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골격성 II 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골 전진술 후 연조직 변화 분석
Soft tissue changes in skeletal class II patients treated with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advancement surgery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6 no.2, 2010년, pp.94 - 99  

신희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진욱 (가톨릭대학교 임상치과학대학원) ,  박재억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ft tissue changes in skeletal class II patients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by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In Asian population, the incidence of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s lower than tha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따른 연조직 변화는 서양인에서는 적지 않게 보고되고 있지만1,2,4,6-8, 동양인의 경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상행지 시상분절술을 이용한 하악 전진술 전, 후의 하순 및 이부의 경조직 및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량과 하순 길이의 수직적 변화량을 계측하여 악교정 수술에 따른 안정성과 예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교정 술식들의 목적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이러한 악교정 술식들의 목적 중 심미성의 회복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술후 만족할만한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를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치료 계획의 수립 시 경조직 계측뿐만 아니라 연조직 계측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악교정 수술의 효능은? 악교정 수술은 골격성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들의 안모를 극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들이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안모를 가질 수 있도록 해왔다. 여러 가지 악교정 술식들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으며, 그 중 하악 상행지 시상 분절술은 악골의 전진과 후퇴에 모두 적용 가능하여 구강악안면외과의들은 표준적인 술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1.
앵글씨 부정교합 분류 중 골격성 2급 부정교합에 대한 국내 연구 현황은? 앵글씨 부정교합 분류 중에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은 상악에 대하여 하악이 원심에 위치한 상태로 이의 개선을 위하여 보통 하악의 전진을 요하며, 이 때 하악상행지 시상분절술과 이부성형술을 빈번하게 선택한다2-3.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따른 연조직 변화는 서양인에서는 적지 않게 보고되고 있지만1,2,4,6-8, 동양인의 경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상행지 시상분절술을 이용한 하악 전진술 전, 후의 하순 및 이부의 경조직 및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량과 하순 길이의 수직적 변화량을 계측하여 악교정 수술에 따른 안정성과 예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Ewing M, Ross BR. Soft tissue response to mandibular advancement and genioplas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2; 101:550-5. 

  2. Thuer U, Ingervall B, Vuillemin T Stability and effect on the soft tissue profile of mandibular advancement with sagittal split osteotomy and rigid internal fixation.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4;9(3):175-85. 

  3. Blomqvist JE, Ahlborg G, Isaksson S, Svartz K. A comparison of skeletal stability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and use of two rigid internal fixation techniques. J Oral Maxillofac Surg 1997; 55:568-74. 

  4. Quast DC, Biggerstaff RH, Haley JV. The short-term and longterm soft-tissue profile changes accompanying mandibular advancement surgery. Am J Orthod 1983;84:29-36. 

  5. van Sickels JE , Larsen AJ , Thrash WJ. A retrospective study of relapse in rigidly fixated sagittal split osteotomies: contributing factor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3:413-8. 

  6. Mommaerts MY, Marxer H. A cephalometric analysis of the long-term, soft tissue profile changes which accompany the advancement of the mandible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ies. J Craniomaxillofac Surg 1987;15:127-31. 

  7. Joss CU, Thu ¨er UW. Stability of the hard and soft tissue profile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in sagittal split osteotomies: a longitudinal and long-term follow-up study. Eur J Orthod 2008; 30:16-23. 

  8. Mobarak KA, Espeland L, Krogstad O, Lyberg T. Soft tissue profile changes following mandibular advancement surgery: predictability and long-term outcom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19:353-67. 

  9. Veltkamp T, Buschang PH, English JD, Bates J, Schow SR. Predicting lower lip and chin response to mandibular advancement and genioplas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 122:627-34. 

  10. Talbott JP. Soft tissue response to mandibular advancement surgery [dissertation]. 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1975. 

  11. Dermaut LR, de Smit AA. Effects of sagittal split advancement osteotomy on facial profiles. Eur J Orthod 1989;11:366-74. 

  12. McDonnel JP, McNeill RW, West RA. Advancement genioplasty: a retrospective cephalometric analysis of osseous and soft tissue changes. J Oral Surg 1977;35:640-7. 

  13. Joss CU, Vassalli IM, Th¨uer UW. Stability of soft tissue profile after mandibular setback in sagittal split osteotomies: a longitudinal and long-term follow-up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2008; 66:16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