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8 no.2, 2010년, pp.101 - 110  

허익강 (충남대학교 의학과 예방의학교실)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과 예방의학교실) ,  동진근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홍송희 (충남대학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과보철물 상태를 역학적으로 조사하고 이러한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노인들의 치과보철물과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전광역시 소재 7개 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표본 275명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구강건강인식 및 삶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와 치아 및 치과보철물 상태에 대한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삶의 질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1.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부부가 함께 사는 가족형태에서GOHAI는 높게 나타났다. 2. 가철성 의치를 처음 사용한 평균연령은 62.11세였고 의치의 평균사용수명은 10.76년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57.5%가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총의치 사용자는 전체의 13.8%이었다. 3.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한 경우나 총의치에서 편악 보다는 상 하악을 함께 총의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저작 불편감과 발음문제를 적게 느끼며 저작능력지수와GOHAI는 높게 나타났다. 4. 의치 만족도가 높고, 항상 의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의치의 필요성이 없고 의치적합도가 양호한 경우에 GOHAI는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저작이 가능한 기능 치아를 구강 내에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자연치아의 상실이 많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과보철물을 통하여 치아를 수복하여 줌으로 정상적인 저작기능을 회복하여 주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prostheses status, and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using social welfare centers. Material and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GOHAI가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과 상대적으로 적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순한 측정도구이므로 노인에게 적합한 점을 착안하여 GOHAI를 사용하였고,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과보철물 상태를 역학적으로 조사하고 이러한 객관적인 치과보철물 상태가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상태 및 치과보철물 상태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 소재 7개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표본 275명을 조사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GOHAI(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로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노인의 삶의 질은 가족과 친구들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나 개인 삶의 가치관을 높여주는 종교생활 그리고 경제수준 등의 여러 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건강 문제이다.2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있어서 구강건강은 전신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고 기본적인 일상생활의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론은 무엇인가? 1.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부부가 함께 사는 가족형태에서 GOHAI는 높게 나타났다 (P< .05). 2. 가철성 의치를 처음 사용한 평균연령은 62.11세였고 의치의 평균사용수명은 10.76년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57.5%가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 총의치 사용자는 전체의 13.8%이었다. 3.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한 경우나 총의치에서 편악 보다는 상.하악을 함께 총의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저작불편감과 발음문제를 적게 느끼며 저작능력지수와GOHAI는 높게 나타났다 (P< .05). 4. 의치만족도가 높고, 항상 의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의치의 필요성이 없고 의치적합도가 양호한 경우에 GOHAI는 높게 나타났다 (P< .05).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강위생관리와 예방적 치료를 통하여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연치아가 상실된 경우에는 적절한 보철물을 이용하여 결손된 부위를 회복시켜 줌으로 저작능력과 행복감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며 그 결과로 노인들의 삶의 질은 보다 향상될 것이다.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있어서 구강건강이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의 삶의 질은 가족과 친구들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나 개인 삶의 가치관을 높여주는 종교생활 그리고 경제수준 등의 여러 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건강 문제이다.2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있어서 구강건강은 전신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고 기본적인 일상생활의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노인에게 흔히 볼 수 있는 결손치의 증가나 만성 치주질환 같은 구강건강의 악화는 저작의 감소와 영양섭취의 저하로 이어져 전신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3,4 이로 인해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HK, Lee YK.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ealth status in the long-lived elderly of Kyungpook area. Yeungnam Univ J Med 1999;16:200-7. 

  2. Larson R.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J Gerontol 1978;33:109-25. 

  3. Richmond S, Chestnutt I, Brown B.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oral and gener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7;35:89-97. 

  4. Locker D, Matear D, Lawrence H. General health status and changes in chewing ability in older Canadians over seven years. J Public Health Dent 2002;62:70-7. 

  5. Naito M, Yuasa H, Nomura Y, Nakayama T, Hamajima N, Hanada 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J Oral Sci 2006;48:1-7. 

  6. Allen PF. Assessment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3;1:40. Available at: http//www.hqlo.com/content/ 1/1/40. 

  7. Atchison KA, Dolan TA.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c 1990;54:680-7. 

  8.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994;11:3-11. 

  9. Locker D.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 Health 1988;5:3-18. 

  10. Kim SH, Lim SA, Park SJ, Kim DK. Assessme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4;28:559-69. 

  11. Lee MS, Kim SH, Yang JS, Oh JS, Kim D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elderly Korean 65+.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29:210-21. 

  12. Bae KH.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grams in Korean Elders. MD Thesis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13. Jang M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ung elderly Koreans. MD Thesis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4. Wong MCM, Liu JKS, Lo ECM.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Chinese version of GOHAI. J Public Health Dent 2002;62:78-83. 

  15. Turbert-Jeannin S, Riordan PJ, Morel-Papernot A, Porcheray S, Saby-Collet S. Validation of a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dex (GOHAI) in Franc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31:275-84. 

  16. H¨agglin C, Berggren U, Lundgren J. A Swedish version of the GOHAI index. Psychometric properties and validation Swed Dent J 2005;29:113-24. 

  17. Othman WNW, Muttalib KA, Bakri R, Doss JG, Jaafar N, Salleh NC, Chen S. Validat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the Malay language. J Public Health Dent 2006;66:199-204. 

  18. Naito M, Suzukano Y, Nakayama T, Hamajima N, Fukuhara S. Linguistic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an elderly Japanese population. J Public Health Dent 2006;66:273-5. 

  19. Hirai T, Ishijima T, Koshino H, Anzai T. Age-related change of masticatory function in complete denture wearers : evaluation by a sieving method with peanuts and a food intake questionnaire method. Int J Prosthodont 1994;7:454-60. 

  20. Locker D, Matear D, Stephens M, Lawrence H, Payne B. Comparison of the GOHAI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1;29:373-81.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22. Wong MCM, McMillan AS. Tooth loss, denture wearing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Chinese people. Community Dent Health 2005;22:156-61. 

  23. Locker D, Clarke M, Payne B.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n older adult population. J Dent Res 2000;79:970-5. 

  24. Chen MS, Hunter P.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New Zealand : a social perspective. Soc Sci Med 1996;43;1213-22. 

  25. Lee GR. The impact of DMFT index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ederl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8;32:396-404. 

  26. Kim YN, Kwon HK, Chung WG, Cho YS, Choi YH.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29:250-60. 

  27. Heydecke G, Tedesco LA, Kowalski C, Inglehart MR. Complete denture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do coping styles matter?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297-306. 

  28. McGrath C, Bed: R. Can dentur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considerable tooth loss? J Dent 2001;29:243-6. 

  29. Forgie AH, Scott BJJ, Davis DM. A study to compare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having replacement completed dentures in England and Scotland. Gerodontology 2005;22:137-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