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RCT 분석 연구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argeting Treat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1 no.4, 2010년, pp.164 - 170  

김진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손창규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  조충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  김철중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duce an overview of RCT for treatments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Method: All RCT studies for treatments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were selected via PubMed. The general trend of RCT number, subject and result, including Oriental medicine, were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2009년 10월까지 PubMed에 등재된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RCT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한의학을 이용한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RCT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은 어떠한 질환인가?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은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의 하나로써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유병률과 그 수요가 점차 늘어가는 질환이다. 우리나라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진료비는 2004년 대비 2007년도에는 약 60% 정도 상승하였고, 청구건수는 약 72% 정도 상승하였다1).
RCT 통한 한의학 관련 연구 중 침요법의 연구 결과는? 침 요법은 4개의 연구 모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침은 혈당, 혈중 지질의 대사를 향상시키고, 혈액의 점도를 감소시키며 말초 신경세포 기능 보존하였다. 또한 감각과 운동신경의 신경전도 속도를 향상시켜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일본식 침법이 모호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반면, 중국 전통 의학의 침법은 정량적 감각 시험에서 신경 감각을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었다.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형태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은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데 이 가운데 가장 흔한 형태가 원위부 대칭성다발 신경병 (distal symmeric polyneuropathy, DSP)이다.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진단기준과 치료법, 특히 DSP의 진단과 신경병성 통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역학적인 연구와 병태기전에 대한 연구에 기초하여 많은 진전이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유효하고 확고한 consensus는 확립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JM, Youn SS, An SH, Choi JS, Cho CS, Son CG et al. Overview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nd Need for Therapeutic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2009;30(5):127-136. 

  2. Kwak JG, Kim BJ. Diabetic Polyneuropathy. The Korean Journal of Pain. 2008;18:35. 

  3. John C. Pickup & Gareth Williams. Textbook of Diabetes 3rd. Seoul: KMS; 2006. p. 917-36. 

  4. Braunwald E, Fauci AS, Kasper D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Korean:MIP. 2003:2192. 

  5. Park SK, Kwon EH, Shin HC, Kang SB. One Case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insosan-gamibang. J Korean Oriental Internal Med. 2005:26(4):935-40. 

  6. Kang SB. 2 case of Diabetic Neuropathy Treatments. J Korean Oriental Med. 1992;13(2): 22-5. 

  7. Park SW, Kang JK, Moon SK, Ko CN. Two experiences of the treatment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Chronic Disease. 1997;3(1):251-8. 

  8. Cho KH, Jung S, Lee KJ. A Case of Yukmijihwanghwan's effect on Diabetic neuropathy. Korean J. Orient. Int. Med. 1999;20(1):286-90. 

  9. Kwon YK, Choi KR, Lee JS, Lee BC, Ahn YM, Ahn SY, et al. Two Cases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ogan-tang. J Korean Oriental Med. 2002;23(1):170-7. 

  10. Park SK, Kwon EH, Shin HC, Kang SB. One Case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insosan-gamibang. J Korean Oriental Med. 2005:26(4):935-40. 

  11. Choi HS, Cho CS, Kim CJ. Clinical Study on Two Cases of In patients with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aejeon University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thesis Collection. 2004;13(2)251-8. 

  12. Beaglehole R, Bonita R, Kjellstrom T. Basic epidemiology. Geneva: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13. Centre for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Annual report 1992. The University of Newcastle. 1993. 

  14. Cullen W. Method of study. In: Passmore R., ed. Proc R Coll Phys Ed. 1987;17:268-85. 

  15. Feinstein AR. Clinical epidemiology. The architecture architecture of clinical research. Philadelphia: W.B. Sounders Company. 1985. 

  16. Firth WJ. Chaos: predicting the unpredictable. BMJ. 1991;303:1565-68. 

  17. Fletcher RH, Fletcher SW, Wagner EH. Clinical epidemiology-the essentials,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6. 

  18. Report of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Guide to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169 interventions.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89. 

  19. Sackett DL, Haynes RB, Guyatt GH, Tugwell P. Clinical epidemiology, a basic science for clinical medicine, 2nd ed. Boston/Toronto: Little, Brown, and Company. 1991. 

  20. Jensen TS, Backonja MM, Hernandez Jimenez S, Tesfaye S, Valensi P, Ziegler D. New perspectives on the manage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ic pain. Diab Vasc Dis Res. 2006;3(2):108-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