7. 이준옥. (2001). 개인별 맞춤 거들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 비만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최은영. (2005). 터모그래피(Termogtaphy) 측정을 통한 셀룰라이트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1(3), 224-230. 

  9. 최혜선, 손부현. (1996). 기능적 sports-brassiere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452-466. 

  10. Agu, O., Baker, D., & Seifalian, A. M. (2004). Effects of graduated compression stocking on limb oxygenation and venous function during exercise in patients with venous insufficiency. Vascular, 12(1), 69-76. 

  11. Berry, M. J., & M cmurray, R. G. (1987). Effects of graduated compression stockings on blood lactate following an exhaustive bout of exercise. Americam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66(3), 121-32. 

  12. Bringard, A., Denis, R., Belluye, N., & Perrey, S. (2006a). Effects of compression tights on calf muscle oxygenation and venous pooling during quiet resting in supine and standing positions. The Journal of Spo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e, 46(4), 548-554. 

  13. Bringard, A., Perrey, S., & Belluye, N. (2006b). Aerobic energy cost and sensation responses during submaximal running exercise-- positive effects of wearing compression tigh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7(5), 373-378. 

  14. Dirik, E., Aydin, A., Kuruk, S., & Sahin, B. (2001). Limb girdle muscular dystrophy type 2A presenting with cardiac arrest. Pediatric Neurology, 24(3), 235-237. 

  15. Duffield, R., & Portus, M. (2007). Comparison of three types of fullbody compression garments on throwing and repeat-sprint performance in cricket playe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1, 409-414. 

  16. Gill, N. D., Beaven, C. M., & Cook, C. (2006). Effectiveness of postmatch recovery strategies in rugby playe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0, 260-263. 

  17. Hafner, J., Hanssle, H., Kammerlander, G., & Bueg, G. (2000). Instruction of compression therapy by means of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 Dematology Surgery, 26(5), 481-487. 

  18. Jorgen S. (1995). EEMCO guidance for the assessment of dry skin (xerosis) and ichthyosis: clinical scoring systems.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1(3), 109-114. 

  19. Lambert, S. (2005). A crossover trial on the effects of graded compression garments( $SportSkins^{TM}$ ) during exercise and recovery. Proceedings of in 2005 Australian Conference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p. 222). Melbourne, Australia: Sports Medicine Australia. 

  20. Stanton, J. R., Freis, E. D., & WIlkins, R. W. (1948). The acceleration of linear flow in the deep veins of the lower extremity of man by local compression. The Joural of Clincal Investigation, 28(3), 53-58. 

  21. Zoe, D. D., & Kenneth, D. M. (1997). Cellulite; Etiology and Purported Treatment. The Journal of Dermatologic Surgery and Oncology, 23(12), 1177-1179. 

  22. 田村照子, 岡本法子. (2006). 機能的スポ一ツウェア設計のための基礎硏究 一人?加壓の生?影響一. デサントスポ一ツ科學, 27, 3-27. 

  23. 諸岡, 晴美, 中橋美幸, 諸岡英雄. (2002). 競泳用水着の壓迫に及ぼす素材物性, サイズ, デザインの影響. 富山大學敎育部硏究論集, 5, 57-62. 

  24. 坂本晶子, 篠崎彰大, 中井義勝. (2008). 步行改善衣料 スタイルサイエンス $^{\circledR}$ の長期着用による美しい?型への?化について-成人女子における檢討-. 日本人間工學會關西支部大會發表集, pp. 78-81. 

  25. (株)ワコ一ル. (2007). スタイルサイエンス 商品の長期着用實驗結果. ワコ一ル. 자료검색일 2010, 1. 23, 자료출처 http://www.wacoal.jp/news/pdf/28340_1.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