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율피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stnut Inner Shell Extract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2, 2010년, pp.266 - 271  

이선구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occurred by energy imbalance, is increasing regardless of race, sex, age, and related to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Since adipose tissue plays a critical role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understanding of adipogenesis pathway and finding of regulatory 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율피를 이용한 항비만 소재 및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율피 추출물을 처리한 후, 세포독성 여부와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Oil red-O 염색을 통한 축적된 지방(Lipid droplet)의 함량측정과 세포학적인 변화, 세포내 triglyceride의 함량을 측정하여 율피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 그러나 율피 혹은 율피 추출물로 부터 유래한 물질의 항비만 효과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자는 율피가 예정부터 사용되어온 약재이며, 함유성분이 비만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비만억제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미만연구에 사용되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율피 주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Obesity)은 생체 내에서 에너지의 축적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일어나는 생활습관병이며,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환경적 요인 등의 변화로 인하여 생체내의 항상성의 변화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비만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사성증후군(Metabolic syndrome), 당뇨병(Diabetes) 및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의 발생은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4).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Obesity)은 생체 내에서 에너지의 축적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일어나는 생활습관병이며,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환경적 요인 등의 변화로 인하여 생체내의 항상성의 변화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비만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사성증후군(Metabolic syndrome), 당뇨병(Diabetes) 및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의 발생은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4).
밤나무 과실의 속껍질인 율피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료를 열수 추출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율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 여부 및 adipogenesis 저해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어떠한가? 밤나무 과실의 속껍질인 율피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료를 열수 추출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율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 여부 및 adipogenesis 저해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100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Oil Red-O 염색을 통한 세포내 Lipid accumulation은 control에 비하여 50 ㎍/㎖에서 23.22%, 100 ㎍/㎖에서 46.24% 정도 저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하였으며 지방세포로 분화유도 후 Triglyceride의 세포내 침착은 control에 비하여 15%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율피 추출물은 처리한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Inhibition of adipogenesis)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분자생물학적, 생화학적인 표식인자의 검증 및 대사 경로에 대한 연구와 동물실험과 같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Ordovas, J.M., Mooser, V. Nutrigenomic and nutrigenetics. Curr Opin Lipidol 15: 101-108, 2004. 

  2. Flegal, K.M., Carroll, M.D., Ogden, C.L., Johnson, C.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0. JAMA 288(14):1723-1727, 2002. 

  3. Kereiakes, D.J., Willerson J.T. Metabolic syndrome epidemic. Circulation 108(13):1552-1553, 2003. 

  4. Mokdad, A.H., Ford, E.S., Bowman, B.A., Dietz, W.H., Vinicor, F., Bales, V.S., Marks, J.S. Prevalence of obesity, diabetes and obesity related health risk factors, 2001. JAMA 289(1):76-79, 2003. 

  5. Jee, S.H., Sull, J.W., Park, J., Lee, S.Y., Ohrr, H., Guallar, E., Samet, J.M.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N Engl J Med 355(8):779-787, 2006. 

  6. 배남규, 권인선, 조영채. 한국인의 10년간 비만수준의 변화 양상 : 1997-2007. 대한비만학회지 18(1):24-30, 2009. 

  7. 조연지. 3T3-L1 아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anthocyanins의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6. 

  8. Yang, J.Y., Lee, K.S., Kim, M.K., Moon, S.K., Kang, M.K., Park, B.H., Kim, J.S., Park, J.W.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on lipoprotein lipase in 3T3-L1 adipocytes. Phytother Res 18: 160-163, 2004. 

  9. Sanders, S.R., Teachey, M.K., Ptock, A., Kraemer, K., Hasselwander, O., Henriksen, E.J., Baumgard, L.H. Effects of specific conjugated linoleic acid isomers on growth characteristics in obese Zucker rats. Lipids 39: 537-543, 2004. 

  10. Ahima, R.S., Flier, J.S.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Trend Endocrinol Metab 11(8):327-332, 2000. 

  11. 김만조, 이 욱, 황명수, 김선창, 이문호. 밤나무 재배품종의 개화, 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321-322, 2003. 

  12. 손철호, 석현덕, 민경택. 국내 밤산업의 동향과 전망. 농촌경제연구소. pp 77-79, 2003. 

  13. Choi, O.B., Kim, K.M., Yoo, G.S., Park, K.H. Anti-allergic effect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68-471, 1998. 

  14. Kwon, E.J., Kim, Y.C., Kwon, M.S., Kim, C.S., Kang, W.W., Lee, J.B., Chung, S.K.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from chestnut hus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26-731, 2001. 

  15. Kim, S.K., Jeon, Y.J., Kim, Y.T., Lee, B.J., Kang, O.J. Sensory evalu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chestnut mook. J Korean Soc Food Nutr 24: 601-605, 1995. 

  16. Park, Y.H., Kim, S.K., Lee, S.Y., Kim, J.B.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chestnut starch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14-318, 1984. 

  17. Cho, S.H., Sung, N.K., Ki, W.K., Hur, J.H., Shim, K.H., Chung, D.H. Effect of blanching on the prevention of discoloration in the thermal-treated chestnut power. J Korean Soc Food Nutr 17: 211-214, 1988. 

  18. Yoon, W.J. The study on the humidity preserving effect with several natural packs. Dong Duck Women`s University. 1997. 

  19. Oh, S.H., Kim, Y.W., Kim, M.A.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 of chestnut inner shell, Pine needle and Hop. Korean J. Food Culture 19(4):339-406, 2004. 

  20. 정수현 외 12명. 율피의 생리활성 및 미백효과를 이용한 화장품 신조재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2):27-33, 2005. 

  21. 이현주, 정미자, 조재열, 함승시, 최 면.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1095-1100, 2008. 

  22. Hsu, C.L., Yen, G.C. Effect of gallic acid on high fat diet-induced dyslipidaemia, hepatosteatosis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98: 727-735, 2007. 

  23. 이순재, 김경란, 김홍태, 홍정희.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에서 녹차 Catechin이 체지방 조성 및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Sci Nutr 36(5):540-547, 2007. 

  24. 김미자, 김영옥, 정주호, 김종우, 김혜경. Caffeine이 지방세포주 3T3-L1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영양유전체학적 접근. 한국영양학회지 38(8):649-655, 2005. 

  25. 허 준.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p 3449, 2005. 

  26. Noh, J.R., Gang, G.T., Moon, J.S., Kim, Y.H., Yang, K.J., Choi, D.H., Oh, W.K., Song, K.S., Lee, C.H. Antioxidant Effects of Chestnut Inner Shell Extract on High Fat-diet fed C57BL/6 Mice and t-BHP treat HepG2 cells.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abotatory Animal Science p 206, 2009. 

  27. Noh, J.R., Gang, G.T., Moon, J.S., Kim, Y.H., Yang, K.J., Choi, D.H., Oh, W.K., Song, K.S., Lee, C.H. Hypolipidemic Effects of Chestnut Inner Shell Extract on High Fat-diet fed C57BL/6 Mice.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abotatory Animal Science p 205, 2009. 

  28. 양민진, 김명길, 임세진, 안형수, 안령미. 율피.솔잎.호프의 수성 아세톤 추출물에 의한 Melanin 생성 억제 효과. 약학회지 43(4):494-501, 1999. 

  29. 진동언, 김관천. 율피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 대한위생학회지 20(3):10-16, 2005. 

  30. 진휘승, 박금주, 박승희, 김재기. 항비만에 대한 생약복합물의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8(1):32-38, 2009. 

  31. Ailhaud, G., Grimaldi, P., Negrel, R. Cellular and molecular aspects of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nu Rev Nutr 12: 207-233, 1992. 

  32. Haugen, F., Zahid, N., Dalen, K.T., Hollung, K., Nebb, H.I., Drevon, C.A. Resistin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is reduced by arachidonic acid. Lipid Res 46: 143-153, 2005. 

  33. Tenney, R., Stansfield, K., Oekala, P.H. Interleukin 11 signaling in 3T3-L1 adipocytes. J cell physiol 202: 160-166, 2005. 

  34. Guo, X., Liao, K. Analysis gene expression profile during 3T3-L1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Gene 251: 45-53, 2000. 

  35. MacDougald, O.A., Hwang, C.S., Fan, H., Lane, M.D. Regulated expression of the obese gene product(leptin) in white adipose tissue and 3T3-L1 adipocytes. Proc Natl Acad Sci USA. 92(20):9034-9037, 1995. 

  36. Klaus, S. Adipose tissue as a regulator of energy balance. Curr Drug Targets, 5(3):241-250, 2004. 

  37. Kim, J.B., Spiegelman, B.M. ADD1/SREBP1 promo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linked to fatty acid metabolism. Gene & Development 10: 1096-1107, 1996. 

  38. Koldovsky, O., Dobiasova, M., Drahota, Z., Hahn, P. Developmental aspects of lipid metabolism. Physiol Res 44(6):353-356,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