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산화, 항혈전 및 항세균 활성의 안정화에 미치는 알칼리 이온수의 영향
Effect of Alkaline Ionized Water on Stabilization of Antioxidation, Antithrombosis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7 = no.123, 2010년, pp.1107 - 1112  

안선미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미아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무인 (부천시청 정수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kaline ionized water (AIW)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리활성물질의 AIW에서의 활성유지 및 AIW의 항균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물은 AIW (pH 9.5, ORP 120 mV), 정수기를 통과한 정수(PW: pH 7.2, ORP 144 mV) 및 상수용수(DW: pH 7.3, ORP 564 mV)로, 각각의 미네랄 함량은 DW>AIW>PW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DW의 경우 14.5 mg/l의 Ca 이온을 비롯하여 상당량의 미네랄이 확인되었으며, PW에서는 Ca, Mg, K 및 Na 이온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AIW, PW 및 DW 자체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superoxide radical 소거능으로 평가한 결과 매우 미미하였으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물에 vitamin C를 첨가하고($25\;{\mu}g/ml$), $37^{\circ}C$에서 2시간 동안 120 rpm의 속도로 교반하거나, $60^{\circ}C$에서 2시간 정치한 후 잔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DW에서는 항산화활성의 빠른 감소가 나타났으나 PW 및 AIW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각각의 물에 항혈전제로 사용되고 있는 aspirin을 첨가하고(30 mg/ml), $6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 후 잔존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경우에도 PW>AIW>DW순으로 활성유지효과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잔존활성은 초기 활성의 62.6%, 55.3% 및 52.1%로 나타났다. 각각의 물에 Escherichia coli H7:O157 균주를 초기 OD600 0.18로 조정한 후 $37^{\circ}C$에서 3시간 진탕배양한 경우에도 PW 및 AIW에서는 빠른 생육 감소가 나타났으나, DW에서는 오히려 일시적인 생육증가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균수 측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PW 및 AIW에서는 E. coli 생육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의 식품 및 의료산업에서 용매로서의 물의 상태도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AIW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table maintenance of bioactivity in alkaline ionized water (AIW)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AIW were evaluated to confirm benefits of AIW. As controls, purified water (PW) and tap drinking water (DW) were used. The pH and ORP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AIW, PW and DW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IW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리활성물질의 AIW에서의 활성 유지 및 AIW의 항균 효과를 검토하였다. 즉, AIW, 정수, 상수용수에서 항산화물질인 vitamin C 또는 항혈전제로 이용되고 있는 아스피린의 생리활성 유지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각각의 물에서 Escherichiacoli H7:O157 식중독 세균의 증식율 및 생존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 즉, AIW, 정수, 상수용수에서 항산화물질인 vitamin C 또는 항혈전제로 이용되고 있는 아스피린의 생리활성 유지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각각의 물에서 Escherichiacoli H7:O157 식중독 세균의 증식율 및 생존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에 AIW와 정수는 상수용수에 비해 우수한 생리활성 유지효과와 항세균 효과를 나타내었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는 향후 식품 및 의료산업에서 용매로서의 물의 상태도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AIW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카리 이온수란 무엇인가? 알카리 이온수(AIW: alkaline ionized water)는 pH 8.5를 초과하는 알카리 상태의 물을 의미하며, 통상 물의 전기분해방식 또는 필터방식으로 생성된다[3]. 전기분해 방식은, 수돗물 등을 필터 처리하여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이를 전기분해하여 (-)극에 알카리수, (+)극에 산성수를 생성한 후 알카리수만을 회수하여 제조하며, 한편 필터방식은 식수를 미네랄 함유 소재(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마그네슘, 칼슘과 같은 알칼리토금속) 세라믹이 충진된 필터를 통과하여 생성하게 된다[1,3].
AIW는 활용 용도와 효과는 어떠한가? 실제 민간에서 AIW가 오랜 기간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AIW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최근까지 세정, 추출제로서의 효과[3,9], 세균 살균효과 및 식품저장성 증대 효과[2,11,14,15], 가축의 산독증 억제 및 비육 효과[1,5], 혈당 감소 및 항당뇨 효과[4,8,12], 간 보호 효과 및 항산화 활성[6,10,16,17,19] 및 암세포 사멸효과[20]등이 일부 보고되어 있다.
알카리 이온수의 제조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5를 초과하는 알카리 상태의 물을 의미하며, 통상 물의 전기분해방식 또는 필터방식으로 생성된다[3]. 전기분해 방식은, 수돗물 등을 필터 처리하여 유기화합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이를 전기분해하여 (-)극에 알카리수, (+)극에 산성수를 생성한 후 알카리수만을 회수하여 제조하며, 한편 필터방식은 식수를 미네랄 함유 소재(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마그네슘, 칼슘과 같은 알칼리토금속) 세라믹이 충진된 필터를 통과하여 생성하게 된다[1,3]. AIW는 1930년대 일본에서 전해이온수에 대한 연구 중 발견되었으며 이후, 일본 민간에서는 설사와 소화 불량, 피부 습진치료 등에 사용하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ol-Enein, H., O. A. Gheith, N. Barakat, E. Nour, and A. E. Sharaf. 2009. Ionized alkaline water: new strategy for management of metabolic acidosis in experimental animals. Ther. Apher. Dial. 13, 220-224. 

  2. Han, M. R. and M. H. Kim. 2006. Effects of alkaline ionic water and grapefruit seed extract added immersion solution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ulbery leaf soybean curd. J. Kor. Soc. Appl. Biol. Chem. 49, 108-113. 

  3. Jang, S. Y., G. Y. Im, and Y. J. Jeong.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using alkaline water. Kor. J. Food Preserv. 16, 172-178. 

  4. Jin, D., S. H. Ryu, H. W. Kim, E. J. Yang, S. J. Lim, Y. S. Ryang, C. H. Chung, S. K. Park, and K. J. Lee. 2006. Anti-diabetic effect of alkaline-reduced water on OLETF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70, 31-37. 

  5. Jin, S. K., I. S. Kim, Y. M. Song, S. N. Kang, J. Y. Jong, H. S. Oh, and C. S. Min. 2009. The effect of ion water and premixed mineral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Kor. J. Food Sci. Ani. Resour. 29, 252-259. 

  6. Kim, D. H. and H. S. Kang. 2008. Effect of alkaline ionized water supplementation on anaerobic capacity and scavenges active oxygen species. J. Sport Leisure Studies 34, 1157-1169. 

  7. Kim, J. I., H. S. Jang, J. S. Kim, and H. Y. Sohn.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133-139. 

  8. Kim, J. M. and K. Yokoyama. 1997. Effect of alkaline ionized water on spontaneously diabetic GK-rats fed sucrose. Kor. K. Lab. Anim. Sci. 13, 187-190. 

  9. Kim, Y. D., I. M. Chung, and K. G. Lee. 2005. Silk degumming by electrolyzed alkaline water. Kor. J. Seric. Sci. 47, 36-40. 

  10. Lee, M. Y., Y. K. Kim, K. K. Ryoo, Y. B. Lee, and E. J. Park. 2006. Electrolyzed-reduced water prot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to DNA, RNA, and protein. Appl. Biochem. Biotechnol. 135, 133-144. 

  11. Lee, S. H. and M. S. Jang. 2004.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and chlorinated water on sensory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ttuce. Kor. J. Soc. Food Cookery Sci. 6, 45-53. 

  12. Li, Y., T. Nishimura, K. Teruya, T. Maki, T. Komatsu, T. Hamasaki, T. Kashiwagi, S. Kabayama, S. Y. Shim, Y. Katakura, K. Osada, T. Kawahara, K. Otsubo, S. Morisawa, Y. Ishii, Z. Gadek, and S. Shirahata. 2002. Protective mechanism of reduced water against alloxan-induced pancreatic beta-cell damage: Scavenging effect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Cytotechnology 40, 139-149. 

  13. Meucci, E., G. E. Martorana, A. Ursitti, M. G. Pischiutta, G. A. Miggiano, and A. Castelli. 1985. Ascorbic acid stability in aqueous solutions. Acta Vitaminol. Enzymol. 7, 147-153. 

  14. Oh, S. J., T. I. Ha, and M. H. Chang. 1993. Availability of alkaline ionic water as a cooking water. Kor. J. Food. Nutr. 6, 8-15. 

  15. Park, H., Y. C. Hung, and R. E. Brackett. 2002. Antimicrobial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for inactivating Campylobacter jejuni during poultry washing. Int. J. Food Microbiol. 72, 77-83. 

  16. Park, S. K., X. F. Qi, S. B. Song, D. H. Kim, Y. C. Teng, Y. S. Yoon, K. Y. Kim, J. H. Li, D. Jin, and K. J. Lee. 2009. Electrolyzed-reduced water inhibits acute ethanol-induced hangovers in Sprague-Dawley rats. Biomed. Res. 30, 263-269. 

  17. Shirahata, S., S. Kabayama, M. Nakano, T. Miura, K. Kusumoto, M. Gotoh, H. Hayashi, K. Otsubo, S. Morisawa, and Y. Katakura. 1997. Electrolyzed-reduced water scavenges active oxygen species and protects DNA from oxidative damag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34, 269-274. 

  18. Sohn, H. Y., H. Y. Ryu, Y. J. Jang, H. S. Jang, Y. M. Park, and S. Y. Kim. 2008.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of Saxifraga stolonifer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195-200. 

  19. Tsai, C. F., Y. W. Hsu, W. K. Chen, W. H. Chang, C. C. Yen, Y. C. Ho, and F. J. Lu. 2009. Hepatoprotective effect of electrolyzed reduced water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in mice. Food Chem. Toxicol. 47, 2031-2036. 

  20. Tsai, C. F., Y. W. Hsu, W. K. Chen, Y. C. Ho, and F. J. Lu. 2009. Enhanced induction of mitochondrial damage and apoptosis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due to electrolyzed-reduced water and glutathione.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280-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