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도시지역 행정구역개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ew Tow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21 - 27  

이향수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전공)

초록

본 연구에서는 C시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행정구역 개편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기업도시지역에는 2개의 면단위 지역과 1개의 읍지역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 지역은 신도시라는 거대한 메가폴리스로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 아니면 그대로 분리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 이러한 질문을 가지고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연구에서는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이론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해당 신도시 지역의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조와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통합 시 통합의 목표 및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통합 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공동체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이해관계 집단의 양보와 조정이 필요하다. 여섯째, 행정구역 개편과정은 절대적으로 민주적이고 공정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ase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centered on the case of specific region C and try to clarify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The target city for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surface units and one town area. Is it right to i...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진들은 해당지역의 거주민들과의 심층 인터뷰 및 시청의 자료들을 토대로 그동안의 통합과정을 분석하고 행정구역개편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한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부분에서는 우리나라 기타 지역에서도 빈번히 일어나는 행정구역 개편 논의에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하에서는 먼저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이론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해당 신도시 지역의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 개편에 참조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또한 C시청 관련 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행정구역개편에 대한 시사점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동안 행정구역개편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온 지방자치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적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C시 지역의 신도시 지역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많은 지자체에서 향후에도 제기될 수 있는 지자체 통합이나 분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해당지역 주민들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C시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행정구역 개편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기업도시지역에는 2개의 면단위 지역과 1개의 읍지역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 본 연구에서는 C시내의 신도시 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행정구역 개편논의에 관한 사례 분석을 하고자 한다. 해당 지역의 경우 행정구역 개편논의가 약 2년여 진행이 되어왔으며, 그동안 통합에 대한 기존의 3개 읍면지역 주민들간의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 본 연구에서는 C시의 행정구역 개편사례 분석을 위해서 문헌연구, 해당지역의 거주민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그동안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문헌과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 해당 지역의 경우 행정구역 개편논의가 약 2년여 진행이 되어왔으며, 그동안 통합에 대한 기존의 3개 읍면지역 주민들간의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본 연구진들은 해당지역의 거주민들과의 심층 인터뷰 및 시청의 자료들을 토대로 그동안의 통합과정을 분석하고 행정구역개편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한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부분에서는 우리나라 기타 지역에서도 빈번히 일어나는 행정구역 개편 논의에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다소 인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행정구역과 실제 생활권과는 다소 다를 수 있다[2].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이후 읍을 시로 승격시켜 구분하는 기존의 인위적인 행정구역 개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45개 시군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기존에 분리되어 있는 지역을 통합하고자 할 때 정치적, 역학적, 문화적 차이들로 인해 통합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3].
  • 이상에서 C시의 신도시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우선 우리나라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이슈와 개편의 절차를 살펴보았다.
  • 이하에서는 먼저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이론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해당 신도시 지역의 관련 이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 개편에 참조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행정구역을 개편하는 작업은 생각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다. 이하에서는 통합이든 분리든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통합 전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통합은 생각보다 난해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정구역의 개편작업을 위한 일련의 절차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 까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행정구역 개편에 있어서의 기준을 작성하고 이를 주민들에게 공표해야 한다. 둘째, 건의서를 접수받아야 한다. 셋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7]. 이때 법정동을 신설할 것인지 혹은 통합시 통합대상 지역을 선정, 통합의사를 확인하고, 통합대상 지역별 추진일정 등을 정하게 된다. 넷째, 지방의회의 의견을 청취하고 주민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 이때는 보통 주민의견을 청취한 후 주민투표를 거치게 된다. 물론 지방의회의 협조가 잘 이뤄질 경우에는 주민투표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나 대개의 경우 주민투표를 거치게 된다. 다섯째, 추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여 다양한 세부사항 등을 조정하여야 한다[8].
행정구역 개편에 있어서의 주요 논의사항은 무엇인가? 행정구역과 주민들의 생활권이 일치되지 않았을 때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고 결국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주민생활권 역시 변화하기 쉬운데 생활권과 행정구역을 유연하게 조화시키는 것이 행정구역이 가지고 있는 커다란 논점이라고 할 수 있다[4]. 따라서 행정의 효율성을 우선시할 것인지, 혹은 주민들의 생활권역을 우선시 할 것인지가 주요 논의사항이며, 행정수요와 행정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효율성을 동시에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행정구역 개편 시 참조하여야 한다[5].
행정구역이 가지고 있는 커다란 논점은 무엇인가? 그런데 문제는 기존에 분리되어 있는 지역을 통합하고자 할 때 정치적, 역학적, 문화적 차이들로 인해 통합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3]. 행정구역과 주민들의 생활권이 일치되지 않았을 때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고 결국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주민생활권 역시 변화하기 쉬운데 생활권과 행정구역을 유연하게 조화시키는 것이 행정구역이 가지고 있는 커다란 논점이라고 할 수 있다[4]. 따라서 행정의 효율성을 우선시할 것인지, 혹은 주민들의 생활권역을 우선시 할 것인지가 주요 논의사항이며, 행정수요와 행정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효율성을 동시에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 H. Chang. (2014). A Proposal of the Social Commerce Strategy for the Public Services' Performance Improv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3), 161-176. DOI : 10.14400/JDC.2014.12.3.161 

  2. Y. O. Jeon. (2017). Analysis of Social Innovation Paradigm of Northern European Design Govern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463-470. DOI : 10.14400/JDC.2017.15.9.463 

  3. D. H. Jang. (2017).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irection and Tasks for Innovating School System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127-136. DOI : 10.14400/JDC.2017.15.12.127 

  4. S. W. Kim. (2016).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Personal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57-67. DOI : 10.14400/JDC.2016.14.8.57 

  5. S. W. Kim. (2015). Administration Process Extension and Public Data Convergence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41-49. DOI : 10.14400/JDC.2015.13.5. 41 

  6. O. S. Jang. (2014). A Study on the Quality Requirements of Administrative Data Using Statistical Purpo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43-53. DOI : 10.14400/JDC.2014.12.6.43 

  7. K. S. Noh. (2014). A Study on Utilization Strategy of Big Data for Local Administration by Analyzing Ca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89-97. DOI : 10.14400/JDC.2014.12.1.89 

  8. J. T. Lee & D. I. Kim. (2017).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 for Industrial Complex Lo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43-349. DOI : 110.152071JKCS.2017.8.12.343 

  9. S. T. Kim. (2016). An Analysis on the Regional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217-227. DOI : 10.14400/JKCS .2016.7.4.217 

  10. M. G. CHoi & K. H. Chung. (2015). The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or Improving Convergency Mobile Public Servic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275-285. DOI : 10.14400/JKCS.2015.6.5.275 

  11. Y. M. Kim. (2017). The Study on Local Government's Disaster Safety Governance using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59-65. DOI : 10.14400/JDC.2017.15.2.59 

  12. B. J. Jeon.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mmigrant by Public Land Develop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21-28 . DOI : 10.14400/JDPM.2013.11.12.21 

  13. S. J. Han. (2016).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bout the Location environment of Industrial Complex and Migration Compan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193-199. DOI : 10.14400/JDC.2016.14.11.193 

  14. J. N. Choi & S. H. Lee. (2013). Implication of policy on the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inheritance of Daeje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1), 107-115. DOI : 10.14400/JDPM.2013.11.11.107 

  15. H. S. Kim. (2013). A Policy Community Model for 'Creative Cultural Contents Tourism' Infrastructure : A Case Study on Seongnam 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1), 177-190. DOI : 10.14400/JDPM.2013.11.11.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