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저층주거지의 생활권 중심 분석
The Analysis of a Neighborhood Center in the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6, 2016년, pp.19 - 29  

구미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양우현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lifeway and social change, the neighborhood build up around elementary school based on Perry's Neighbourhood Unit becomes change. Elementary School does not function as a center of residents' activity or community any longer. Activities occurred near the school move to the community streets th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지계획에서의 근린생활 권이란 무엇인가? 생활권은 통일된 범위나 개념은 없지만 여러 보고서와 논문들에서 유사하게 정의된다. 단지계획에서의 근린생활 권은 “동질적인 공동체로서의 개념이 강조되는 사회단위”로 정의되며 “공동서비스나 사회활동을 영위하는 데 필요 한 각종 시설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적·공간적 범위”로 언급된다.2) 반면 서울시 생활권 계획에서는 “통근, 통학, 쇼핑, 여가, 친교, 업무, 공공서비스 등 시민들의 일상적인 생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범위”로 정의한다.
근린주구이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Perry)가 주창한 근린주구이론을 근간으로 계획되어 왔다. 근린주구이론은 주구 중심에 학교시설을 배치해야하며, 이를 중심으로 거주민들의 활동과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는 원리이다. 그러나 이동성의 증가와 가족 형태의 개인화, 소비 중심의 생활 방식 등 현대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이론과는 다르게 다수의 주거지에서 초등학교가 생활권의 중심 역할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근린주구이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근린주구이론은 주구 중심에 학교시설을 배치해야하며, 이를 중심으로 거주민들의 활동과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는 원리이다. 그러나 이동성의 증가와 가족 형태의 개인화, 소비 중심의 생활 방식 등 현대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이론과는 다르게 다수의 주거지에서 초등학교가 생활권의 중심 역할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생활권 인식의 확장과 주거지 내 중심적 장소 인지에 관한 연구 등을 통해 뒷받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N. Y., & Ahn, K. H. (2009). Urban cognition in new town: Focused on five communities in Bundang new tow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0(3), 75-88. 

  2. Clarence, A. P. (1966). The neighborhood unit formula, urban housing. New York: The Free Press. 

  3. Daum map (2016). Retrieved from http://map.daum.net 

  4. Do, G. H. (2015). The local adaptation of the neighborhood unit concept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5. Gallion, A. B., & Eisner, S. (1986). The urban pattern, city planning and design.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6. Kim, A. Y. (2012). A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s for neighborhood in seongnam cities: Focusing on the locatio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B. A., Ryu, J. S., & Bae, W. K. (2005). A study of changes in the size of neighborhood unit in korean new town: With special reference to Bun-dang new tow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05(11), 199-209. 

  8. Kim, C. S. (2007). Site planning. Seoul: Kimoondang. 

  9. Kwon, H. S., Paik, H. S., & Jeong, H. J. (2008).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spatial organization of neighborhood applying for the urban residential design in korea.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9(4), 39-60. 

  10. Lee, D. I., & Jang, H. D. (2013). Quantitative analysis of urban district centers and community spheres using GIS, A case study in Jeonju city: Focused on analyzing land prices and major facilities of communiti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3), 71-81. 

  11. Lee, J. A., & Koo, J. H. (2013).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on pedestrian volume: Focused on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Seoul.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4), 269-286. 

  12. Onnara property (2016). Lease deposit. Retrieved from www.onnara.go.kr 

  13. Park, S. H., Choi, Y, M., & Seo, H. L. (2006). Understanding minimum neighborhood units in historic residential districts: A preliminary study of the Bukchon community in Seou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9), 223-231. 

  14. Planning Board of Seoul (2013). The establishment standards of neighbourhood planning. Seoul: Planning Board of Seoul. 

  15. Reiner, T. A. (1962). The place of the ideal community in urban planning.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6. Research group of apartment housing (1999). History of housing in Korea. Seoul: Research group of apartment housing. 

  17. Service of a floating population in Seoul (2015). Retrieved from http://115.84.164.178/seoulmap 

  18. Shin, M. J. (2014). Variations of pedestrian activity, spatial cognition, and place experience in urban residential blocks: A case study of the Gangnam area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19. Son, J. M. (2003). The Story of urban planning in Seoul. Seoul: Hannul. 

  20. Stein, C. S. (1957). Toward new towns for America.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1. Hwang, H. D., & Kim, C. H. (2008).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planning neighborhood unit in Korean new towns. Korea Planning Association, 43(4), 49-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