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구에 대한 청소년의 패션브랜드 동조에 관한 연구 - 위험지각, 자아존중감, 성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Adolescents' Fashion Brand Conformity for Peer Groups - Focus on Perceived Risk, Self-esteem & Gender -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4 no.4, 2010년, pp.575 - 587  

전대근 (안동대학교 의류학과) ,  김세희 (부산경상대학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risk by adolescents on fashion brand conformity for peer groups. Perceived risk, self-esteem, and gender were adopted as variables in order to analyze conformable fashion brand behavior with peer group consideration. A quantitative survey used 672 q...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강석기. (2003). 청소년의 태도가 자아존중감 및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청소년학연구, 10(3), 155-180. 

  2.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667-681. 

  3. 권재욱. (1993) 소비자 행동에서의 동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희, 정성지. (2000). 중, 고등학생들의 의복동조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서울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3), 401-411. 

  5. 김나연. (2000). 청소년 소비자킥 동조정 상표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숙경. (1998). 청년기 수입의류 상표선호도와 구매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순구, 박정순. (1990). 자아존중과 의복행동 간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 63-71. 

  8. 김순구, 윤학자. (1986).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고교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0(1), 1-8. 

  9. 김찬주.(1991). 의복 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에 관한 연구 (제1보)-위험의 유형분류, 소비자 인구변인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4), 405-416 

  10. 김한나, 이은영. (2005). 신규 패션브랜드 평가속성에 대한 소비자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727-736. 

  11. 박혜선. (1991). 의복동조에 관한 연구-의복동조의 유형, 관련변인 및 준거집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박혜정, 정소진. (2008). 인터넷 패션쇼핑몰의 점포충성 결정요인: 자기이미지, 위험지각, 동조. 복식문화연구, 16(6), 979-991. 

  13. 신효정, 임숙자. (1997). 여대생 집단과 유행전문가 집단의 의복동조성에 대한 연구.자아개념변인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5(3), 47-56. 

  14. 이송자, 곽인숙, 이수정. (2004). 남, 녀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467-474. 

  15.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16. 임원선. (2008). 청소년 유해환경과 또래의 집단 내 압력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7), 227-241. 

  17. 장남경, 고은주. (2004).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구매평가기준, 정보원에 대한 연구. 복식, 54(7), 15-26. 

  18. 전대근. (2008). 의복 구매시 청소년의 지각된 위험이 패션브랜드 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10), 71-81. 

  19. 전대근, 이은영. (2006). 준거집단이 청소년의 패션브랜드 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9/10), 1434-1444. 

  20. 지혜경. (2008). 인터넷 의류 구매시 소비자의 위험지각과 반품과의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6), 917-925. 

  21. 최진희. (1999). 또래 거명에 의한 인기아와 비인기아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성향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한상철. (1998). 청소년 심리, 청소년기의 위험행동-교우관계 및 가족역할 변화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5(3), 45-62. 

  23. Bearden, W. O., & Etzel, M. J. (1982). Reference group influence on product and brand purchase deci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83-194. 

  24. Bettman, J. R. (1973). Perceived risk and its components: A model & empirical tes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2), 184-190. 

  25. Burns, R. B. (1979). The self-concept: In theory, measurement,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York: Longman Inc. 

  26. Cocanougher, A. B., & Bruce, G D. (1971). Socially distant reference groups and consumer aspir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8(3), 379-381. 

  27. Coopersmith, S. (1981). Self-esteem inventorie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8. Cox, D. F. (1967).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ur.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29. Cox, D. F., & Rich, S. U. (1964). Perceived risk and consumer decision making: The case of telephone shopp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4),32-39. 

  30. Davis, L. L., & Miller, F. G (1983), Confonnity & judgements of fashionability.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11(4), 337-342. 

  31. Kelly, H. H. (1966). Two functions of reference groups. In H. Proshansky & B. Seidenberg (Eds.), Basic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pp. 210-214).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32. Merton, R. K. (1957). Role set: Problems in sociological theor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8(2), 106-120. 

  33. Park, C. w., & Lessig, V. P. (1977). Students and housewives: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reference group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02-110. 

  34. Peter, J. P., & Ryan, M. J. (1976).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risk at the brand leve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3(2), 184-188. 

  3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37. Witt, R. E. (1969). Informal social group influence on consumer brand choi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6(4), 473- 4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