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무증상성 열공성 뇌경색 환자와 정상인에서 비만 지수와 대사증후군 유병률 비교
Comparis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Index between Patients with Silent Lacunar Infarction and Normal Controls in a University Hospital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3, 2010년, pp.519 - 524  

정현윤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김도경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손호영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신윤리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이재욱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김경민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김영균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심계내과교실) ,  권정남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내과교실) ,  박선미 (삼세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linical study was done to examine comparis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index between patients with silent lacunar infarction and normal controls. We compared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index between patients silent lacunar infarction(n=62) and n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는 신경학적 이상의 병력과 자각증상이 없는 대상자들을 영상촬영 진단상 열공성 뇌경색의 유무로 무증상성 열공성 뇌경색군와 정상군으로 나누어, 뇌경색 위험인자들과 연관성이 있는 비만 지수와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뇌졸중과 비만 지수,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대한 연구4,7,10,11)들과 비교하여 이에 관한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무증상 열공성 뇌경색에서도 기존의 증후성 뇌경색과 비만 지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관련성에 대한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과 비만을 조절하고 치료함으로써 뇌경색에 관한 예방학적인 측면에 그 의의를 두었다.
  • 이에 저자는 무증상성 열공성 뇌경색군과 정상군을 대상으로 기존의 연구들4,7,10,11)에 의해 뇌경색 위험인자들로 알려진 비만 지수 및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재차 확인하고 이에 대하여 비만 지수 및 대사증후군의 개선 및 예방적 목적에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암, 심장병과 더불어 3대 사망 원인질환이며, 국내에서는 단일질환 사망원인 1위의 질환으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향후 중요한 의학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1,2). 뇌졸중은 높은 치명률도 문제지만, 회복되더라도 심각한 후유장애를 남김으로써 사회생활로의 복귀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 주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체계적인 관리와 처치가 필요하다3). 이 중 뇌경색이 전체 뇌졸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뇌경색의 예방에 대한 대책이 날이 갈수록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Lacunar infarction의 임상적 특징은? 5 cm 이하로 다양하게 발견 되며 전체 뇌경색의 약 15-20%를 차지한다. 열공성 뇌경색은 뇌경색 재발가능성이 1년 이내 10% 정도이고 연령,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뇌경색의 재발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혈관성치매 발생 위험이 있어 예방적 측면에서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한 질병이다9).
뇌경색의 위험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이 중 뇌경색이 전체 뇌졸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뇌경색의 예방에 대한 대책이 날이 갈수록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뇌경색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당뇨, 심장병, 고지혈증, 비만, 흡연, 유전 인자, 계절적 요인, 경구 피임 약물, 인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이들 중 많은 요인이 직, 간접적으로 비만과 관련되어 있으며, 비만은 최근 뇌혈관질환, 심혈관 질환의 원인 질환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가장 예민하게 반영하는 지표이기도 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Warlow, C., Sudlow, C., Dennis, M., Wardlaw, J. Sanderock P.Stroke Lancet. 362: 1211-1224, 2003. 

  2. 통계청. 통계 정보시스템 사망원인 통계 메타 DB. http://www. kosis.kr. 

  3. 박종구, 김기순, 김춘배, 이태웅, 이덕희, 고광욱 등.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요인 구명을 위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예방의학회지 34(2):157-165, 2001. 

  4. Whisnant, J.P. Modelling of risk factors for ischemic stroke. The Willis Lecture. Stroke, 28: 1840-1844, 1997. 

  5. 김기진, 안나영, 홍창배. 내장지방형 비만이 대사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회 스포츠 건강의학 학술지, 9(2):41-48, 2007. 

  6. 허 준. 정교 동의보감. 서울, 한미의학, p 556, 2001. 

  7. 부송아, 고성규, 정용수, 박경훈. 뇌졸중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과거 병력, 생활습관, 혈청지질 및 비만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2(3):423-430, 2001. 

  8. Fisher, C.M. Lacunar stroks and infarcts. Neurology 32: 871-876, 1982. 

  9. 김함겸, 장성훈, 박수경, 이건세, 김형수, 김화선. 열공성 뇌경색 환자-대조군에서 신경행동검사의 수행평가. 예방의학회지 36(3):255-262, 2003. 

  10. 백혜기, 고미미, 유병찬, 방옥선, 오영선, 김연진 등. 무증상 뇌경색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 28(4):850-857, 2007. 

  11. 강정묵, 이은정, 정찬희, 정필욱, 문희수, 김용범 등.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뇌경색 환자와 정상인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 비교. 대한뇌졸중학회지 7(1):55-56, 2005. 

  12. 이원로. 임상심장학. 서울, 고려의학, p 748, 1998. 

  1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s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 1183-1197, 1997. 

  14. 김용재. 대사증후군과 뇌졸중. 대한신경과학회지 23(5):585-594, 2005. 

  15. A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16. 심동석, 박성경, 김중석, 유지연, 김범수, 정소령 등. 정상 성인에서 무증상 뇌경색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대한신경과학회지 23(3):303-306, 2005. 

  17. 김민선. 방사선학적으로 진단된 미세심부 뇌경색의 임상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2-3, 1995. 

  18. Arboix, A., Marti-vilalta, J.L., Garcia, J.H. Clinical study of 227 patients with lacunar infarcts. Stroke 21: 842-847, 1990. 

  19. Sacco, S.E., Whisnant, J.P., Broderick, J.P., Philips, S.J., et al.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lacunar infarcts in a population. Stroke 22: 1236-1241, 1991. 

  20. 김함겸. 임상적 증상이 없는 열공성 뇌경색의 MRI 소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26(4):33-38, 2003. 

  21. Reaven, G.M.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37: 1595-1607, 1988. 

  22. DeFronzo, R.A., Ferrannini, E. A multifaceted syndrome responsible for NIDDM,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14: 173-194, 1991. 

  23. Kaplan, N.M. Upper-body obesity, glucose intolerance, hypertriglyceridemia, and hypertension. Arch Intern Med 149: 1514-1520, 1989. 

  24. Balkau, B., Charles, M.A. Comment on the provisional report from the WHO consultation. European Group for the Study of insulin resistance. Diabetes Med 16: 442-443, 1999. 

  25. Gorelick, P.B. Stroke prevention therapy beyond antithrombotics. unifying mechanism in ischemic stroke pathogenesis and implications for therapy. Stroke 33: 862-875, 2002. 

  26. Ishizaka, N., Ishizaka, Y., Toda, E., Hashimoto, H., Nagai, R., Yamakado, M. Hypertension is the most common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 greatest contributor to carotid arteriosclerosis in apparently healthy Japanese individuals. Hypertens Res 28: 27-34, 2005. 

  27. Scott, C.L. Diagnosis,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ardiol 92: 35-42, 2003. 

  28. Schiffrin, E.L. and (CIHR)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on Hypertension. Beyond blood pressure: the endothelitml and atherosclerosis progression. Am J Hypertens 15: 115-122, 2002. 

  29. Aubert, H., Frere, C., Aillaud, M.F., Morange, P.E., Juhan-Vague, I., Alessi, M.C. Weak and non-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plasma TAFI antigen levels and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J Thromb Haemost 1: 791-797, 2003. 

  30. 이영미, 최윤선, 홍명호 등. 비만의 유형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17(9):784-797, 1996. 

  31. 하유군, 정기용, 고호연, 정 희, 백종우, 여현수 등. 급성기 뇌중풍환자의 비만 및 복부비만과의 임상적 제특성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9(1):149-159, 2008. 

  32. 고성규, 오희라. 한의학과 3,4학년을 위한 임상실습 교재 I (신경계 중후 및 질환). 초판.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기내 과학 교실, pp 28-38, 1998. 

  33. Rexrode, K.M., Hennekens, C.H., Willett, W.C., Colditz, G.A., Stampfer, M.J., Rich-Edwards, J.W., Speizer, F.E., Manson, J.E. A prospective study of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and risk of stroke in women. JAMA 277(19):1539-1545, 1997. 

  34. Ellekjaer, E.F., Wyller, T.B., Scerre, J.M., Holmen, J. Lifestyle factors and risk of cerebral infarction. Stroke 23: 829-834, 1992. 

  35. DiPietro, L., Ostfeld, A.M., Rosner, G.L. Adiposity and stroke among older adult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Chicago stroke study. Am J Public Health 84: 14-19, 1994. 

  36. 남상명, 하은희, 서영주, 박혜숙, 장문희, 서주희 등. 40세이상 성인에서 비만지표가 혈중 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7(1):20-28, 2008. 

  37. Olijhoek, J.K., van der Graaf, Y., Banga, J.D., Algra, A., Rabelink, T.J., Visseren, F.L.J. The metabolic syndrome is associated with advanced vascular damag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peripheral arterial disease or abdominal aortic aneurysm. Eur Heart J. 25: 342-348, 2004. 

  38.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Taskinen, M.R., Groop, 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4: 683-689,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