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Strategies and measures for capacity building in rural development project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7 no.3, 2010년, pp.385 - 418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권인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way to help participants build capacity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some case studies and Q-methodology. Decentralization and diffusion of bottom-up approach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re the main contextual factors in this study. With the ethos of botto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의 역량 강화 관련 사업비 총액은 얼마인가? 하지만 그런 노력이 얼마나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불분명하다는 비판과 함께, ‘역량 강화 활동에 대한 과잉 지원’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2009년 한 해 동안 신활력사업을 시행한 70개 시⋅군에서 투입된 2009년의 역량 강화 관련 사업비 총액은 198억 원에 달한다. 이처럼 막대한 재정을 투입했으나 그 성과를 측정하기는 쉽지 않다.
2010년부터 정부가 과거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개발 계정 자금을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한 방식은? 2010년부터는 정부가 과거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이하 ‘균특회계’) 지역개발계정 자금을 포괄보조금 방식으로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훈련, 컨설팅, 학습조직 육성, 토론회 등의 활동을 개별 정책사업의 세부사업으로 편성하여 실행했던 종래의 역량 강화 활동은, 과거 수준만큼 제도적으로 보장되지 않을 것 같다.
농촌개발 정책의 접근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지방자치제를 실시한지 16년이 지나는 동안 농촌개발 정책의 접근방법이 크게 바뀌었다.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는 ‘지역 접근방법(territorial approach)’과 발전전략이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평가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주도적 참여를 강조하는 ‘상향식 접근 방법(bottom-up approach)’이 강조되었다. 그런데 이 같은 패러다임 변화가 시작된 몇 해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제기되는 중요한 문제가 하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정호, 박문호, & 김태연. (2004).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김태곤, 정기환, & 송미령. (2006).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일간 비교연구(2/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송미령. (2008).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새로운 도전과 구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송미령, 박주영, & 김정섭. (2007).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2/2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송미령, & 성주인. (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 정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정기환, 심재만, & 최경은. (2006).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발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Brennam, M. A. (2003). IFAS Community development: Toward a consistent definition of community development. Florida: Department of Family, Youth and Community Sciences,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Florida. 

  8. Chaskin, R. J. (1999). Defining community capacity: A framework and implications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Chicago: The Chapin Hall Center for Children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9. Garkovich, L. E. (1989). Local organizations and Leadership in Community Development. In J. A. Christenson, & J. W. Robinson, Jr(Eds.). Community Development in Perspective, 196-218. Ames: Iwoa State University Press. 

  10. LEADER European Observatory. (1997). Support systems for new activities in rural areas. EU Commission. DG for Agriculture. Brussel 

  11. Luloff, A. E., & Bridger, J. (2003). Community agency and local development. In Brown, D., & Swanson, L(Eds.). Challenges for rural America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3-213. Pennsylvani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2. Luloff, A. E., & Swanson, L. (1995). Community agency and disaffection: Enhancing collective resources. In Beaulieu, L., & Mulkey, D(Eds.). Investing in people: The human capital needs of rural America. Colorado: Westview Press. 

  13. Ryan, V.D. (1987).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development to rural economic development initiatives. In Rur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80's: Preparing for the Future. Agriculture and Rural Economy Division, ERS Staff Report No. AGE870724.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USDA. 

  14. Shaffer, R., & Summers, G. (1989).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In J. A. Christenson, & J. W. Robinson, Jr.(Eds.). Community Development in Perspective, 173-195. Ames: Iwoa State University Press. 

  15. Summers, G. (1986). Rural community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Sociology, 12, 161-174. 

  16. UNCED. (1992). Capacity Building. UNDP Briefing Paper No.37. 

  17. Wilkinson, K. (1991). The community in rural America. New York: Greenwood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