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사회심리적 요인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9 no.4, 2010년, pp.465 - 471  

김인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배규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실) ,  권순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실) ,  송재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have been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 covered by worker's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for several years in Korea. Korean government has strengthened related regulations since 2003. People looked forward to decreasing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5가지 요인은 작업조직의 측면에서 볼 때 개인의 작업과 관련한 맥락과 조직적 맥락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auter 등(2002)이 제안한 사회심리적 환경에 대한 틀(그림 1)에 따라서 작업 맥락, 작업조직 맥락으로 나누고 그 중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작업 맥락 내의 업무 특성을 직무 스트레스로 정리하여 별도로 기술하고자 한다.
  • 그러나 근골격계질환과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중요성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Bonger 등, 2006). 따라서 저자들은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을 위해 관련된 사회 심리적 위험요인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근골격계질환에 기여하는 경로를 소개하고, 이 과정을 통해 포괄적인 접근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Bonger 등(2006)은 개인에 대한 것뿐만이 아니라 작업 조직에 대한 중재의 효과에 대한 종설을 발표하였다. 이 종설에서는 1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중재의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에 따르면 작업조직에 대한 1차적 중재로는 직무 순환이나 직무 강화, 작업-휴식 일정, 경영 참여가 근골격계질환의 증상의 발현과 발생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중재가 개인적 이완요법, 인 지요법 등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특성, 직업적 특성, 인간공학적 특성,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이중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유발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을 받아온 것은 작업자세, 작업방법, 반복성과 유해한 위험요인에 노출된 시간으로 대표되는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이다(강동묵, 2005).
노동부, 2004에 따르면,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인간공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그러나 여전히 유해요인조사와 예방관리프로그램에서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인간공학적인 접근이다. 인간공학적 특성은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평가하기 위한 고시에도 구체적으로 포함된 내용으로 작업방법, 반복성, 부자연스런 자세, 과도한 힘, 접촉스트레스, 진동 등을 포함한다(노동부, 2004). 그러나 상대적으로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평가는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발표한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보고서에서 사회심리적 요인은 무엇인가?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은 1997년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 하였는데 여기에는 부적절한 자세, 반복성, 과도한 힘, 접촉 스트레스, 진동과 같은 인간공학적 요인 이외에도 사회심리적 요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언급된 사회심리적 요인은 크게 직무 만족도, 노동강도 강화, 단조로운 작업, 직무 재량, 사회적 지지 등 다섯 가지이다. NIOSH에서는 이러한 사회심리적 요인이 허리, 목, 어깨 부위의 통증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NIOSH,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동묵, 근육골격계질환, 1st ed., (pp. 146-147), 2005. 

  2. 김종훈, 박민용. Macroergonomics와 21세기의 Work System,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9-22), 1999. 

  3. 노동부,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범위 고시, 2003-24호, 2004. 

  4. 노동부, 2005년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06a. 

  5. 노동부, 성명 자료실, 작년 산재 사망자 크게 줄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23&oid178&aid0000000056, 2006b. 

  6. 노동부, 2007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08. 

  7. 노동부, 2009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10. 

  8. 이윤근, 박희석, 심리사회적 요인과 근골격계질환 증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2(4), 15-25, 2003. 

  9. 이철갑, 박종, 박정식, 손석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2), 104-115, 2005. 

  10.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2006 산재통계와 노동자 건강, 일터, 2007. 5., http://www.kilsh.or.kr, 2007. 

  1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 2008. 

  12. 한상환, 조수헌, 김지영, 성낙정, 전자제품 조립업체 근로자에서 직무 요구, 직무조직, 경력개발, 역할 압력, 경제적 압력 등의 직무 스트레스가 업무관련 상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5(3), 269-280, 2003. 

  13. Bernard, B. P.,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NIOSH publication No. 97-141), Cincinnati, OH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7(1)-7(10), 1997. 

  14. Bongers, P. M., de Winter, C. R., Kompier, M. A. and Hildebrandt, V. H.,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 19(5), 297-312, 1993. 

  15. Bongers, P. M., Kremer, A. M. and ter Laak, J., Are Psychosocial factors, risk factors for symptoms and signs of the shoulder, elbow, or hand/wrist?: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1(5), 315-342, 2002. 

  16. Bongers, P. M., Ijmker, S, van den Heuvel, S. and Blatter, B. M., Epidemiology of work related neck and upper limb problems: psychosocial and personal risk factors (part I)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rom a bio behavioral perspective (part II),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6(3), 279-302, 2006. 

  17. da Costa, B. R. and Vieira, E. R.,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longitudinal studi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3(3), 285-323, 2010. 

  18. Ergonomics in Wikipedia, available: http://en.wikipedia.org/wiki/Ergonomics, 2010. 

  19. Feuerstein, M., Work style: Definition, Empiric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Occupational Upper Extremity Disorders. In SD Moon, SL Sauter(eds), Beyond Biomechanics and Psychosocial Aspect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Taylor & Francis, (pp. 177-206), Bristol. PA. 1996. 

  20. Feuerstein, M., Shaw, W. S., Nicholas, R. A. and Huang, G. D., From confounders to suspected risk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and work-related upper extremity disorder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4(1), 171-178, 2004. 

  21. Fredriksson, K., Alfredsson, L., Ahlberg, G., Josephson, M., Kilbom, A., Wigaeus Hjelm, E., Wiktorin, C. and Vingard, E., MUSIC/Norrtalje Study Group, Musculoskeletal Intervention Centre, Work environment and neck and shoulder pain: the influence of exposure ti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9(3), 182-188, 2002. 

  22. Fucini, J. and Fucini, S., Working for the Japanese: Inside Mazda's, American auto plant, Free Press, New York. NY. 1990. 

  23. Graham L., On the line at Subaru-Isuzu, The Japanese model and the American worker, 1995. 

  24. Hales, T. R., Sauter, S. L., Peterson, M. R., Fine, L. J., Putz-Anderson, V., Schleifer, L. R., Ochs, T. T. and Bernard B. P.,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Ergonomics, 37(10), 1603-1621, 1994. 

  25. Himmelstein, J. S., Feuerstein, M., Stanek, E. J., Koyamatsu, K., Pransky, G. S., Morgan, W. and Anderson, K. O., Work-related upper-extremity disorders and work disability: clinical and psychosocial presen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37(11), 1278-1286, 1995. 

  26. Hopkins, A., Stress, the quality of work, and repetitive strain injury in Australia, Work and Stress, 4(2), 129-138, 1990. 

  27. Houtman, I. L, Bongers, P. M., Smulders, P. G. and Kompier, M. A., Psychosocial stress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problem,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 20(2), 139-145, 1994. 

  28. Huang, G. D., Feuerstein, M., Kop, W. J. et al., Individual and combined impacts of biomechanical and work organization factors 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3(5), 495-506, 2003. 

  29. Knardahl, 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t work: contribution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disabilities, Giornale Italiano di Medicina del Lavoro ed Ergonomia, 27(1), 65-73, 2005. 

  30. Lansbergis, P. A., The changing organization of work and the safety and health of working people: A commentar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5(1), 61-72, 2003. 

  31. Lindstrom, K., Psychosocial criteria for good work organiz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 20, 123-133, 1994. 

  32. Linton, S. J., Risk factors for neck and back pain in a working population in Sweden, Work and Stress, 4(1), 41-49, 1990. 

  33. Moore, J. S. and Garg, A., Use of participatory ergonomics teams to address musculoskeletal hazards in the red meat packing industry,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9(4), 402-408, 1996. 

  34. Punnett, L., Cherniack, M., Henning, R., Morse, T. and Faghri, P., CPH-NEW Research Team,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grating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occupational ergonomics programs, Public Health Reports, 124(Supplement 1), 16-25, 2009. 

  35. Sauter, S. L. and Swanson, N. G., An ecological model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work, In SD Moon, SL Sauter(des), Beyond Biomechanics: Psychosocial Aspect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in Office Work, Taylor & Francis, (pp. 3-12), Bristol. PA. 1996. 

  36. Sauter, S. L., et al., The changing organization of work and the safety and health or working people, NIOSH, Report No. 2002-2116, 2002. 

  37. Smith, C. K., Silverstein, BA., Fan, ZJ., Bao, S. and Johnson, P. W., Psychosocial factors and shoulder symptom development among worke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2(1), 57-68, 2009. 

  38. Street, S. L., Kramer, J. E., Harburn, K. L., Hansen, R. and MacDermid, J. C., Changes in postural risk and general health associated with a participatory ergonomics education program used by heavy video display terminal users: a pilot study, Journal of Hand Therapy, 16(1), 29-35, 2003. 

  39. Svensson, H. O. and Andersson, G. B., Low-back pain in 40- to 47-year-old men: work history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Spine (Phila Pa 1976), 8(3), 272-276, 1983. 

  40. Theorell, T., Harms-Ringdahl, K., Ahlberg-Hulten, G. and Westin, B., Psychosocial job factors and symptoms from the loco motor system-a multicausal analysis,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3), 165-173, 1991. 

  41. Tola, S., Riihimaki, H., Videman, T., et al., Neck and shoulder symptoms among men in machine operating, dynamic physical work and sedentary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 14(2), 299-305, 1988. 

  42. Trinkoff, A. M., Le, R., Geiger-Brown, J., Lipscomb, J. and Lang G.,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work hours, mandatory overtime, and on-call to musculoskeletal problems in nurs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9(11), 964-971, 2006. 

  43. Viikari-Juntura, E., Vuori, J., Silverstein, B. A., Kalimo, R., Kuosma E. and Videman, T., A life-long prospective study on the role of psychosocial factors in neck-shoulder and low-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6(9), 1056-1061,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