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강화 -자립형 농촌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Learning Phase and Capacity Building in th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Independent Rural Community Creation Project -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4 no.1, 2017년, pp.49 - 61  

김경희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  오대민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  정충섭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is a project to design to develop rural areas and to enhance the situation of rur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is the key to promoting efficiency for communit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의 지역사회개발의 역할? 농촌의 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은 주민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지역 주민들로 하여금 일자리와 소득, 기반시설을 창출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가 근본적으로 변화를 더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공동체의 경제적인 상황을 개선시키며 공동체 자체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Cavaye, 2006; Checkoway, 2011). Cavaye(2006)은 지역사회개발이 지역사회에 물리적, 재정적, 인적, 사회적, 환경적 자산을 구축 하도록 해준다고 하였으며,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사람들은 문제를 다시 생각하고 접촉과 네트워크 확대, 새로운 기술 습득, 인적 자본 구축, 새로운 경제적 선택, 물리적⋅재정적 자본 구축 등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게 되며, 환경을 개선시킨다고 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민참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Stevens, Bur, & Young(2003)은 주민참여의 기능으로 개인적 성장과 고용을 돕고, 효과적인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증대, 정치적/공공영역 의사결정에의 참여 등을 제시하였다. 주민참여는 포괄적인 지역사회 계획의 성공 요소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농촌개발에서 주민 참여를 촉진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주민참여에 대한 지표를 개발하고 그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Morrissey, 2000).
생산 작목에 대한 전문가 교육과 컨설팅의 보완점은? 생산 작목에 대한 전문가 교육과 컨설팅은 주민들에게 생산기반 강화를 위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부 마을에서는 주민들이 소득과 연계된 부분의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고 하여, 생산기술 뿐만 아니라 유통, 가공 등에 대한 컨설팅과 실행방안에 대한 방향제시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생산 작목 컨설팅과 함께 주민 회의를 통해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권지윤, 김은수, & 배성의. (2015). 농촌마을 유형별 주민역량교육에 관한 연구: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2(1), 1-14. 

  2. 김두순. (2016). 농촌 마을 역량의 축적. 농촌지도와 개발, 23(4), 431-439. 

  3. 김정섭(2013).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집합적 학습: 조력집단에 대한 성찰. 농촌지도와 개발, 20(3), 603-642. 

  4. 농림축산식품부. (2014).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핸드북.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5. 농정연구센터. (2002). 상향식 농촌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농림부 용역보고서. 

  6. 농촌진흥청. (2016). 자립형 농촌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7. 심상우. (1995). 지방화시대의 농촌지도사업 활성화 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2(2), 95-108. 

  8. 여관현. (2015). 주민학습과 실천을 통한 마을만들기의 지속가능성 연구: 성북구의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3), 29-51. 

  9. 윤원근. (2013). 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 구축에 관한 시론. 농촌지도와 개발, 20(4), 871-907. 

  10. 이종만. (2005). 농촌사회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3), 65-75. 

  11. 정지웅. (1997). 농촌지도, 농촌사회교육과 지역사회개발. 농촌지도와 개발, 4(2), 385-392. 

  12. 정하용. (2007). 지방자치시대의 지역사회개발과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3), 1-29. 

  13. 최희신, & 이영환. (2015). 공정여행 관련 홈스테이 사업의 지역사회개발효과. 비판사회정책, 49, 433-473. 

  14. 한봉석. (2008). 1950년대 말 농촌지도의 한 사례. 역사문제연구, 19, 85-137 

  15. 허은. (2004). 1950년대 후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미국의 한국 농촌사회 개편 구상. 한국사학보, 17, 275-312. 

  16. 허훈, & 하궁수. (2008). 지역사회개발의 이론적 모형과 한국적 적실성에 의한 농촌지역개발방안. 한국정책연구, 8(2), 41-62. 

  17. Aimers, J., & Walker, P. (2016). Can community development practice survive neoliberalism in Aotearoa New Zealand?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51(3), 332-349 

  18. Aspen Institute. (1996). Measuring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 workbook-in progress for rural communities, community capacity building learning cluster, The Aspen Institute Rural Economy Policy Program, Washington, D.C. 

  19. Cavaye, J. (2006). Understanding community development. Cavaye Community Development. 

  20. Chapman, J. A. (2002). A framework for transformation change in organization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23 (1), 16-25. 

  21. Checkoway, B. (2011). Community development, social diversity, and the new metropolis.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6(52), ii5-ii14. 

  22. Christenson, J. A., & Robinson, J. W. (1989). Community development in perspectiv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23. Gannon, A., 1998. Mastering change: A new paradigm in building positive futures for rural communities. In Proceedings from the Positive Rural Futures 1998 Conference, Biloela. 

  24. Flora, C. B. & Flora, J. L. (1993). Entrepreneurial social infrastructure: A necessary ingredient.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539, 48-58. 

  25. Goodfellow-Baikie, R. L., & English, L. M. (2006). First nations and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A case study.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1(2), 223-233. 

  26. James, R. (1998). Demystifying organisational development: Practical capacity building experiences of African NGOs, INTRAC, Oxford 

  27. Lohoar, S., Price-Robertson, R., & Nair, L. (2013). Applying community capacity-building approaches to child welfare practice and policy.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28. Luther, V., & Wall, M. (1989). The Entrepreneurial Community: A Strategic Leadership Approach to Community Survival. Heartland Centre for Leadership Development, Lincoln. 

  29. McGinty, S. (2002).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ustrali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Education Conference, Brisbane. 

  30. Morrissey, J. (2000). Indicators of civizen participation: Lessons from learning teams in rural EZ/EC communities.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5(1), 59-74. 

  31. Munoz, S.-A., Steiner, A., & Farmer, J.(2014). Processes of community-led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Learning from the rural context.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50(3), 478-493. 

  32. Murray, M. & Dunn, L. (1995). Capacity building for rural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ural Studies, 11(1), 89-97. 

  33. Neumann, J. E., Kellner, K. and Dawson-Shepherd, A. (1997). Developing organisational consultancy, London: Routledge. 

  34. Newlands, C. A (1981). Local government capacity build-ing. Urban Affairs Papers 3. 

  35. Nuttavuthisit, K., Jindahra, P., & Prasarnphanich, P. (2014). Participatory community development: evidence from Thailand.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50(1), 55-70. 

  36. Shaffer, R. E. (1989). Community economics. Economic structure and change in smaller communities. Ames, Iow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7. Simpson, L., Wood, L., & Daws, L. (2003). Community capacity building: Starting with people not projects.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8(4), 277-286. 

  38. Stevens, A., Bur, A.-M., & Young, L. (2003). People, jobs, rights and power: The roles of participation in combating social exclusion in Europe,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8(2), 84-95. 

  39. Tamas, A., Whitehorse, Y., & Almonte, O. (2000). System theory in community development. Whitehorse, Yukon and Almonte, Ontario. 

  40. Weiss, H. B. (1998). Learning organizations. Harvard Family Research Project, 4, November. 

  41. Yang, Y. (2016). Community participation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Revisiting South Korean rural modernization of the 1970s.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i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