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주변 거주자의 생활권 인식변화특성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nges in Residents’ Perception of Neighborhood in the Surrounding Area after the Housing Complex Development - Focused on the cases in Gwang-Ju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1 no.2, 2010년, pp.49 - 58  

이수용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오세규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조성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residents' perception of Neighborhood in the surrounding area changes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nges due to co-residential area development in old urban area, an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chang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구문특성 중 통합성을 측정하는 전체통합도(Global Integration)과 국부통합도(Local Integration)의 값의 변화가 가로체계 영역별 주변거주자들의 생활권인식범위의 변화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 고찰하여, 주거지 내 가로공간의 위계가 달라짐에 따라 거주자의 생활권인식범위는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표 6>.
  • 본 절에서는 단지개발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게 되는 사업대상지 인접가로의 개발 전·후 통합도의 변화량 분석을 통해 주변지역과의 연계성 및 단지와 주변지역의 상호 접근과 소통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성시가지 내 공동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에 의해 주변지역 거주자의 생활권 영역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기성시가지 내 주거단지 개발계획 수립 시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근린 내 활동 변화 예측과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통합적 주거지 정비계획의 주요한 고려사항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 이에 본 절에서는 개발 전·후 거주자들의 생활권 영역인식의 특성을 비교하여 개발에 따른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생활권 영역인식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도시 개발과 확장은 도시계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신도시 개발과 확장으로 일변하던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이 기존 도시의 재생으로 전환하고 있다.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발전이 지속되기 위해 도시의 외연적 확장과 더불어 기성시가지에서의 도시공간구조의 개편과 기능의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 된 것이다.
기성시가지 내 공동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주거지 공간구조의 변화와 거주자의 생활권 인식을 고찰한 결과는? 첫째, 기성시가지 내 폐쇄적 경계를 갖는 주거단지의 개발로 인한 주거지 공간구조의 변화를 공간구문모델로 분석한 결과 사례지역의 개발 전 통합도 값이 0.5~0.7에서 형성되고, 공동주거단지의 개발 후 통합도 값 또한, 감소 혹은 낮은 상승률을 보여, 기성시가지 내 공동주거단지의 개발은 주변지역에 미치는 공간적 파급효과가 미미하고, 공간위계형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역 맥락을 고려한 기반시설(가로체계)의 정비가 공동주거단지 개발과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통합도 감소를 완화시키고 있다. 둘째, 개발 후 거주자의 생활권 인식범위는 평균적으로 증가하는 성향을 보이며, 반경 약 30~750 m 정도로 나타나 쾌적보행거리 및 보행생활권의 크기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대규모 주거단지와 거주영역이 폭원이 넓거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의해 구분되는 경우, 혹은 가로체계에 의한 접근이 불리한 경우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물리적 거리와 가로 체계에 의한 접근성은 거주자의 생활권 영역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기성시가지 내 주거단지 개발로 인한 주거지 내 가로의 통합도 변화는 거주자의 생활권인식범위에 영향을 미치며, 통합도 상승폭이 큰 가로를 중심으로 주변영역 거주자의 인식범위의 변화가 빈번하며, 인식범위의 중심도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주자들이 통합도가 높아진 가로에서 기존보다 더 많은 근린활동을 전개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발전이 지속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신도시 개발과 확장으로 일변하던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이 기존 도시의 재생으로 전환하고 있다.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발전이 지속되기 위해 도시의 외연적 확장과 더불어 기성시가지에서의 도시공간구조의 개편과 기능의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 된 것이다. 그간 정부는 도시정비를 통해 도시주택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량의 주거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mos Rapport (1977), Human Aspects of Urban Form, N. Y., Oxford Pergamon press, 109 

  2. 박원규(1983), 주거단지계획을 위한 주민의 근린주구 영역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5-26 

  3. E. Relph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PION.London, 24-25 

  4. 김종재, 신남수(1991), 도시민의 주거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5), 261 

  5. 박훈태(1999), 배치분석에 의한 도시가로의 공간구조적 특성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70-73 

  6. 조기혁.안건혁.이창무(2001), 주거지역의 토지이용변화에 가로체계가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1), 208 

  7. 최재필, 구본옥(2001), 도시가로의 물리적 배치에 따른 상업시설의 생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6), 127 

  8. 김영재.한동수(2002), 도시주거지 근린관계분석을 위한 방법론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1), 229-238 

  9. 정영환.강인호(2006),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도시확장이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5), 138 

  10. 조형규(2006),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각도가중 ERAM 모 델의 구축 및 적용,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52 

  11. 김인희.장남종(2007),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근린생활권계획 운용실태와 활성화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1 

  12. 이정형.송준환(2009), 기성시가지 도시재생에 있어 도시촉매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1), 233 

  13. 광주광역시(2006), 2010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