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칼리 이온수의 의치 미생물에 대한 세정효과에 관한 연구
Cleansing effect of the alkaline ionized water on microorganisms of the denture surface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9 no.2, 2011년, pp.138 - 144  

김영미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구강보건학과) ,  최유성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조인호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알칼리 이온수 e-WASH의 의치에 부착된 미생물 의치세정 효과에 대해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 관찰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군 41개, 대조군 26개의 의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에서는 알칼리 이온수e-WASH로, 대조군에서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 전, 후 의치 내면의 치면세균막을 채취하였다. 위상차현미경으로 구강미생물의 형태적, 종류별 양과 운동성에 대하여 세정 전, 후별 구강미생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알칼리 이온수 e-WASH로 의치를 세정한 실험군에서는 세정 전보다 세정 후 구균의 양, 간균의 양, 간균의 운동성, 실사균의 양, 실사균의 운동성, 콤마/나선균의 양, 콤마/나선균의 운동성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감소하였다 (P<.05). 한편 대조군에서는 구균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P<.05),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세정 전, 후 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알칼리 이온수e-WASH로 의치를 세정한 실험군에서는 구균의 양, 간균의 양, 간균의 운동성, 실사균의 양, 실사균의 운동성, 콤마/나선균의 양, 콤마/나선균의 운동성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수돗물로 의치를 세정한 대조군보다 각 구강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이 적게 나타났다 (P<.05). 결론: 위의 결과를 통해 알칼리 이온수 e-WASH가 의치표면의 각종 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의치세정제로 추천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eansing effect of recently developed alkaline ionized water, e-WASH, on microorganisms of the denture surface. Materials and methods: Removable partial and complete dentur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41 denture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알칼리 이온수 e-WASH로 처리한 의치를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의치에 부착된 미생물 의치 세정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의치의 세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Jin 등31은 알칼리 전해수나 구연산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병용 처리시 양상치에 오염된 총균수와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은 모든 침지 온도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40℃ 이상에서는 완전하게 사멸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환원전리수는 일반 물의 입자보다 작은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어 일반 물보다 운동성이 높고 대상물에 대한 흡수력과 용해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어,32 본 실험에서 의치장착환자의 의치를 대상으로 e-WASH의 의치미생물에 대한 세정효과를 수돗물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e-WASH가 사용된 실험군에서 구균의 운동성을 제외하고 모든 균의 양과 운동성에서 전, 후를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들에게 의치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노인들이 흔히 장착하고 있는 의치는 저작이나 발음 또는 심미 등의 기능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노인들의 식생활, 영양 섭취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연령의 증가에 따른 활동의 제약이나 시력 감퇴, 의욕 저하 등의 원인으로 의치 관리에 소홀하게 되어 의치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불결한 의치가 유발하는것은 무엇인가? 하지만, 연령의 증가에 따른 활동의 제약이나 시력 감퇴, 의욕 저하 등의 원인으로 의치 관리에 소홀하게 되어 의치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불결한 의치는 의치 상에 잔류된 음식물 잔사의 부패나 구강내 조직세포, 또는 타액, 세균들에 의해 악취를 풍기고, 이러한 의치를 계속 장착할 경우의 치구내염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불결한 의치의 원인은 무엇인가? 노인들이 흔히 장착하고 있는 의치는 저작이나 발음 또는 심미 등의 기능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노인들의 식생활, 영양 섭취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연령의 증가에 따른 활동의 제약이나 시력 감퇴, 의욕 저하 등의 원인으로 의치 관리에 소홀하게 되어 의치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불결한 의치는 의치 상에 잔류된 음식물 잔사의 부패나 구강내 조직세포, 또는 타액, 세균들에 의해 악취를 풍기고, 이러한 의치를 계속 장착할 경우의 치구내염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udtz-Jorgensen E, Bertram U. Denture stomatitis. I. The etiology in relation to trauma and infection. Acta Odontol Scand 1970;28:71-92. 

  2. Budtz-Jorgensen E, Bertram U. Denture stomatitis. II. The effect of antifungal and prosthetic treatment. Acta Odontol Scand 1970;28:283-304. 

  3. Nikawa H, Hamada T, Yamashiro H, Kumagai H. A review of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enture cleansers. Int J Prosthodont 1999;12:153-9. 

  4. Polyzois GL. Denture cleansing habits. A survey. Aust Dent J 1983;28:171-3. 

  5. Kim MJ, Shin SW, Lee JY. In vitro study on the adherence and penetration of candida albicans into denture soft lining material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6;44:466-76. 

  6. Dills SS, Olshan AM, Goldner S, Brogdon C. Comparison of the antimicrobial capability of an abrasive paste and chemical-soak denture cleaners. J Prosthet Dent 1988;60:467-70. 

  7. Budtz-Jorgensen E, Kelstrup J. Enzymes as denture cleansers. Scand J Dent Res 1977;85:209-15. 

  8. Ryoo KK, Kang BD, Sumita O. Electrolyzed water as an alternative for environmentally benign semiconductor cleaning. J Mater Res 2002;17:1293-304. 

  9. Chang YS, Jung MA, Shin SC. Evaluation of motility and distribution of oral micro-flora in Koreans using the phase contrast microscope. Int J Clin Prevent Dent 2008;4:28-39. 

  10. Lee WH, Bok HJ, Kim HJ, Ahn SH.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ge and the amount/motile of the oral microorganisms examin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Int J Clin Prev Dent 2009;5:7-13. 

  11. Lee YJ. Oral microorganism in saliva according to ages, observed through phase contrast microscope. Int J Clin Prev Dent 2009;5:23-30. 

  12. Ku HM, Lee JH, Woo SH, Cho JW. Amounts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according to age and the relations with oral micro-organism. Int J Clin Prev Dent 2009;5:93-101. 

  13. Makila E, Hopsu-Havu VK. Mycotic growth and soft denture lining materials. Acta Odontol Scand 1977;35:197-205. 

  14. Gusberti FA, Gada TG, Lang NP, Geering AH. Cultivable microflora of plaque from full denture bases and adjacent palatal mucosa. J Biol Buccale 1985;13:227-36. 

  15. Paranhos HF, Silva-Lovato CH, de Souza RF, Cruz PC, de Freitas-Pontes KM, Watanabe E, Ito IY. Effect of three methods for cleaning dentures on biofilms formed in vitro on acrylic resin. J Prosthodont 2009;18:427-31. 

  16. de Freitas Fernandes FS, Pereira-Cenci T, da Silva WJ, Filho AP, Straioto FG, Del Bel Cury AA. Efficacy of denture cleansers on Candida spp. Biofilm formed on polyamid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J Prosthet Dent 2011;105:51-8. 

  17. Glass RT, Bullard JW, Conrad RS, Blewett EL. Evaluation of the sanitization effectiveness of a denture-cleaning product on dentures contaminated with known microbial flora. An in vitro study. Quintessence Int 2004;35:194-9. 

  18. Chun SS, Chung CH, Lee ZH. Determination of antifungal ability of denture cleansing agents to Candida albican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3;31:28-38. 

  19. Davenport JC, Wilson HJ, Spence D. The compatibility of soft lining materials and denture cleansers. Br Dent J 1986;161:13-7. 

  20. Harrison A, Basker RM, Smith IS. The compatibility of temporary soft materials with immersion denture cleansers. Int J Prosthodont 1989;2:254-8. 

  21. Kim KS, Jeong HY, Kim YL, Cho HW. The effect of denture cleansers on the bond strength and the surface hardness of reline resin to denture base resi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3;41:493-502. 

  22. Jang BS, Kim CW, Kim YS. The effect of denture cleansers on soft lining material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3;31:219-35. 

  23. Budtz-Jorgensen E. Materials and methods for cleaning dentures. J Prosthet Dent 1979;42:619-23. 

  24. Klinger SM, Lord JL. Effect of common agents on intermediary temporary soft reline materials. J Prosthet Dent 1973;30:749-55. 

  25. Abadias M, Usall J, Oliveira M, Alegre I, Vinas I. Efficacy of neutral electrolyzed water (NEW)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minimally-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2008;123:151-8. 

  26. Sharma RR, Demirci A. Treatment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alfalfa seeds and sprouts with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t J Food Microbiol 2003;86:231-7. 

  27. Kim JJ, Lee MY. Bactericidal effects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selected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J Environment Sci 2007;16:1295-300. 

  28. Jeong JW, Kim JH, Kim BS, Jeong SW. Characteristics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various electrolytic diaphragm and electrolyte. Korean J Food Preserv 2003;10:99-105. 

  29. Kwon NH, Kim SH, Kim JY, Lim JY, Kim JM, Jung WK, Park GT, Bae WK, Noh KM, Choi JW, Park YH. Antimicrobial activity of GC-100X against major food-borne pathogens and detaching effects of i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on the surface of tomatoes. J Food Hyg Safety Abstracts 2002:160-1. 

  30. Park HL, Kim YK, Ryoo KK, Lee YB, Lee JK, Lee MY.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lectrolyzed reduced water. J Korean Acad Industrial Soc 2005;6:215-21. 

  31. Jin YG, Kim TW, Ding T, Oh DH.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on quality enhancement and microbial inhibition in head lett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9;41:578-86. 

  32. Ryoo KK, Lee YB, Lee JK, Lee MY. Permeability and dissolvability of cathodic electrolyzed water for electrophoretic gel and green tea components. J Korean Acad Indus Soc 2005;6:87-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