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막걸리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5 = no.121, 2010년, pp.768 - 774  

조은경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김희연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변현지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수원 ((주)엔존비앤에프) ,  최영주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발효주 막걸리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S사막걸리로부터 구입한 막걸리 침전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0 mg/ml에서 48.0%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98.7%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0.1 mg/ml에서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 10 mg/ml에서는 74.0%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1 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4~64%, pH 6.0에서는 45%의 소거능을 보인반면,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51~42%, pH 6.0에서는 2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막걸리 침전물의 우수한 기능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HWM).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using 2,2.diphenyl.1.picryl.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숙취의 주 원인물질인 acetaldehyde는 체내에서 흡수된 알코올 분해 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단순히 ADH만 활성화 시키면 혈중 알콜 농도는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으나 간이나 혈액에 남아있는 acetaldehyde는 계속 축적이 되어 심한 숙취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24]. 따라서, 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ADH및 ALDH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반응 후의 최대 흡광도와 효소의 반응 속도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ADH활성과 ALDH활성에 대한 결과는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침전물을 열수 추출하여 그 효능을 측정함으로써 막걸리 산업의 부흥을 위해 막걸리의 건강기능성 효과를 증명 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침전물의 열수 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막걸리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막걸리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능에 관한 것으로 간암, 피부암, 대장암, 유방암에 대해서 보고하였다[2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는 일반 주류와 달리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마시게 되면 곧 취하게 되고 간에 많은 부담을 주게되나, 막걸리는 알코올 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간뿐만 아니라 위에도 부담을 주지 않는다. 또한, 막걸리는 일반 주류와는 달리 상당량의 단백질, 당질, 비타민 B군을 함유하고 있고, 누룩의 protease에 의한 분해산물인 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glycine 등의 아미노산들도 많이 함유하고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생효모가 함유되어 있어 다른 주류와 차별화된 영양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8,31].
막걸리박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이 보고되어 있는가? 현재까지 막걸리의 건강기능성과 관련한 연구는 막걸리 속 유산균 동정[9], 누룩 추출물의 항염증작용의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11] 및 막걸리 농축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29]등이 있다. 또한, 막걸리박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어왔는데 제1형과 2형 당뇨 쥐에서 막걸리박 추출물의 혈당 저하 효과[14,16] 및 막걸리박의 혈압 저하 효과 등[15]이 보고되었다. 뿐만 아니라, 막걸리에서 분리한 다당체에 대한 강력한 면역 활성 효과도 보고되었는데[4], 이는 막걸리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막걸리 침전물을 이루고 있는 것은? 이는 막걸리 발효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의한 효소작용으로 인해 원료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된 것으로 대부분 막걸리 침전물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막걸리의 좋은 성분들 즉, 효모 · 유산균 · 비소화성 식이섬유와 그 외의 영양분등은 그 침전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막걸리의 저장성 증대 및 용이한 음용을 위해 막걸리의 침전물을 가라앉힌 맑은 상등액을 판매하려는 추세일 뿐만 아니라 막걸리 침전물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 또한 대부분 보고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0. 

  2. Choi, J. T., H. K. Joo, and S. K. Lee.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3. Cushman, D. W. and H. S. Cheung.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4. Edaily EFN, 2008.6.23. http://efn.edail.co.kr/BrandNews/pop_print.asp. 

  5. Gray, J. I. and L. R. Dugan J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6. Hong, H. D., N. K. Kang, and S. S. Kim.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7. Hwang, J. Y, J. W. Ham, and S. H. Nam.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8. Jeong, J. W., K. J. Park, M. H. Kim, and D. S. Kim.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9. Jin, J. S. Y. Kim, Q. Jin, H. J. Eom, and N. S. Han. 2008. Diversity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in Takju, Korean rice wine. J. Microbial. Biotechnol. 18, 1678-1682. 

  10. Kim, A. R., S. Y. Lee, K. B. W. R Kim, E. J. Song, J. H. Kim, M. J. Kim, K. W. Ji, and I. S. Ahn, and D. H. Ahn.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11. Kim, J. E., S. K. Jung, S. J. Lee, K. W. Lee, G. W. Kim, and H. J. Lee. 2008. Nuruk extract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duction of nitrite and interleukin-6 in RAW 264.7 cells through blocking activation of 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J. Microbial. Biotechnol. 18, 1423-1426. 

  12. Kim, M. H., Y. T. Chung, J. H. Lee, Y. S. Park., M. K. Shin, H. S. Kim, D. H. Kim, and H. Y. Lee.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13. Kim, N. M., J. W. Lee, J. H. Do, and J. W. Yang. 2003. Effects of the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wild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35, 272-279. 

  14. Kim, S. M. and W. K. Cho, 2006. Effect of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638-643. 

  15. Lee, H. S., K. H. Hong, J. Y. Kim, D. H. Kim, C. H. Yoon, and S. M. Kim. 2009.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Korean J. Food Culture 24, 338-343. 

  16. Lee, H. S., K. H. Hong, C. H. Yoon, J. M. Kim, and S. M. Kim. 2009. Effect of Korean turbid rice wine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in db/db mouse. Korean J. Food Culture 24, 219-223. 

  17. Lee, J. S, T. S. Lee, S. O. Park, and B. S. Noh.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8. Lee, S. H. and J. S. Joo. 1985. Nutritional influence of Takju (Korean rice wine) on human body. J. Ko Rae Univ. 22, 17-32. 

  19. Lee, Y. S., E. Y. Joo, and N. W. Kim.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20. Lim, J. D., C. Y. Yu, M. J. Kim, S. J. Yun, S. J. Lee, N. Kim, and I. M. Chung.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 Korean J. Med. Crop Sci. 12, 191-202. 

  21.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2. Maruyama, S., K. Nakagomi, N. Tomizuka, and H. Suzuki. 1985.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derived from an enzymatic hydrolysate of casein. Agric. Biol. Chem. 49, 1405-1410. 

  23. Moon, J. S., S. J. Kim, Y. M. Park, I. S. Hwang, E. H. Kim, J. W. Park, I. B. Park, S. W. Kim, S. G. Kang, Y. K. Park, and S. T. Jung.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24. Nanji, A. A. and D. Zakim. 1996. Alcoholic liver disease. In Hepatology 3rd ed., Zakim D, Boyer T (eds.). Saunders, Philadelphia, 3, 891-936. 

  25. Park, Y. B., T. G. Lee, O. K. Kim, J. R. Do, S. G. Yeo, Y. H. Park, and S. B. Kim.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26. Racker, E. 1973. Alcohol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27. Saito, Y, K. Wanezaki, A. Kawato, and S. Imayasu. 1994a. Antihypertensive effects of peptide in sake and its by-products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812-816. 

  28. Saito, Y., K. Wanezaki, A. Kawato, and S. Imayasu. 1994b. Structure and activity of angiotensine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sake and sake lees.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1767-1771. 

  29. Shin, M. O., D. Y. Kang, M. H. Kim, and S. J. Bae.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30. Tottmar, S. O., H. Petterson, and K. H. Kiessling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31. Yoo, T. J. 1981. Korean famous wine. pp. 96, Central New Book,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